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인근로자가 기간제법 적용대상인지 여부
<질 의>
❍ E-7 특정활동 비자로 근무하고 있는 외국인근로자가 기간제법의 적용을 받아 2년을 초과하여 근로하면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로 간주되는지 여부
<회 시>
❍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조에 의하면 기간제근로자는 2년(기간제 근로계약의 반복·갱신 등의 경우에는 그 계속 근로한 총기간이 2년)의 범위 안에서 사용할 수 있고, 2년을 초과한 시점부터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보도록 하고 있으며,
- 같은 법 제4조제1항제6호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조제3항제1호는 “다른 법령에서 기간제근로자의 사용 기간을 법 제4조제1항과 달리 정하거나 별도의 기간을 정하여 근로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기간제근로자의 사용기간 제한의 예외로 인정하고 있음.
❍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취업하고자 할 때에는 출입국관리법 제18조(외국인고용의 제한)의 규정에 따라 취업할 수 있는 체류자격을 부여받아야 하고, 체류자격별 체류기간의 상한도 같은 법 제10조제2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8조의2(별표1, 1회에 부여하는 체류자격별 체류기간의 상한)에 따라 정해지므로, 취업활동을 목적으로 체류 자격을 부여받은 외국인의 체류기간은 곧 취업기간을 전제로 정해진다(연장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임)고 할 것인바, 이는 기간제법 제4조제1항제6호 및 동법 시행령 제3조제3항제1호의 “다른 법령에서 기간제근로자의 사용 기간을 법 제4조제1항과 달리 정하거나 별도의 기간을 정하여 근로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 해당된다고 봄이 타당하다고 사료됨.
- 따라서, 출입국관리법에 따라 취업활동을 목적으로 체류 자격을 부여 받은 외국인을 기간제근로자로 채용하였다면, 2년을 초과하여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무기계약 근로자로 전환되지 않는다고 판단됨.
【고용평등정책과-205, 2011.1.26.】
'근로자, 공무원 > 기간제, 파견, 고령자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단시간근로자 기간제근로자 사용기간 제한의 예외 해당여부 [고용평등정책과-315] (0) | 2014.10.24 |
---|---|
의학전문기자로 종사하는 의사자격 소지자의 기간제법 예외 해당여부 [고용평등정책과-314] (0) | 2014.10.24 |
예방접종등록센터 운영사업이 기간제근로자 사용기간 제한 예외에 해당하는지 여부 [고용평등정책과-224] (0) | 2014.10.24 |
동일 사업장의 다른 사업(업무)에 반복채용되는 경우 계속근로기간 산정 [고용평등정책과-212] (0) | 2014.10.24 |
기간제근로자 계속근로년수 산정 및 퇴직금 지급 여부 등 [고용평등정책과-203] (0) | 2014.10.24 |
○○부 한시조직의 사무보조원이 일반부서로 이동하는 경우 무기계약직 전환 시점 [고용평등정책과-113] (0) | 2014.10.24 |
공기업 스포츠센터 업무담당자가 무기계약직 전환 대상자인지 여부 [고용평등정책과-108] (0) | 2014.10.24 |
지사별 근무기간을 계속근로기간으로 보아야 하는지 여부 [고용평등정책과-107] (0) | 2014.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