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결요지>

보증인 보호를 위한 특별법(이하 보증인보호법이라 한다)은 보증에 관하여 민법에 대한 특례를 규정함으로써 아무런 대가 없이 호의로 이루어지는 보증인의 경제적·정신적 피해를 방지하고, 금전채무에 대한 합리적인 보증계약의 관행을 확립함으로써 신용사회 정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1). 보증계약을 체결할 때 보증채무 최고액을 서면으로 특정해야 하고(4, 6), 보증기간의 약정이 없는 때에는 그 기간을 3년으로 보고(7조제1), 보증기간은 갱신할 수 있되 보증기간의 약정이 없는 때에는 계약체결 시의 보증기간을 그 기간으로 본다(7조제2).

이러한 규정들의 내용과 체계, 입법 목적 등에 비추어 보면, 보증인보호법 제7조제1항의 취지는 보증채무의 범위를 특정하여 보증인을 보호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규정에서 정한 보증기간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보증인이 보증책임을 부담하는 주채무의 발생기간이라고 해석함이 타당하고, 보증채무의 존속기간을 의미한다고 볼 수 없다.

원고가 연대보증인인 피고를 상대로 대여금의 지급을 구한 사안에서, 보증인 보호를 위한 특별법 제7조제1항에서 보증기간의 약정이 없는 때에는 그 기간을 3년으로 본다고 정하고 있는데, 보증기간은 주채무의 발생기간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고 보증채무의 존속기간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하여, 같은 취지로 연대보증 계약일부터 3년의 보증기간이 지나 보증책임이 없다는 피고의 주장을 배척한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대법원 2020.7.23. 선고 201842231 판결

 

대법원 제3부 판결

사 건 / 201842231 [대여금]

원고, 피상고인 / 원고

피고, 상고인 / 피고

원심판결 / 대구지방법원 2018.8.29. 선고 20181986 판결

판결선고 / 2020.07.23.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보증인 보호를 위한 특별법(이하 보증인보호법이라 한다)은 보증에 관하여 민법에 대한 특례를 규정함으로써 아무런 대가 없이 호의로 이루어지는 보증인의 경제적·정신적 피해를 방지하고, 금전채무에 대한 합리적인 보증계약의 관행을 확립함으로써 신용사회 정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1). 보증계약을 체결할 때 보증채무 최고액을 서면으로 특정해야 하고(4, 6), 보증기간의 약정이 없는 때에는 그 기간을 3년으로 보고(7조제1), 보증기간은 갱신할 수 있되 보증기간의 약정이 없는 때에는 계약체결 시의 보증기간을 그 기간으로 본다(7조제2).

이러한 규정들의 내용과 체계, 입법 목적 등에 비추어 보면, 보증인보호법 제7조제1항의 취지는 보증채무의 범위를 특정하여 보증인을 보호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규정에서 정한 보증기간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보증인이 보증책임을 부담하는 주채무의 발생기간이라고 해석함이 타당하고, 보증채무의 존속기간을 의미한다고 볼 수 없다.

 

2. 원심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원고의 청구를 인용하였다.

 

소외인은 2009.7.14. 원고에게 차용금 합계 120,000,000, 변제기 2009.8.31.로 정한 각서를 작성하여 교부하였고, 피고는 차용금채무를 연대보증하였다. 따라서 피고는 원고에게 차용금 120,000,000원과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피고는 이 사건 소제기 당시 피고의 연대보증일부터 보증인보호법 제7조제1항에서 정한 3년의 보증기간이 지났으므로 연대보증책임이 소멸하였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보증인보호법 제7조제1항에서 정한 3년의 보증기간이 지났다고 해서 보증인의 보증책임이 소멸한다고 볼 수 없다.

 

3. 원심 판단은 위에서 본 법리에 기초한 것으로 정당하다. 원심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보증인보호법 제7조제1항에서 정한 보증기간의 해석에 관하여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4. 피고의 상고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동원(재판장) 김재형(주심) 민유숙 노태악

 

반응형

'경영, 금융, 보험, 상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배주주가 상법 제360조의24 제1항에 따라 매도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반드시 소수주주가 보유하는 주식 전부에 대하여 권리를 행사하여야 하는지 [대법 2018다224699]  (0) 2020.08.04
유사상호 사용에 대하여 상호사용금지와 상호등기의 폐지, 유사상호의 사용으로 입은 손해의 배상을 구한 사건 [전주지법 2019가합1670]  (0) 2020.07.31
정당한 대가를 지급하지 않고 타인의 아이디어 정보를 사용한 행위가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하는지 문제된 사건 [대법 2020다220607]  (0) 2020.07.30
가맹계약갱신요구기간 경과 후 갱신거절 관련 불공정거래행위 성립 여부 사건 [대법 2019다289495]  (0) 2020.07.30
대표이사의 업무 일체를 다른 사람에게 위임하고 대표이사의 직무를 전혀 집행하지 않은 것은 그 자체로 이사의 충실 및 선관의무를 위반한 행위에 해당한다 [광주고법 2019나22912]  (0) 2020.07.29
소규모회사에서 이사의 자기거래의 경우 주주총회 결의 흠결을 치유할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의 존부 [대법 2019다205398]  (0) 2020.07.15
유명 명품가방에 눈알 모양의 도안을 부착하여 판매한 행위가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하는지 [대법 2017다217847]  (0) 2020.07.15
감사인이 중요사항의 누락 또는 거짓 기재를 하였다는 점의 주장·증명책임은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자에게 있다 [대법 2016다268848]  (0) 2020.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