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지방법원 2024.01.31. 선고 2023가단18067 판결】

 

• 전주지방법원 판결

• 사 건 / 2023가단18067 손해배상(기)

• 원 고 / A

• 피 고 / B

• 변론종결 / 2024.01.17.

• 판결선고 / 2024.01.31.

 

<주 문>

1.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2. 소송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피고는 원고에게 264,248,441원과 이에 대하여 이 사건 소장 부본 송달일 다음 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 연 12%의 비율로 계산한 돈을 지급하라.

 

<이 유>

1.  기초사실

 

가. 원고는 공업용 필름 도, 소매업 등을 목적으로 한 회사이다. 피고는 2019.7.8.부터 피고의 영업직원(직급 이사)으로 근무하다가 2022.12.17. 퇴직하였다.

나. 피고는 근무기간 동안 원고로부터 월 급여 200만 원 및 수당(영업으로 발생한 월 매출의 순이익 30%)을 지급받았다.

다. 피고는 2022.12.16. 원고에게 사직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하였다. 원고는 2022.12.28. 피고에게 피고가 영업을 담당한 거래업체의 미수금이 2022.12.19. 기준 92,368,072원에 이른다는 이유로 2023.1.15.까지 정리 방안을 제시하고 미수금을 회수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증명우편을 발송하였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1 내지 5호증(가지번호 있는 것은 가지번호 포함), 을 제2호증의 각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주장 및 판단

 

가. 원고의 주장 요지

피고가 영업을 담당한 거래업체에 납품하였으나 그 대금을 받지 못한 미수금이 171,880,369원에 이르고, 피고가 선주문하여 제품을 미리 생산하였으나 피고가 퇴직하면서 해당 거래업체로 하여금 원고의 제품이 아닌 다른 회사의 제품을 공급받도록 유도하여 재고로 남게 된 제품의 금액이 92,368,072원에 이른다.

원고와 피고는 피고가 영업을 한 거래업체와 장래에 미수금 등 법률상 문제가 발생할 경우 피고가 법률상 문제에 대하여 모든 책임을 지기로 하는 특약을 구두로 체결하였다. 또한 피고는 고용계약상 의무(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 신의칙상 고지의무, 경업피지의무)를 위반하거나 업무상 배임행위를 하여 원고에게 위 미수금 및 재고 금액상당의 손해를 입게 하였다.

따라서 피고는 원고에게 채무불이행(특약 위반 및 고용계약상 의무 위반) 또는 불법행위(업무상 배임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으로 위 미수금 및 재고 금액 합계 264,248,441원과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나. 판단

1) 특약 위반에 따른 채무불이행 책임 주장에 대하여

먼저 원고와 피고 사이에 원고가 주장하는 특약이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 보건대, 갑 제10, 11호증의 각 1, 2의 각 기재만으로는 원고와 피고 사이에 원고가 주장하는 특약이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하기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

나아가 설령 위 특약이 있었다고 하더라도,「근로기준법 제20조는 “사용자는 근로계약 불이행에 대한 위약금 또는 손해배상액을 예정하는 계약을 체결하지 못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근로자가 근로계약을 불이행한 경우 반대급부인 임금을 지급받지 못한 것에서 더 나아가 위약금이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여야 한다면 근로자로서는 비록 불리한 근로계약을 체결하였다 하더라도 근로계약의 구속에서 쉽사리 벗어날 수 없을 것이므로, 위와 같은 위약금이나 손해배상액 예정의 약정을 금지함으로써 근로자가 퇴직의 자유를 제한받아 부당하게 근로의 계속을 강요당하는 것을 방지하고, 근로자의 직장선택의 자유를 보장하며 불리한 근로계약을 해지할 수 있도록 보호하려는 데에 위 규정의 취지가 있다.」는 법리(대법원 2022.3.11. 선고 2017다202272 판결, 대법원 2004.4.28. 선고 2001다53875 판결 등 참조)에 비추어, 위 특약은 근로기준법 제20조가 금지하는 근로계약 불이행에 대한 위약금 또는 손해배상액의 예정에 관한 약정에 해당하여 무효라고 봄이 타당하다.

따라서 원고의 이 부분 주장은 이유 없다.

2) 고용계약상 의무 위반으로 인한 채무불이행 책임 주장 및 업무상 배임행위로 인한 불법행위 책임 주장에 대하여

을 제1호증의 기재 및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여 알 수 있는 아래의 사정을 모아 보면, 원고가 제출한 증거들만으로는 피고가 고용계약상 의무를 위반하였다거나 업무상 배임행위를 하였다는 사실을 인정하기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

① 피고는 매출이 아닌 순이익을 기준으로 30%의 수당을 지급받았고, 원고는 납품대금이 입금된 이후에 피고에게 수당을 지급하였다. 피고로서는 미수금이 발생하면 자신이 받을 수당이 줄게 되므로, 미수금 발생 가능성이 높은 거래업체에 영업을 하거나 그러한 거래업체와 거래할 동기나 이유가 없다.

② 피고가 퇴사 직전에 선주문을 한 후 해당 거래업체로 하여금 피고가 취직한 다른 회사와 거래하도록 유도하였다는 점에 관하여 아무런 증거가 없고, 원고는 2023.2.28. 피고를 업무상배임죄 등으로 고소하였으나 전북김제경찰서장은 2023.11.6. 증거불충분으로 불송치(혐의없음) 결정을 하였다.

따라서 원고의 이 부분 주장도 이유 없다.

 

3.  결론

 

그렇다면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으므로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판사 이창섭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근로조건, 균등처우,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접시험에서 직무와 무관한 장애에 관한 질문을 하는 것은 장애인차별금지법에서 금지하는 차별행위에 해당한다 [대법 2023두50127]  (0) 2024.01.24
복리후생적 금품인 자녀학자금보조비를 일부 무기계약직에게 지급하지 않은 것은 차별에 해당한다 [서울북부지법 2022가소347415]  (0) 2024.01.05
해외파견이 연수나 교육훈련이 아닌 파견근로에 해당하므로 퇴직금에서 교육비를 상계한 것은 무효이다 [대구고법 2023나10994]  (0) 2023.11.07
무기계약직에서 전환된 일반직과 기존의 일반직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비교집단에 속해 있다고 볼 수 없고, 차등 호봉 부여에는 합리적인 이유가 있다 [서울고법 2022나2041172]  (0) 2023.10.24
정규직에게 지급하는 가족수당 등을 무기계약직에게 지급하지 않은 것이 헌법상 평등의 원칙, 근로기준법 제6조 등을 위반한 차별적 처우로 위법한지(소극) [서울고법 2022나2049299]  (0) 2023.10.24
국가가 공무원에게 지급하는 수당, 성과상여금 등을 공무직 근로자인 국도관리원들에게 지급하지 않은 것이 근로기준법 제6조를 위반한 차별적 처우에 해당하는지 [대법 2016다255941]  (0) 2023.10.05
미리 정해둔 성비에 따라 지원자를 채용함으로써 신입사원 공개채용 과정에서 여성에게 불리한 조치를 한 법인과 인사팀장 벌금형 [서울중앙지법 2023고단443]  (0) 2023.08.28
무기계약직은 ‘사회적 신분’에 해당하지 않고, 수당을 차등 지급했더라도 ‘사회적 신분을 이유로 한 차등대우’에 해당하지 않는다 [서울중앙지법 2020가합537058]  (0) 2023.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