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2020년 4월 7일 법률 제17244호로 일부개정되어 2020년 10월 8일 시행된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이하 “구 중소기업창업법”이라 함) 제2조제1호에서는 “창업”이란 중소기업을 새로 설립하는 것을 말한다고 규정하면서, 이 경우 창업의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그 위임에 따라 마련된 구 중소기업창업법 시행령(2020.10.8. 대통령령 제31108호로 일부개정되어 같은 날 시행된 것을 말하며, 이하 같음) 제2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에서 “창업”은 중소기업을 새로 설립하여 사업을 개시하는 것으로서 같은 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고 규정하면서, 같은 항제5호에서는 “법인인 중소기업자가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출자지분을 포함하며, 이하 같음.) 총수의 100분의 30 이상(해당 법인과 그 임원이 소유하고 있는 주식을 합산하여 산정하며, 이하 같음.)을 소유하는 경우로서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를 기준으로 가장 많은 주식의 지분을 소유하는 다른 법인인 중소기업을 새로 설립하여 사업을 개시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는바,

법인인 중소기업자의 “창업”에서 제외되는 구 중소기업창업법 시행령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다른 법인인 중소기업을 새로 설립하여 사업을 개시하는 것’이 ‘다른 법인인 중소기업을 새로 설립하여 기존 사업과 같은 종류의 사업을 개시하는 것’으로 한정되는지?

 

<회 답>

구 중소기업창업법 시행령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다른 법인인 중소기업을 새로 설립하여 사업을 개시하는 것’은 ‘다른 법인인 중소기업을 새로 설립하여 같은 종류의 사업을 개시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습니다.

 

<이 유>

먼저 법령의 문언이 비교적 명확한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원칙적으로 더 이상 다른 해석방법은 활용할 필요가 없거나 제한될 수밖에 없다고 할 것인데(대법원 2009.4.23. 선고 2006다81035 판결례 참조), 구 중소기업창업법 시행령 제2조제1항제5호에서는 창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 중의 하나로 ‘법인인 중소기업자’가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30 이상을 소유하는 경우로서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를 기준으로 가장 많은 주식의 지분을 소유하는 다른 법인인 중소기업을 새로 설립하여 ‘사업’을 개시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는데, 같은 항제4호에서 ‘개인인 중소기업자’가 일정한 주식 소유 요건(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30 이상을 소유하거나 의결권 있는 방행주식 총수를 기준으로 가장 많은 주식의 지분을 소유할 것)을 갖추어 ‘기존 사업과 같은 종류의 사업’을 개시하는 것을 창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의 하나로 규정한 것과 달리, 법인인 중소기업자의 경우는 기존 사업과 같은 종류의 사업인지 여부에 관계 없이 일정한 주식 소유 요건을 갖추어 “다른 법인인 중소기업을 새로 설립하여 사업을 개시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구 중소기업창업법 시행령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라 일정한 주식 소유 요건을 갖추어 다른 법인인 중소기업을 새로 설립하여 사업을 개시하면 새로 설립된 다른 법인인 중소기업이 개시하는 사업이 기존 사업과 같은 종류의 사업인지 다른 종류의 사업인지 여부와 상관없이 “창업”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점은 문언상 명확하다고 할 것입니다.

그리고 구 중소기업창업법 시행령 제2조제1항제5호는 2020년 10월 8일 대통령령 제31108호로 종전의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시행령」을 일부개정하면서, 창업에서 제외되는 승계 방식의 사업 개시 형태를 명확히 규정하기 위하여 “창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보는 사업 개시 형태를 상속·증여로 사업을 계속하는 경우(제1호), 개인인 중소기업자가 기존 사업을 계속 영위하면서 단독으로 또는 친족과 합하여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30퍼센트 이상을 소유하거나 가장 많은 주식 지분을 소유하는 법인인 중소기업을 설립하여 기존 사업과 같은 종류의 사업을 개시하는 경우(제4호), 법인인 중소기업자가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30퍼센트 이상을 소유하는 경우로서 가장 많은 주식 지분을 소유하는 다른 법인인 중소기업을 설립하여 사업을 개시하는 경우(제5호) 등으로 명확하게 규정하면서 신설된 규정으로,(2020.2.18. 대통령령 제30436호로 일부개정되어 2020.2.21. 시행된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조문별 제·개정이유서 참조) 법인인 중소기업자의 경우 자회사 성격의 중소기업을 새로 설립하여 사업을 개시하는 경우에는 사업의 종류와 관계 없이 중소기업창업 지원법령상 각종 지원 대상이 되는 창업으로 인정하지 않으려는 의도를 반영한 것(‘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계획(중소벤처기업부 보고자료)' 참조)인바, 구 중소기업창업법 시행령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다른 법인인 중소기업을 새로 설립하여 사업을 개시하는 것’을 ‘다른 법인인 중소기업을 새로 설립하여 같은 종류의 사업을 개시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해석함으로써, 다른 법인인 중소기업을 새로 설립하여 다른 종류의 사업을 개시하는 경우도 “창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해당 규정의 입법연혁 및 개정취지에도 부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구 중소기업창업법 시행령 제2조제1항제5호에 따른 ‘다른 법인인 중소기업을 새로 설립하여 사업을 개시하는 것’은 ‘다른 법인인 중소기업을 새로 설립하여 같은 종류의 사업을 개시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습니다.

 

【법제처 23-0838, 2024.01.26.】

 

반응형

'경영, 금융, 보험, 상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집적법 제13조의5제3호에 따른 “공장설립등의 승인을 받은 후 4년이 지난 날”의 기산점 [법제처 23-1144]  (0) 2024.03.13
금융회사의 여신전문금융회사에 대한 대출금이 기술보증기금법 시행규칙 제4조제1항제2호바목에 따른 ‘금융회사간의 대출금’에 해당하는지 여부 [법제처 23-0788]  (0) 2023.12.06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는 전자화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고, 전자지급수단에 해당한다고 볼 수도 없다 [서울중앙지법 2017가합585293]  (0) 2023.02.09
알 수 없는 경위로 피해자의 비트코인을 자신의 계정으로 이체 받은 후 자신의 다른 계정으로 이체한 사건 [대법 2020도9789]  (0) 2023.02.09
특정 기간 동안 일정한 실적을 달성하는 다단계판매원에 대하여만 후원수당을 추가로 지급하는 것이 “다단계판매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경우”에 해당하는지 여부 [법제처 21-0803]  (0) 2022.01.19
영업시간 제한 또는 의무휴업 명령 대상에 대형마트로서의 요건은 갖추었으나 아직 개설등록을 하지 않은 점포도 포함되는지 여부 [법제처 21-0567]  (0) 2021.10.26
상법 제385조제1항에서 해임대상으로 정하고 있는 ‘이사’에 ‘임기만료 후 이사로서의 권리의무를 행사하고 있는 퇴임이사’가 포함되는지 [대법 2020다285406]  (0) 2021.09.07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62조의10제2항에 따른 농지보전부담금 면제대상의 범위 [법제처 21-0201]  (0) 2021.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