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수산업법(2009.4.22. 법률 제9626호로 전부개정되어 2010.4.23. 시행되기 전의 것) 53조제1항 및 구 수산자원보호령(2010.4.20. 대통령령 제22128호로 폐지되기 전의 것) 21조제2항에 따라 경상북도 도지사가 고시한 연근해어업 포획·채취물의 종류 제한 고시(경상북도 고시 제2008-248)가 법률 제9627수산자원관리법부칙 제2조에 근거하여 같은 법 제14조제4항 후단에 따라 고시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질의 배경]

민원인은 구 수산업법53조제1항제1호 및 구 수산자원보호령21조제2항의 위임에 따라 경상북도 도지사가 고시한 연근해어업 포획·채취물의 종류 제한 고시의 효력 유무에 대하여 경상북도 및 해양수산부에 질의하였고, 제정 수산자원관리법부칙 제2조에 따라 여전히 유효하다는 취지의 답변을 받자 이에 이견이 있어 직접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수산업법(2009.4.22. 법률 제9626호로 전부개정되어 2010.4.23. 시행되기 전의 것) 53조제1항 및 구 수산자원보호령(2010.4.20. 대통령령 제22128호로 폐지되기 전의 것) 21조제2항에 따라 경상북도 도지사가 고시한 연근해어업 포획·채취물의 종류 제한 고시(경상북도 고시 제2008-248)는 법률 제9627수산자원관리법부칙 제2조에 근거하여 같은 법 제14조제4항 후단에 따라 고시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유>

수산업법(2009.4.22. 법률 제9626호로 전부개정되어 2010.4.23. 시행되기 전의 것을 말하며, 이하 수산업법이라 함) 53조제1항제3호에서는 어업단속·위생관리·유통질서, 그 밖에 어업조정을 위하여 포획·채취할 수 있는 수산동식물의 종류에 관한 제한이나 금지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수산자원보호령(2010.4.20. 대통령령 제22128호로 폐지되기 전의 것을 말하며, 이하 수산자원보호령이라 함) 21조제1항에서는 농림수산식품부장관, ·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은 자원보호 및 어업조정상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포획·채취물의 종류와 체장 및 포획·채취의 시기를 제한할 수 있다고 규정하면서, 같은 조제2항에서는 농림수산식품부장관, ·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은 제1항에 따른 제한을 하려는 경우에는 이를 고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제정 수산자원관리법(2009.4.22. 법률 제9627호로 제정되어 2010.4.23. 시행된 것을 말하며, 이하 제정 수산자원관리법이라 함) 14조제1항에서는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은 수산자원의 번식·보호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수산자원의 포획·채취 금지 기간·구역·수심·체장·체중 등을 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4항에서는 시·도지사는 관할 수역의 수산자원 보호를 위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제1항의 수산자원의 포획·채취 금지기간 등에 관한 규정을 강화하여 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면서, 이 경우 시·도지사는 그 내용을 고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법 부칙 제2조에서는 이 법 시행 당시 종전의 수산업법, 종전의 기르는 어업육성법및 종전의 수산업법53조 및 제77조의 위임에 따른 대통령령(이하 수산자원보호령이라 함)에 따른 처분·절차와 그 밖의 행위로서 이 법에 그에 해당하는 규정이 있는 때에는 이 법에 따라 행하여진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 사안은 구 수산업법53조제1항 및 구 수산자원보호령21조제2항에 따라 경상북도 도지사가 고시한 연근해어업 포획·채취물의 종류 제한 고시(경상북도 고시 제2008-248호를 말하며, 이하 고시라 함)가 제정 수산자원관리법부칙 제2조에 근거하여 같은 법 제14조제4항 후단에 따라 고시된 것으로 볼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먼저, 수산자원관리법의 제정 취지는, 기존의 여러 수산관련 법령에 흩어져서 규정되어 있던 수산자원의 보호·관리에 관한 사항을 분리·통합하여 수산자원의 포획·채취 금지 등 수산자원 보호방안을 체계화하고, 대통령령인 구 수산자원보호령에 근거를 두고 있던 포획·채취금지 등 수산자원 보호 조치의 근거를 법률에 명확히 규정함으로써 수산자원의 효율적 관리와 이용에 기여하기 위한 것으로서(2009.4.22. 법률 제9627호로 제정되어 2010.4.23. 시행된 수산자원관리법 제정이유서 참조), 이러한 입법취지에 따라 수산자원의 포획·채취 금지 등 수산자원 보호방안과 관련된 사항을 규정하고 있던 구 수산업법53조 및 구 수산자원보호령21조는 새로 제정된 수산자원관리법14조로 이관되어 규정되었습니다.

또한, 구법의 위임에 따라 마련된 유효한 고시가 법령의 폐지 또는 제·개정으로 인해 그 위임의 근거가 없어지게 되면 그 때부터는 고시의 효력이 상실되는 것이 원칙이라 할 것이나, 예외적으로 부칙에서 해당 고시와 관련한 사항에 대하여 경과조치를 두는 경우라면 그 취지를 고려하여 고시의 효력 유무를 판단하여야 할 것입니다(법제처 2012.8.10. 회신 12-0381 해석례 참조).

그런데, 제정 수산자원관리법부칙 제2조에서는 이 법 시행 당시 구 수산자원보호령에 따른 처분·절차와 그 밖의 행위로서 이 법에 그에 해당하는 규정이 있는 때에는 이 법에 따라 행하여진 것으로 본다는 경과조치를 두고 있고, 이 사안의 고시는 구 수산자원보호령에 따라 경상북도 도지사가 고시한 것으로서, 제정 수산자원관리법부칙 제2조에 따른 수산자원보호령에 따른 그 밖의 행위에 해당한다고 할 것입니다.

아울러,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법, 제정 수산자원관리법14조제1항 및 제4항에서는 구 수산자원보호령21조에서 규정하고 있던 포획·채취물의 종류에 대한 제한과 그와 관련한 고시를 정할 수 있다는 내용을 규정하고 있는바, 이는 제정 수산자원관리법부칙 제2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이 법에 그에 해당하는 규정이 있는 때에 해당된다고 할 것이고, 따라서 이 사안의 고시는 위 경과조치에 따라 이 법에 따라 행하여진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한편, 수산자원보호령21조에서 포획·채취물의 제한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던 내용 중 포획·채취물의 종류가 제외된 채로 제정 수산자원관리법14조로 이관되었고, 이 사안의 고시는 포획·채취가 제한되는 포획·채취물의 종류에 관한 사항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 사안의 고시를 제정 수산자원관리법부칙 제2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이 법에 그에 해당하는 규정이 있는 때로 볼 수 없다는 의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제정 수산자원관리법14, 같은 법 시행령 제6, 별표 1 및 별표 2에서는 포획·채취가 제한되는 수산자원의 종류, 포획·채취 금지 기간·구역·수심·체장·체중 등(이하 기간 등이라 함)을 규정하면서, 다만, 포획·채취 금지 기간 등에 관한 규정을 강화하려는 경우에는 시·도지사가 고시하도록 하고 있는바, ‘대게에 대하여 기간 등에 관계없이 전면적으로 포획·채취를 금지하고 있는 이 사안의 고시는 제정 수산자원관리법14조제1항 및 제4항에 따라 포획·채취 금지 기간 등에 관한 규정을 강화하여 고시한 것에 해당한다고 할 것입니다. 따라서, 수산자원보호령21조에서 규정하고 있던 내용이 실질적으로는 그대로 구 수산자원관리법14조로 이관되었다고 할 것이므로 그러한 의견은 타당하지 않다고 할 것입니다.

이상과 같은 점을 종합해 볼 때, 수산업법53조제1항 및 구 수산자원보호령21조제2항에 따라 경상북도 도지사가 고시한 이 사안의 고시는 제정 수산자원관리법부칙 제2조에 근거하여 같은 법 제14조제4항 후단에 따라 고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할 것입니다.

 

법제처 15-0484, 2015.09.30.

 

반응형

'기타 > 기타 행정해석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물의 외벽이 없는 경우 집회 및 시위에 따른 확성기등의 소음 측정이 가능한지(「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2 등 관련) [법제처 15-0493]  (0) 2015.11.16
타사업 등록을 위한 선박의 임대가 내항 화물운송사업 변경신고 대상인지(「해운법」 제12조제1항 관련)[법제처 15-0587]  (0) 2015.11.16
지방자치단체가 종전 10년 주기의 계획이 종료된 후에 개정규정에 따라 5년 단위 중기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지(「도시교통정비 촉진법」 제7조의2제1항 등 관련)[법제처 15-0538]  (0) 2015.11.13
산림공학기술자 자격기준에서 산림공학과정 교육이수는 산림기술사 자격을 가진 이후의 교육이수를 의미하는지?(「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2 관련)[법제처 15-0533]  (0) 2015.11.13
1급정사서 자격요건 중에서 대학원 석사학위는 도서관 등 근무경력 이후의 학위를 의미하는지?(「도서관법 시행령」 별표 3 제1호다목 관련) [법제처 15-0479]  (0) 2015.11.11
사회적협동조합이 중소기업의 범위에 포함되는지(「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제1항 등 관련) [법제처 15-0465]  (0) 2015.11.10
신법에 따른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경과조치가 적용되는지 여부(구 「유통산업발전법」 부칙 제3조 관련) [법제처 15-0418]  (0) 2015.11.10
법원의 재산조회 요청 시 「재산조회규칙」에 따른 조회비용을 받을 수 있는지(「자동차관리법」 제76조 등 관련) [법제처 15-0583]  (0) 2015.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