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청 관내 △△회사 소속근로자 ○○○은 1995.1월 임금과 1997.1월 임금을 받지 못한 채 1999.1.1 퇴사한 후 2001.1.1 고소를 제기하였음. 이 경우 근로기준법 제36조 위반혐의로 처벌할 수 있는지 여부(임금채권 소멸시효의 중단에 관한 사유가 없었고, 고소제기일을 공소제기 가능일로 간주함)?
[갑설] 제기한 2001.1.1을 기준으로 1995.1월 임금과 1997.1월 임금의 임금채권 소멸시효가 만료되었다 하더라도 퇴사일 1999.1.1로부터 공소시효가 만료되지 않았으므로 1995.1월 임금 및 1997.1월 임금 모두 처벌할 수 있음.
[을설] 퇴사일 1999.1.1로부터 공소시효가 만료되기 이전에 고소가 제기되었고 퇴사일인 1999.1.1을 기준으로 1995.1월 임금은 임금채권 소멸시효가 만료되었으므로 처벌할 수 없으나 1997.1월 임금은 임금채권 소멸시효가 만료되지 않았으므로 처벌할 수 있음.
[병 설] 1999.1.1로부터 공소시효가 만료되기 이전인 2001.1.1 고소를 제기하였으나 고소를 제기한 2001.1.1 기준으로 1995.1월 임금 및 1997.1월 임금 모두 임금채권 소멸시효가 만료되었으므로 처벌할 수 없음.
<회 시>
근로기준법 제36조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가 퇴직한 때로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등 금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는 바, 이때 임금은 같은법 제48조의 규정에 의한 소멸시효가 완성된 것은 제외된다고 보아야 할 것임.
따라서, 귀 질의상의 [을설]과 같이 퇴직 시 소멸시효가 완성되지 아니한 임금을 그 때로부터 14일 이내에 근로자에게 지급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같은법 제112조의 규정에 의한 처벌을 받게 될 것인 바, 이때 근로기준법 위반의 죄에 대하여는 “공소시효는 범죄행위를 종료한 때로부터 진행한다”는 형사소송법 제252조의 규정에 따라 퇴직일로부터 14일이 경과한 날로부터 동 법상 공소시효가 완성되지 아니한 시점까지는 그 처벌이 가능하다고 보아야 할 것임.
【임금 68207-315, 2001.05.03】
'근로자, 공무원 > 임금, 보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망퇴직위로금을 수령하면서 “모든 임금채권이 정산·정리되었다”고 제출한 동의서의 효력 여부 (0) | 2013.10.06 |
---|---|
노조의 불법 직장점거로 인해 임금지급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임금을 지급일에 지급하지 못할 경우 임금체불에 해당되는지 (0) | 2013.10.06 |
교섭타결 이후 업무속개시까지 사업주의 귀책사유에 의한 휴업으로 볼 수 있는지 (0) | 2013.10.06 |
근로기준법 제37조제2항의 최종 3월분의 임금에 포함되는 상여금의 범위 (0) | 2013.10.06 |
임금채권우선변제가 되는 최종 3개월분 임금의 의미 (0) | 2013.10.04 |
상여금을 월단위로 지급할 경우 통상임금에 포함되는지 여부 (0) | 2013.10.04 |
남녀차별에 기인한 임금차액에 대한 법 적용문제 (0) | 2013.10.04 |
개인질병으로 인한 휴직기간 및 면허정지기간중 상여금 지급여부 (0) | 2013.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