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이하 도시정비법이라 함) 16조에 따른 정비계획의 결정 및 정비구역의 지정고시가 이루어진 이후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해당 구역을 대상으로 정비계획에 포함해야 하는 사항을 모두 포함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구단위계획을 결정고시하는 것만으로 도시정비법 제17조제2항에 따라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이 변경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아니면 도시정비법에 따른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의 변경 절차를 다시 거쳐야 하는지?

[질의 배경]

서울특별시에서는 00아파트지구(2002.12.30. 법률 제6852호로 제정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부칙 제5조제3항에 따라 주택재건축구역으로 보며 정비계획이 수립된 것으로 보는 지구)에 대한 정비계획의 변경이 필요하나 해당 내용을 포함하는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추진할 수 있는지에 대해 국토교통부 질의를 거쳐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이 사안의 경우 지구단위계획을 결정고시하면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이 변경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유>

먼저 법의 해석에 있어서는 법령에 사용된 문언의 의미에 충실하게 해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법령의 문언 자체가 비교적 명확한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다른 해석방법은 제한될 수밖에 없습니다.(대법원 2009.4.23. 선고 200681035 판결례 참조)

도시정비법 제16조제2항에서 정비구역의 지정과 정비계획의 결정을 규정하면서 각각 변경지정변경결정을 포함한다고 하면서 이하 같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같은 항 이하 규정에서 특별히 달리 규정하고 있지 않은 이상 정비구역의 지정에는 정비구역의 변경지정까지 포함된다고 할 것이고, 같은 법 제17조제2항에서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국토계획법이라 함)에 따른 지구단위계획구역에 대하여 도시정비법 제9조제1항 각 호의 사항을 모두 포함한 지구단위계획을 결정고시(변경결정고시하는 경우를 포함한다)하는 경우 해당 지구단위계획구역은 정비구역으로 지정고시된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문언상 지구단위계획을 결정고시하는 것만으로 정비구역의 변경지정고시도 의제되는 것이 명백합니다.

그리고 도시정비법 제17조에서 정비구역의 지정고시가 있는 경우 해당 정비구역 및 정비계획 중 국토계획법 제52조제1항에 따른 지구단위계획내용에 해당하는 사항은 국토계획법 제50조에 따른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지구단위계획으로 결정고시된 것으로 보도록 하고(1), 지구단위계획구역에 대하여 정비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을 모두 포함한 지구단위계획을 결정고시하는 경우 해당 지구단위계획구역은 정비구역으로 지정고시된 것으로 보도록 규정하고 있는 것은(2) 국토계획법에 따른 지구단위계획(지구단위계획구역)”과 도시정비법에 따른 정비계획(정비구역)”이 서로 그 내용 및 목적이 상당 부분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관련 절차가 대부분 같다는 점을 고려해 같은 내용의 계획을 같은 절차를 반복하여 두 번 수립하거나 변경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한 취지라고 보아야 하므로,(2002.12.30. 법률 제6852호로 제정되어 2003.7.1. 시행된 도시정비법 국회 검토보고서 및 법제처 2016.4.27. 회신 15-0650 해석례 참조) 도시정비법 제17조제2항에 따라 의제되는 효과를 정비구역의 변경지정고시를 제외한 정비구역의 지정고시만으로 제한하고 정비계획 변경절차를 다시 거치도록 하는 것은 해당 규정의 입법 목적에도 부합하지 않습니다.

 

법제처 18-0382, 2018.10.02.

 

반응형

'주택, 부동산 > 건설, 건축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병으로 인한 시장정비사업시행자의 변경은 시장정비사업추진계획의 경미한 변경사항에 해당하는지 여부 [법제처 18-0367]  (0) 2019.07.11
건축물의 층수는 증가시키지 않고 높이만 증가시키는 행위로 시정명령을 받은 자에 대해서도 이행강제금을 부과할 수 있는지 여부 [법제처 18-0268]  (0) 2019.07.10
건설업의 등록 등을 하지 않은 정보통신공사업자가 대형공사의 일괄입찰 등에 참가할 수 있는지 여부(「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84조제1항 등 관련) [법제처 18-0525]  (0) 2019.07.09
도교육청의 청사 및 부지가 도청의 청사 및 부지에 포함되는지 여부(「도청이전을 위한 도시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31조의2 관련) [법제처 18-0391]  (0) 2019.07.09
소규모재건축사업을 위한 조합 설립 시 시장・군수등이 검인한 서면동의서를 사용해야 하는지 여부(「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제56조 관련) [법제처 18-0368]  (0) 2019.07.05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에 따른 사업 시행을 위해 도시개발법 제11조제5항에 따른 도시개발구역 지정 제안을 해야 하는지 [법제처 18-0420]  (0) 2019.07.03
교육환경평가서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건축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판단기준(「교육환경 보호에 관한 법률」 제6조제1항제5호 등 관련) [법제처 18-0344]  (0) 2019.07.02
도지사가 직접 입안하는 도시·군관리계획의 결정권자가 도지사인지 여부(「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9조 등 관련) [법제처 18-0500]  (0) 2019.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