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 파업으로 인해 일주일 전부를 출근하지 않은 경우 주휴일 및 연차유급휴가 부여 방법
<회 시>
❍ 「근로기준법」 제55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0조의 규정에 따라 사용자는 1주 동안의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하는 바,
- 근로의 제공 없이도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급하도록 한 유급휴일의 특별규정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평상적인 근로관계, 즉 근로자가 근로를 제공하여 왔고, 또한 계속적인 근로제공이 예정되어 있는 상태가 전제되어 있다고 볼 수 있어야 하며(대법원 2009.12.24., 2007다73277), 주휴·연차휴가 등의 성질에 비추어 주 또는 연의 전부를 출근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이를 부여하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 따라서 질의와 같이 파업 기간을 포함하여 해당 주 전부를 실제 출근하지 않았다면 주휴일은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른 연차유급휴가 부여와 관련하여 적법한 쟁의행위로 근로제공 의무가 정지되어 근로를 제공하지 아니한 기간이 포함된 경우 쟁의행위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실제 소정근로일수에 대한 출근율에 따라 취득 요건을 판단하면 될 것이며,
- 이때 부여해야 할 연차유급휴가일수는 평상의 근로관계에서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경우 부여되는 휴가일수에서 ‘총 소정근로일수’에 대한 위의 ‘실제 소정근로일수’ 비율을 곱하여 산정하면 될 것입니다(임금근로시간정책팀-3228, 2007.10.25).
[근로기준정책과-401, 2017.01.13.]
'근로자, 공무원 > 근로시간, 휴게, 휴일, 휴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격일제 근로자 연차유급휴가 산정 [근로기준정책과-561] (0) | 2019.04.03 |
---|---|
통상 근로자가 없는 사업장에서의 주40시간 미만 근로자의 연차유급휴가 산정 방법(유급주휴 부여시간 산정) [근로기준정책과-5943] (0) | 2019.04.03 |
연월차휴가 발생 요건 충족을 위한 출근율 계산시 직장폐쇄기간, 노조전임기간의 처리 방법 [대법 2015다66052] (1) | 2019.04.03 |
일 미만 단위 연차유급휴가 부여 관련 [근로기준정책과-2431] (0) | 2019.04.02 |
연차유급휴가 발생 기준 관련 [근로기준정책과-7714] (0) | 2019.04.01 |
기간제근로자의 연차유급휴가 부여 등 관련 [근로기준정책과-2216] (0) | 2019.04.01 |
약정유급휴가의 유급처리 범위 [근로기준정책과-1107] (0) | 2019.03.29 |
근로시간 및 휴게시간 특례 관련 [근로기준정책과-1577] (0) | 2019.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