◆ 일반조합원 및 노조간부의 순수한 노동조합 내부 활동은 근무시간 외에 하거나 근무시간 중에 하더라도 무급이 원칙
<질 의>
❍ 사실관계
- 타임오프 38,000시간에 대해 근로시간면제자 21명(파트타임 포함)을 인정하기로 노사간 합의
- 타임오프 총량을 초과하는 노조 자치위원회 및 기타 개별 조합활동에 대해서는 2010.7.1.부터 무급처리
❍ 질의내용
- 각종 노동조합 자치위원회 활동과 기타 개별 조합활동에 대하여 타임오프제도를 적용하고 있으며, 당사 타임오프 총량 초과로 인하여 무급으로 처리하고 있어 이에 대해 논란이 발생하고 있는바, 정기적·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노동조합의 각종 자치위원회 활동과 기타 개별 조합활동에 대해서 타임오프 총량 외로 예외적으로 유급인정이 가능한지
<회 시>
1. 2010.7.1.부터 시행되는 근로시간면제제도는 전임자 급여 금지규정이 전면 시행되면서 예외적으로 근로시간면제한도 적용을 받는 근로자가 일정한도 내에서 근무시간 중에 노조법 제24조제4항에 규정된 업무를 임금의 손실 없이 할 수 있게 하는 제도이며,
- 근로시간면제 대상에 해당하는 업무는 근로시간면제자로 지정된 자가 반드시 우선적으로 참여하여 수행하여야 하며, 근로시간면제자로 지정되지 않은 일반조합원 및 노조간부의 조합활동은 근무시간 외에 하거나 근무시간 중에 하더라도 무급이 원칙임.
2. 따라서 일반조합원 및 노조간부가 노동조합의 각종 자치위원회(영상위원회, 규율위원회, 노보위원회, 여성위원회, 문화패, 영상패 등)에 참가하는 활동을 하거나 기타 개별 조합활동(지부장 간담회, 전직 지부장 간담회, 제조직 의장단회의, 조합 자체회의 등)에 참석하는 것은 노사 공동의 이해관계에 속하는 노동조합의 유지·관리업무라기 보다는 순수한 노동조합 내부 활동에 관한 업무이므로 근무시간 외에 하여야 할 것임.
- 다만, 예외적으로 사유, 횟수, 시간 등을 단체협약 등으로 합리적인 범위내에서 정하고 그 활동시간에 대해 급여에서 공제하지 않는 것으로 정할 수 있겠으나, 이 경우에도 조합활동이 상시적, 고정적으로 진행되어 실제로는 부분전임 형태로 활동하는 정도에 이른다면 이는 법에 위반된다 할 것임.
【노사관계법제과-1516, 2010.12.20.】
'근로자, 공무원 > 노동조합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고된 조합원이 법원의 확정판결에 의해 원직에 복직된 경우 조합원자격 회복 여부[노사관계법제과-1606] (0) | 2014.10.30 |
---|---|
근로시간면제자가 해고되어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을 한 경우 해고일 이후 사용자의 급여지급 의무 여부[노사관계법제과-1588] (0) | 2014.10.30 |
근로시간면제자가 노・사・정 공동연수, 상급단체 회의, 각종 민원해결을 위한 관계기관 방문시 유급처리가 가능한지[노사관계법제과-1550] (0) | 2014.10.30 |
풀타임 및 파트타임 근로시간면제자의 면제시간 사용방법 및 절차[노사관계법제과-1549] (0) | 2014.10.30 |
전임자에게 귀향 교통비, 하계휴가비를 지급하는 것이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는지[노사관계법제과-1515] (0) | 2014.10.30 |
조합원이 노동조합을 탈퇴한 경우 회계자료 열람권이 있는지 여부[노사관계법제과-1430] (0) | 2014.10.30 |
수개의 외주업체 소속 근로자로 조직된 노동조합의 근로시간면제자에게 타 기업에서 급여 분담 가능 여부 (0) | 2014.10.30 |
노조 이중가입 제한 및 임원·대의원의 피선거권을 제한하는 규약 규정의 효력[노사관계법제과-1403] (0) | 201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