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사립학교법70조의2에 따라 학교법인이 설치하는 사무기구의 사무직원에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이하 산학협력법이라 함) 34조에 따라 산학협력단(산학협력법 제25조제1항에 따른 산학협력단을 말하며, 이하 같음.)에서 채용한 직원이 포함되는지?(학교법인의 정관에 산학협력단 직원의 정원, 채용, 보수, 복무 및 신분보장에 관한 사항이 없는 경우를 전제함.)

[질의 배경]

민원인은 사립학교법사립학교교직원 연금법에서 정하는 교직원의 자격이 사립학교에 설치된 산학협력단 직원에게도 통용되어야 한다는 입장으로, 위 질의요지에 대한 교육부의 회신 내용에 이견이 있어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학교법인의 정관 규정 상 정원·임용·보수·복무 및 신분보장 등에 있어 산학협력단 직원을 학교법인이 설치하는 사무기구의 사무직원으로 보아야 할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사립학교법70조의2에 따라 학교법인이 설치하는 사무기구의 사무직원에 산학협력법 제34조에 따라 산학협력단에서 채용한 직원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 유>

사립학교법70조의2에서는 학교법인은 학교법인의 사무와 그가 설치·경영하는 학교의 사무를 처리할 목적으로 사무기구를 설치하고, 그 사무기구에서 사무를 수행하는 사무직원은 학교의 장의 제청으로 학교법인이 임용하며, 사무직원의 정원·임용·보수·복무 및 신분보장에 관한 사항은 학교법인의 정관으로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70조의3에서는 같은 법 제70조의2에 따라 임명된 사무직원의 당연퇴직에 대하여는 사립학교 교원의 당연퇴직에 대해 규정한 같은 법 제57조를 준용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산학협력법 제25조제1항 및 제2항에서는 대학은 학교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산학연협력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는 조직으로서 학교법인과는 별개의 법인인 산학협력단을 대학에 둘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26조에서는 대학의 장은 산학협력단 직원의 임면에 관한 사항(7) 등이 포함된 정관을 작성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법 제34조에서는 산학협력단의 직원은 산학협력단의 부담으로 보수를 지급하고 직원을 채용하는 경우 근무기간, 급여, 근무조건 등의 계약조건을 정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양 법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산학협력단의 직원과 학교법인이 설치하는 사무기구의 사무직원은 채용 근거 규정, 채용 주체, 보수·복무 및 신분보장 등에 있어 구분되는 것이 분명합니다.

또한 산학협력법 제34조제3항 및 제4항에서는 대학의 장이 산학협력단의 단장과 협의하여 산학협력단의 직원에게 그 대학의 사무를 담당하게 하거나 산학협력단의 단장이 요청하는 경우 소속 교직원에게 산학협력단의 사무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고 하여, 학교 소속 사무직원이 포함된 교직원과 산학협력단에서 채용한 직원이 구분되는 것을 전제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산학협력법에서 산학협력단의 설치 근거를 규정한 취지가 비록 대학에 법인격이 없어 자기 책임 아래 산학협력계약을 체결하는 등 법률관계의 당사자가 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법인격을 가지는 기관을 대학에 둔 것(2002.10.17. 의안번호 제161827호로 발의된 산업교육진흥법중개정법률안 국회 교육위원회 심사보고서 참조)이고 산학협력단이 실질적으로 대학의 하부조직과 같이 운영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법제처 2018.12.28. 회신 18-0551 해석례 참조)고 하더라도, 학교법인의 정관에 산학협력단 직원의 정원, 채용, 보수, 복무 및 신분보장에 대해 사무직원으로 볼 만한 별도의 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이상, 사립학교법70조의2에 따라 학교법인이 설치하는 사무기구의 사무직원에 산학협력법 제34조에 따라 산학협력단에서 채용한 직원이 포함된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아울러 교육 구성원의 생활 안정과 복리증진 도모를 목적으로 하는 한국교직원공제회법7조의22항에서는 한국교직원공제회가 정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일반회원으로 할 수 있는 대상으로 사립학교법70조의2에 따른 사립학교의 사무직원(2)을 규정하고 있었으나, 산학협력단에 고용된 연구원 및 직원은 대학의 일반 직원에 비해 차별적인 대우를 받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2018612일 법률 제15626호로 한국교직원공제회법이 일부개정되면서 같은 법 제7조의22항제11호를 신설하여 산학협력단의 연구원 및 직원 중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사람을 명시적으로 추가(2018.6.12. 법률 제15626호로 일부개정되어 2018.9.13. 시행된 한국교직원공제회법개정이유 및 주요내용 참조)하였는바, 한국교직원공제회법에서도 산학협력단의 직원이 사립학교법70조의2에 따른 사립학교의 사무직원과 구별됨을 전제로 별개의 호를 신설한 것이라는 점도 이 사안을 해석할 때 고려해야 합니다.

한편 고등교육법19조의2에 따라 학교가 설치·운영하여야 하는 대학평의원회를 구성하는 직원에 산학협력단의 직원도 포함되므로 산학협력단에서 채용한 직원도 사립학교법70조의2에 따른 사무직원에 포함된다는 의견이 있으나, 대학평의원회를 구성하는 직원에 산학협력단의 직원이 포함된다고 보는 것은 고등교육법에서 대학평의원회에 참여하는 직원의 의미를 따로 규정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학내 구성원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의사결정의 민주성을 높이기 위한 대학평의원회 설치 취지를 고려(법제처 2018.12.28. 회신 18-0551 해석례 참조)하여 대학평의원회를 구성하는 직원의 범위를 넓게 인정한 것이므로 이를 이유로 사립학교법70조의2에 따른 사무직원의 범위를 달리 해석할 수는 없다는 점에서 그러한 의견은 타당하지 않습니다.

 

법제처 20-0625, 2020.12.29.

 

반응형

'기타 > 기타 행정해석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연금품의 관리·운용에 대해 행정안전부장관이 전국재해구호협회의 장과 협의하여 고시하는 경우의 협의의 의미 [법제처 20-0637]  (0) 2021.01.27
가명처리된 질병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개인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지 여부 [법제처 20-0569]  (0) 2021.01.27
물건 소유자의 배우자가 물건 소유자와 「주민등록법」상 주소를 달리하는 경우 해당 물건에 대한 주민등록전입세대 열람 가능 여부 [법제처 20-0655]  (0) 2021.01.26
지방자치단체 인터넷 홈페이지의 “시민의 소리”에 제기한 민원이 「민원 처리에 관한 법률」 제27조제1항 본문에 따라 문서로 통지하여야 할 민원인지 여부 [법제처 20-0565]  (0) 2021.01.09
농어업경영정보의 등록정정일을 변경등록 유효기간의 기산일로 볼 수 있는지 여부 [법제처 20-0566]  (0) 2021.01.09
공공용으로 사용하지 않을 목적으로 용도폐지된 공유수면이 공유수면에 해당하는지 여부 [법제처 20-0544]  (0) 2021.01.09
지방의회가 채무면제 청원을 의결한 경우 이를 지방자치법 제124조제5항에 따른 지방의회의 의결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법제처 20-0570]  (0) 2021.01.08
일반행정사 및 기술행정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이 행정사 종류별로 각각 1개의 사무소를 설치할 수 있는지 여부 [법제처 20-0615]  (0) 2021.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