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결요지>

휴일근로시간은 구 근로기준법 제50조제1항의 ‘1주 간 기준근로시간 40시간및 제53조제1항의 ‘1주 간 연장근로시간 12시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봄이 타당하므로 당연한 논리적 귀결로 휴일근로에 따른 가산임금과 연장근로에 따른 가산임금은 중복하여 지급될 수 없다.

 

서울고등법원 제15민사부 2018.11.16. 20152031962, 20152031979(병합) 판결 [임금]

원고, 피항소인 / 별지1 원고들 목록 기재와 같다.

피고, 항소인 / ○○○산전 주식회사

1심판결 / 수원지방법원 안양지원 2015.5.8. 선고 2013가합101628, 2013가합101635(병합) 판결

변론종결 / 2018.10.19.

 

<주 문>

1. 1심 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취소한다.

2. 위 취소 부분에 해당하는 원고들의 청구를 모두 기각한다.

3. 소송총비용은 원고들이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항소취지>

1. 청구취지

피고는 원고들에게 별지2 청구금액 합계표 전체합계란 기재 각 돈과 이에 대하여 소장 송달 다음 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 연 20%의 비율에 의한 돈을 지급하라.

2. 항소취지

주문과 같다.

 

<이 유>

1. 1심 판결의 인용

 

이 법원이 이 사건에 관하여 설시할 이유는, 1심 판결의 제4휴일 근무시 연장근로수당과 휴일근로수당의 중복 가산부분(15쪽 제9행부터 제18쪽 제8행까지)을 아래와 같이 고치면서 아울러 제5결론부분(15쪽 제9 내지 11)을 삭제하고, 다음 제2항과 같은 당심에서의 판단을 덧붙이는 외에는 제1심 판결의 그것과 같으므로 민사소송법 제420조 본문에 의하여 이를 그대로 인용한다.

 

4. 휴일 근무시 연장근로수당과 휴일근로수당의 중복 가산

 

. 원고들의 주장

근로시간이 1주일에 40시간을 넘은 경우 휴일에 한 근로는 휴일근로임과 동시에 연장근로에 해당하므로, 그와 같은 휴일근로에 대하여는 휴일근로수당과 연장근로수당이 중복 지급되어야 하는데, 피고는 원고들이 휴일근로를 한 경우 1일 근로시간 8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이상 휴일근로수당만을 지급하였으므로, 피고는 원고들에게 휴일의 연장근로수당을 추가로 지급할 의무가 있고, 그에 기초한 추가 퇴직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 판단

구 근로기준법(2018.3.20. 법률 제1551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과 근로기준법 시행령 규정의 내용과 체계 및 취지, 법률 규정의 제·개정 연혁과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입법 취지 및 목적, 근로관계 당사자들의 인식과 기존 노동관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휴일근로시간은 구 근로기준법 제50조제1항의 ‘1주 간 기준근로시간 40시간및 제53조제1항의 ‘1주 간 연장근로시간 12시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봄이 타당하므로 당연한 논리적 귀결로 휴일근로에 따른 가산임금과 연장근로에 따른 가산임금은 중복하여 지급될 수 없다(대법원 2018.6.21. 선고 2011112391 판결 참조). 따라서 이와 다른 전제에 선 원고들의 위 주장은 더 나아가 판단할 필요 없이 받아들일 수 없다.

 

2. 덧붙이는 판단

 

휴일근로에 따른 가산임금과 연장근로에 따른 가산임금이 중복되어 지급될 수 없다는 취지의 피고의 항소이유에 관한 주장을 받아들여 제1심 판결의 해당 부분을 위와 같이 수정하였다.

 

3. 결 론

 

그렇다면 원고들의 청구는 이유 없어 모두 기각할 것인바, 이와 일부 결론을 달리한 제1심 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은 부당하므로 이를 취소하고, 취소 부분에 해당하는 원고들의 청구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판사 이동근(재판장) 송석봉 서삼희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근로시간, 휴게, 휴일, 휴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력적 근로시간제 도입 및 유효기간 설정 [근로기준정책과-3971]  (0) 2019.02.25
근로자대표 선출 및 마케팅관련업무의 재량근로시간 대상업무 여부 [근로기준정책과-6953]  (0) 2019.02.22
1주간 40시간을 초과하는 근로시간에 대하여는 휴일근무수당 외 연장근로수당까지 중복하여 지급하여야 한다 [대전고법 2015나791, 2015나807]  (0) 2019.02.19
도로주행 교습 중 급성 심근경색으로 사망 자동차운전학원 강사 업무상재해, 수강생이 교습시간에 출석하지 않아 대기하는 교습시간은 업무시간 [서울행법 2017구합66213]  (0) 2019.01.28
휴일근로에 따른 가산임금과 연장근로에 따른 가산 임금은 중복하여 지급될 수 없다 [서울고법 2016나2045241]  (0) 2019.01.17
보험사 영업부서장으로서 거래처 사람들을 상대로 한 휴일골프 참여는 사용자의 지휘·감독 아래 근로를 제공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 [서울중앙지법 2018나25938]  (0) 2019.01.14
연장근로한도 특례업종임에도 연장근로한도 특례를 적용하지 않은 사업장에 대한 근로시간 52시간 단축 규정의 시행시기(「근로기준법」 부칙 제1조제2항제1호 등 관련) [법제처 18-0408]  (0) 2018.11.08
근로자가 통상적으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할 의무를 부담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초단시간 근로자 해당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서울고법 2017누76410]  (0) 2018.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