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용준칙의 개정과 그에 대한 동의가 기간제법 부칙 제2항 소정의 ‘근로계약의 체결·갱신’에 해당하는지

 

<판결요지>

원고가 그 소속 근로자인 참가인과의 기존 근로계약에 적용되던 ‘계약직 직원 및 파트타이머 운용준칙’의 내용을 2007.7.1.자로 개정하고 피고 보조참가인이 그 개정에 대하여 동의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를 기존 근로계약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내용의 근로계약을 새롭게 체결한 것으로 볼 수 없고, 위 운용준칙의 개정과 그에 대한 참가인의 동의는 기왕의 근로계약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기왕의 근로계약기간이 변경되지도 아니하였으므로 이를 근로계약의 갱신으로 볼 수 없어 위 운용준칙의 개정과 그에 대한 참가인의 동의는 기간제법 부칙 제2항 소정의 ‘근로계약의 체결·갱신’에 해당하지 않는다.

 

◆ 대법원 2013.04.26. 선고 2011두29724 판결 [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 원고, 피상고인 / A

♣ 피고 / 중앙노동위원회위원장

♣ 피고보조참가인, 상고인 / B

♣ 원심판결 / 서울고등법원 2011.10.21. 선고 2011누1414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 보조참가인이 부담한다.

 

<주 문>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기간제법’이라고 한다) 부칙(2006.12.21.) 제2항과 관련한 상고이유에 관하여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① 원고가 그 소속 근로자인 피고 보조참가인(이하 ‘참가인’이라고 한다)과의 기존 근로계약에 적용되던 ‘계약직 직원 및 파트타이머 운용준칙’의 내용을 2007.7.1.자로 개정하고 피고 보조참가인이 그 개정에 대하여 동의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를 기존 근로계약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내용의 근로계약을 새롭게 체결한 것으로 볼 수 없고, ② 위 운용준칙의 개정과 그에 대한 참가인의 동의는 기왕의 근로계약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기왕의 근로계약기간이 변경되지도 아니하였으므로 이를 근로계약의 갱신으로 볼 수 없다는 등의 이유로, 위 운용준칙의 개정과 그에 대한 참가인의 동의가 기간제법 부칙 제2항 소정의 ‘근로계약의 체결·갱신’에 해당한다는 참가인의 주장을 배척하였다.

관련 법리에 비추어 기록을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기간제법 부칙 제2항의 해석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나머지 상고이유에 관하여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원고와 참가인 사이에 체결된 2009.5.27.자 최종 근로계약에 정하여진 계약기간이 단지 형식에 불과하여 사실상 기간의 정함이 없는 계약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고, 또한 참가인에게 위 계약기간 만료 후 원고와의 재계약 체결에 관한 정당한 기대권이 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 및 기록에 의하여 알 수 있는 원고와 참가인 사이의 각 근로계약의 내용, 근로계약이 이루어지게 된 동기 및 그 체결 경위 등 제반 사정을 관련 법리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근로계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고영한(재판장) 양창수(주심) 박병대 김창석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근로계약, 취업규칙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합원이 업무상 재해로 사망한 경우 직계가족 또는 배우자 중 1인을 특별채용한다’는 내용의 단체협약 조항은 무효[지법 2012가합2732]  (0) 2014.09.04
정년 산정을 위한 생년월일은 실제의 생년월일로 삼기로 하는 묵시적 합의 인정[지법 2013가합541493]  (0) 2014.09.04
경업금지약정에 따라 퇴직위로금 전액을 반환하도록 한 것은 손해배상의 예정으로서 예정액이 부당히 과다하다[지법 2012가합75531]  (0) 2014.09.04
회사 분할에 따라 일부 사업 부문이 신설회사에 승계, 해당 근로자가 근로관계의 승계를 거부할 수 있는 경우[대법 2012다102124]  (0) 2014.09.03
취업규칙 변경에 근로자의 동의가 필요한데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 근로자의 동의를 받는 방법[대법 2010다17468]  (0) 2014.08.30
사내 하도급이 불법 근로자 파견에 해당하는지 여부[대법 2011두7076]  (0) 2014.08.30
임시근로계약서에 명시한 계약기간이 지나더라도 근로계약이 갱신될 수 있으리라는 정당한 기대관계가 형성되었다고 볼 수 없다[대법 2010두7628]  (0) 2014.08.28
근로자에게 근로계약이 갱신될 수 있으리라는 정당한 기대권이 인정되는 경우, 그에 반하는 사용자의 부당한 근로계약 갱신거절의 효력[대법 2010두24128]  (0) 2014.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