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국가공무원법26조의2에서는 국가기관의 장은 업무의 특성이나 기관의 사정 등을 고려하여 소속 공무원을 국회규칙, 대법원규칙, 헌법재판소규칙, 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 또는 대통령령(이하 대통령령등이라 함)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통상적인 근무시간보다 짧게 근무하는 공무원으로 임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공무원임용령57조의31항에서는 임용권자 또는 임용제청권자는 공무원이 원할 때에는 국가공무원법26조의2에 따라 통상적인 근무시간보다 짧은 시간을 근무하는 공무원으로 지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공무원임용령57조의32항에서는 시간선택제전환공무원의 근무시간은 공무원의 1주간 근무시간을 40시간으로 규정한 국가공무원 복무규정9조에도 불구하고 주당 15시간 이상 30시간 이하의 범위에서 소속 장관이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공무원연금법3조제1항제1호에서는 공무원이란 상시 공무(公務)에 종사하는 국가공무원법, 지방공무원법, 그 밖의 법률에 따른 공무원 등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공무원임용령57조의3에 따라 통상적인 근무시간보다 짧은 시간을 근무하도록 지정된 공무원(이하 시간선택제전환공무원이라 함)공무원연금법3조제1항제1호에 따른 공무원에 해당하는지?

[질의 배경]

민원인은 시간선택제전환공무원이 공무원연금법의 적용대상이라는 인사혁신처의 유권해석에 이의가 있어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시간선택제전환공무원은 공무원연금법3조제1항제1호에 따른 공무원에 해당합니다.

 

<이 유>

국가공무원법26조의2에서는 국가기관의 장은 업무의 특성이나 기관의 사정 등을 고려하여 소속 공무원을 대통령령등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통상적인 근무시간보다 짧게 근무하는 공무원으로 임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공무원임용령57조의31항에서는 임용권자 또는 임용제청권자는 공무원이 원할 때에는 국가공무원법26조의2에 따라 통상적인 근무시간보다 짧은 시간을 근무하는 시간선택제전환공무원으로 지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공무원임용령57조의32항에서는 시간선택제전환공무원의 근무시간은 공무원의 1주간 근무시간을 40시간으로 규정한 국가공무원 복무규정9조에도 불구하고 주당 15시간 이상 30시간 이하의 범위에서 소속 장관이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공무원연금법3조제1항제1호에서는 공무원이란 상시 공무에 종사하는 국가공무원법, 지방공무원법, 그 밖의 법률에 따른 공무원(가목) 또는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직원(나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 사안은 시간선택제전환공무원이 공무원연금법3조제1항제1호에 따른 공무원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먼저, 공무원연금법3조제1항제1호에서는 공무원이란 상시 공무에 종사하는 국가공무원법, 지방공무원법, 그 밖의 법률에 따른 공무원(가목) 또는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직원(나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공무원연금법의 적용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상시 공무에 종사하여야 하고, ② 「국가공무원법지방공무원법등에 따른 공무원에 해당하여야 할 것인데, 국가공무원법26조의2에서는 국가기관의 장은 업무의 특성이나 기관의 사정 등을 고려하여 소속 공무원을 대통령령등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통상적인 근무시간보다 짧게 근무하는 공무원으로 임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그 위임에 따라 공무원임용령57조의31항에서는 시간선택제전환공무원을 지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시간선택제전환공무원은 국가공무원법에 따른 공무원이라고 할 것입니다.

다음으로, 상시 공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의 의미에 대하여 공무원연금법에서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지는 않으나 공무원의 복무에 관한 사항을 정하고 있는 국가공무원 복무규정9조제1항에서는 공무원의 1주간 근로시간은 40시간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상시 공무에 종사하는지 여부는 공무원의 통상적인 근무시간인 주당 4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고 할 것인데, 국가공무원법26조의2에서는 국가기관의 장은 업무의 특성이나 기관의 사정 등을 고려하여 소속 공무원을 대통령령등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통상적인 근무시간보다 짧게 근무하는 공무원으로 임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이에 따라 공무원임용령57조의3에서는 임용권자 또는 임용제청권자는 공무원이 원할 때에는 시간선택제전환공무원으로 지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국가공무원법공무원임용령에서는 국가공무원 복무규정9조제1항에 대한 예외로서 통상적인 근무시간 보다 짧게 근무하는 공무원을 예정하고 있다고 할 것입니다.

또한, 2005225일 대통령령 제18715호로 개정되어 같은 날 시행된 공무원임용령57조의2에서는 육아휴직 사유에 해당하는 공무원이 원하는 때에는 통상적인 근무시간보다 짧게 근무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으나, 2007516일 대통령령 제20059호로 개정되어 같은 날 시행된 공무원임용령57조의3에서는 육아휴직 대상 공무원에게만 허용되던 시간제근무제도를 모든 일반직 및 기능직 공무원에게 확대할 수 있도록 하였고, 20131216일 대통령령 제25000호로 개정되어 같은 날 시행된 공무원임용령57조의3에서는 일과 가정생활을 병행할 수 있는 근무여건을 조성하고 양질의 일자리 나누기를 통한 고용 창출을 위하여 시간선택제 근무의 전환 등에 대해 규정하였는바, 시간선택제전환공무원제도는 통상적인 근무시간에 근무할 수 있는 지위에 있는 공무원이 일과 가정생활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복무형태의 하나라고 할 것입니다(20131216일 대통령령 제25000호로 개정되어 같은 날 시행된 공무원임용령 개정이유서 참조).

그렇다면, 공무원연금법3조제1항제1호에 따른 상시 공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은 공무원의 통상적인 근무시간인 주당 40시간 동안 근무할 수 있는 지위에 있는 공무원을 의미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인바, 시간선택제전환공무원은 통상적인 근무시간 동안 근무할 수 있는 지위에 있으나 업무의 특성이나 기관의 사정 등을 고려하여 통상적인 근무시간보다 짧게 근무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상시 공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으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따라서, 시간선택제전환공무원은 공무원연금법3조제1항제1호에 따른 공무원에 해당한다고 할 것입니다.

 

법제처 17-0106, 2017.05.11.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4대 사회보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인연금법 제정 이전 퇴직한 군인의 재직경력이 구 공무원연금법 시행 당시 같은 법 제3조제3항에 따른 재직기간 합산 대상인지 여부 [법제처 16-0659]  (0) 2018.06.26
국민건강보험법 제110조제3항에 따른 임의계속가입자의 보수월액 산정 시 사용관계가 끝난 날이 속하는 달의 보수가 반영되는지 [법제처 16-0662]  (0) 2018.06.19
방과후학교 시간강사의 계약기간 중에 방학기간이 포함되어 있고 그 기간 동안 보수가 지급되지 않더라도 고용관계가 계속되었다면 조기재취업 수당 지급해야 [대법 2015두44165]  (0) 2018.05.30
재산상 손해를 끼치고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여 권고사직을 하고도 거짓 또는 부정한 방법으로 실업급여를 받았다고 볼 수 없다 [전주지법 2016노1905]  (0) 2018.03.23
“보험급여를 받을 권리”에 진찰·검사 등에 대하여 국민건강보험으로 그 비용 지급이 이루어지도록 재정산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가 포함되는지 [법제처 17-0100]  (0) 2018.02.20
압류가 금지된 휴업급여의 수령계좌를 변경한 행위가 강제집행면탈죄를 구성하는지 여부 [대법 2017도6229]  (0) 2018.01.23
정년연장의 경우, 고령자 고용연장 지원금 유효기간 경과 후 지원금 지급이 인정되는 범위(대통령령 제25022호 고용보험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부칙 제2조제1항 단서 등 관련) [법제처 17-0256]  (0) 2018.01.18
근로복지공단이 산재보험급여 부정수급자로부터 급여액의 배액을 부당이득으로 징수함에 있어 부당이득징수액에서 공제할 금액의 범위 [대법원 2017두44718]  (0) 2017.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