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 단시간근로자가 아닌 주 40시간 미만 근로자의 연차유급휴가 산정방법
<회 신>
❍ 단시간근로자의 연차유급휴가는 근로기준법 제18조제1항·제2항 및 같은 법 시행령 별표2에서 규정한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 결정기준 등에 관한 사항」 제4호(나목)에 따라 산정*하여야 합니다.
* 통상근로자의 연차휴가일수 × [단시간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 / 통상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 × 8시간
❍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은 통상 근로자의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산정한 비율에 따라 연차유급휴가를 산정하는 취지를 감안하여 비교대상인 통상근로자가 없는 1주 소정근로시간이 40시간 미만인 근로자의 경우에도 위와 같은 방벌을 준용하여 법정근로시간에 비례하여 연차유급휴가를 산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됩니다.
* 제60조의 연차휴가일수 × [대상근로자의 1주 평균 소정근로시간 / 법정 근로시간(40)] × 8시간
【임금근로시간과-2754, 2021.12.03.】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근로시간, 휴게, 휴일, 휴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상 보수교육이 근로시간에 포함됨을 전제로 임금을 청구한 사건 [대법 2022다203798] (0) | 2022.05.25 |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근로자의 연차 유급휴가의 산정 방식 [법제처 22-0070] (0) | 2022.05.10 |
근로기준법 제74조제5항에 따라 임신 중인 여성근로자에게 금지되는 “시간외근로”의 기준이 되는 시간은 법정근로시간인지 소정근로시간인지 등 [법제처 22-0186] (0) | 2022.04.28 |
어플 및 증언만으로는 연장근로 내지 야간근로를 입증하기 어렵하다 [대법 2015다236578 / 서울중앙지법 2014나9327] (0) | 2022.04.28 |
기존 공휴일을 특정 근로일로 대체하여 유급휴일로 보장하던 중 그 공휴일의 대체공휴일이 새로 지정된 경우 새로 지정된 대체공휴일의 유급휴일 보장 여부 [법제처 21-0547] (0) | 2021.11.05 |
주휴일, 비번일, 관공서공휴일 등 부여 방법 [임금근로시간과-637] (0) | 2021.11.05 |
일급제인 단시간근로자의 관공서공휴일 등 유급휴일 적용 [임금근로시간과-1129] (0) | 2021.11.05 |
1년 기간제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연차휴가일수는 최대 11일 [대법 2021다227100] (0) | 2021.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