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이하 시설물안전법 시행령이라 함) 43조제1항제7호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의 과태료 부과 및 징수에 관한 권한을 위임받은 지방국토관리청장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시설물안전법이라 함) 11조제1항 및 제12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에 따른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등을 실시하지 않은 관리주체[관리주체가 중앙행정기관의 감독을 받는 공공관리주체이거나 시·도지사인 경우(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별표 15 비고 제1호 가목)로 한정함.]에 대해 같은 법 제67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제2항제12호에 따른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는지?

[질의 배경]

국토교통부에서는 위 질의요지에 대해 내부 의견 대립이 있어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이 사안의 경우 지방국토관리청장은 관리주체에게 시설물안전법 제67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제2항제12호에 따른 과태료를 부과할 수 없습니다.

 

<이 유>

시설물안전법 제60조제1항에서는 같은 법에 따른 국토교통부장관의 권한은 그 일부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도지사 또는 소속기관의 장에게 위임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그 위임에 따른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제1항에서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지방국토관리청장에게 위임하는 권한을 각 호로 열거하여 한정적으로 규정하고 있는바, 이는 행정기관의 권한 및 책임의 일치를 위해 법률에 규정된 행정기관의 권한 중 일부를 위임하려는 경우 법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르도록 한 것이므로 법령에서 위임되는 권한으로 규정되지 않은 사항까지 위임대상으로 확장하여 해석할 수는 없습니다.

그런데 시설물안전법 시행령 제43조제1항제7호에서는 같은 항제1호부터 제5호까지에 따라 위임받은 권한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 한해 같은 법 제67조에 따른 과태료 부과 및 징수에 관한 사항을 지방국토관리청장에게 위임한다고 규정하고 있을 뿐, 같은 법 제67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제2항제12호에 따라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내진성능평가를 포함함)을 실시하지 않은 자에 대해 부과하는 과태료 권한은 위임대상으로 명시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시설물안전법 시행령 제43조제1항제3호에서는 같은 법 제17조제5항에 따른 결과보고서 제출 명령을 규정하고 있는데, 시설물안전법 제17조제1항에 따르면 결과보고서는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한 자가 작성하는 것이므로 지방국토관리청장에게 위임되는 결과보고서 제출 명령과 관련된 권한에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지 않은 자에 대한 과태료 권한까지 포함된다고 볼 수 없습니다.

또한 시설물안전법 시행령 제43조제1항제5호에서는 같은 법 제59조제1항 및 제3항부터 제6항까지에 따른 실태점검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데, 같은 법 제59조제1항 및 제3항에서는 국토교통부장관 등(국토교통부장관, 주무부처의 장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을 말함.)이 시설물 등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태를 점검할 수 있고, 실태점검 결과 필요한 사항을 권고하거나 시정 요청을 할 수 있으며 요청을 받은 자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이에 따라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실태점검에 관하여 위임받은 권한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과태료 부과 및 징수에 관한 사항이란 같은 법 제67조제3항제19호에서 규정한 정당한 사유 없이 실태점검 결과에 따른 시정 요청에 따르지 않은 자에 대한 과태료 권한으로 한정된다고 보아야 합니다.

따라서 시설물안전법 제11조제1항 및 제12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에 따른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등을 실시하지 않은 관리주체에 대해 과태료를 부과하는 권한은 지방국토관리청장에게 위임된 것이 아니므로 지방국토관리청장은 시설물안전법 제67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제2항제12호에 따른 과태료를 부과할 수 없습니다.

법령정비 권고사항

시설물안전법 제11조 및 제12조에 따른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지 않은 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 권한 등을 지방국토관리청장에게 위임할 필요가 있다면,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제1항 각 호에 반영하여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법제처 20-0507, 2020.12.02.

 

반응형

'환경, 안전 > 소방, 안전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상용승강기 승강장을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과 겸용하는 경우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외의 건축물 내부와 접하는 창문의 설치 가능 여부 [법제처 20-0598]  (0) 2021.01.26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의 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9조제2항제1호의 적용 범위 [법제처 20-0663]  (0) 2021.01.09
두께 2밀리미터 미만인 벽지가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24조제3항에 따른 내부마감재료에 해당하는지 여부 [법제처 20-0600]  (0) 2021.01.07
초경량비행장치 전문교육기관으로 지정받을 수 있는 대상의 범위(항공안전법 제126조 등 관련) [법제처 20-0589]  (0) 2021.01.01
선박안전법이 적용되지 않는 “2007년 11월 4일 전에 건조된 선박”의 의미(선박안전법 시행령 제2조제1항제3호 등 관련) [법제처 20-0379]  (0) 2020.10.22
공동주택관리기구가 갖춰야 하는 기술인력의 의미(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별표 1 등 관련) [법제처 20-0420]  (0) 2020.10.15
석면건축물 관리기준 중 석면건축물 조사 주기인 “6개월마다”의 의미(석면안전관리법 시행령 제33조 등 관련)[법제처 20-0393]  (0) 2020.10.14
석면안전관리법 시행령 별표 3의2 제2호 고급감리원 자격기준란 바목이 적용되는 대상의 범위 [법제처 20-0381]  (0) 2020.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