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결요지>

교통사고 충격의 정도, 피해차량 운전자의 사고 직후 상태, 피해 차량이 정차된 위치 등 제반사정을 종합하여 보면, 피해차량 운전자가 실제로 피고인의 차량을 추격하지 않았다거나 그 추격 과정에서 교통상의 구체적 위험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사고로 인한 교통상의 위험과 장해가 발생하였다고 보이고 피고인으로서는 그러한 위험과 장해를 방지·제거하여 원활한 교통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었다고 판단된다.

 

대법원 2020.2.6. 선고 20193225 판결

 

대법원 제1부 판결

사 건 / 20193225 .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도주치상)

                       나. 도로교통법위반(사고후미조치)

피고인 / A

상고인 / 피고인 및 검사

원심판결 / 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 2019.2.14. 선고 2018430 판결

판결선고 / 2020.02.06.

 

<주 문>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검사의 상고이유에 관하여

 

. 도로교통법 제54조제l항제1호의 취지는 도로에서 일어나는 교통상의 위험과 장해를 방지·제거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해자의 피해를 회복시켜 주기 위한 것이 아니고, 이 경우 운전자가 취하여야 할 조치는 사고의 내용과 피해의 정도 등 구체적 상황에 따라 적절히 강구되어야 하고 그 정도는 건전한 양식에 비추어 통상 요구되는 정도의 조치를 말한다(대법원 2002.10.22. 선고 20024452 판결 등 참조).

 

. 원심판결의 이유를 위 법리와 적법하게 채택된 증거에 비추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사정을 알 수 있다.

1) 피고인은 2018.5.13. 09:40B 25톤 덤프트럭을 운전하여 삼척시 C아파트 앞 편도 3차로 도로를 정라진 쪽에서 D 쪽으로 1차로를 따라 진행하던 중 2차로로 차선을 변경하게 되었다.

2) 피고인은 위와 같이 차선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위 덤프트럭의 우측 앞바퀴 부분으로 당시 2차로로 주행하던 피해자 E이 운전하는 F 그랜저 승용차의 좌측 뒤 펜더 부분을 충격하였다(이하 이 사건 사고라 한다).

3) 이 사건 사고로 인하여, 피해자 E의 목이 심하게 꺾이고 몸이 양 옆으로 흔들리는 등 피해자 E과 그의 동승자인 피해자 G2주간의 치료가 필요한 경추의 염좌 및 긴장 등의 상해를 입었고, 수초 동안 떨리면서 밀려난 위 승용차는 뒤 펜더 부분이 찌그러지는 등 수리비가 3,816,439원이 들 정도로 파손되었다.

4) 피해자 E은 이 사건 사고 직후 3차로와 갓길 사이에 승용차를 정차시켰는데, 피고인은 이 사건 사고를 인식하고도 정차하지도 않고 그대로 운전하여 도주하였다.

 

. 위와 같은 사고 충격의 정도, 피해차량 운전자의 사고 직후 상태, 피해 차량이 정차된 위치 등 제반사정을 종합하여 보면, 피해차량 운전자가 실제로 피고인의 차량을 추격하지 않았다거나 그 추격 과정에서 교통상의 구체적 위험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사고로 인한 교통상의 위험과 장해가 발생하였다고 보이고 피고인으로서는 그러한 위험과 장해를 방지·제거하여 원활한 교통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었다고 판단된다.

그런데도 원심은 이와 달리 피고인에게 교통상의 위험과 장해를 방지·제거할 의무가 있었다고 보이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도로교통법 위반(사고후미조치) 부분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제1심판결을 파기하고 판결이유에서 무죄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도로교통법 위반(사고후미조치)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고, 이 점을 지적하는 검사의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2. 피고인의 상고이유에 관하여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피해자들이 이 사건 사고로 인하여 상해를 입었다고 보아, 이 사건 공소사실 중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위반(도주치상) 부분을 유죄로 판단한 제1심판결을 유지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하여 조사한 증거들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 논리와 경험칙을 위배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는 등의 잘못이 없다.

 

3. 파기의 범위

 

원심판결 중 도로교통법 위반(사고후미조치) 부분은 파기되어야 할 것인데 이는 원심이 유죄로 인정한 나머지 부분과 상상적 경합관계에 있으므로 결국 원심판결은 전부 파기되어야 한다.

 

4.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선수(재판장) 권순일 이기택(주심) 박정화

 

반응형

'자동차, 도로교통 > 교통사고, 자동차보험, 손해배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사고에서 고의 손해로 인한 보험자의 면책 여부가 문제된 사건(‘사망 등 중대한 결과’의 판단기준) [대법 2018다276799]  (0) 2020.07.30
야간에 왕복 6차로의 도로를 무단으로 횡단하던 피해자를 차량으로 충격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피고인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한 사건 [수원지법 2019고단3185]  (0) 2020.06.10
선처리사가 후처리사를 상대로 구상금의 지급을 청구할 때 자동차보험 구상금 분쟁심의에 관한 상호협정 시행규약 제45조가 적용되는지 여부(소극) [대법 2018다269739]  (0) 2020.05.25
사고의 발생과 작업차량들의 주차 위치나 등화를 켜지 않은 것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다 [대법 2016다259417]  (0) 2020.02.17
교통사고 피해자가 가해차량 보험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1심판결 선고 이후 지급한 돈의 법적 성격과 변제충당방법) [대법 2018다204787]  (0) 2020.02.04
자동차사고 피해자가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9조에 따른 의무보험 가입증명서 발급 청구권자인 “이해관계인”에 해당되는지 여부 [법제처 17-0027]  (0) 2018.03.14
피재자의 유족이 지출한 장례비 손해가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시행령 제3조제1항제1호에 규정된 ‘피해자에게 발생한 손해액’에 포함되는지 [대법 2017다231119]  (0) 2018.02.12
자동차해체재활용업자가 폐차인수증명서를 발급받은 경우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5조에 따른 의무보험을 해제 또는 해지할 수 있는지(「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5조 등 관련)[법제..  (0) 2017.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