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결요지>

[1] 부가가치세법 제29조제1항은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에 대한 부가가치세의 과세표준은 해당 과세기간에 공급한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가액을 합한 금액으로 한다.”라고 규정하고3항은 1항의 공급가액은 다음 각호의 가액을 말한다이 경우 대금요금수수료그 밖에 어떤 명목이든 상관없이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받는 자로부터 받는 금전적 가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하되부가가치세는 포함하지 아니한다.”라고 규정하면서 제1호에서 금전으로 대가를 받는 경우그 대가를 들고 있다(2013.6.7. 법률 제11608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구 부가가치세법 제13조제1항제1호 및 제5항의 위임에 따른 2013.6.28. 대통령령 제24638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구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48조제1항도 같은 취지이다).

위 각 법령의 문언 내용과 체계에 의하면부가가치세의 과세표준이 되는 공급가액이란 금전으로 받는 경우 재화나 용역의 공급에 대가관계가 있는 가액 곧 그 대가를 말한다 할 것이므로 재화나 용역의 공급대가가 아닌 위약금이나 손해배상금 등은 공급가액이 될 수 없다다만 재화나 용역을 공급하는 자가 이를 공급받는 자로부터 위약금 명목의 돈을 지급받았다고 하더라도 그 실질이 재화나 용역의 공급과 대가관계에 있는 것이라면이는 부가가치세의 과세표준이 되는 공급가액에 포함된다고 봄이 타당하다.

[2] 정보통신사업 등을 영위하는 甲 주식회사가 이동전화 및 인터넷통신 서비스 이용자와 사이에 이용자가 선택하는 요금제에 따라 이용 요금을 정하되이용자가 일정 기간 甲 회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조건으로 이동전화 요금인터넷통신 요금 및 모뎀 임대료 등을 할인해주는 대신이용자가 약정기간 내 계약을 중도 해지할 경우 할인금액 범위 내에서 일정 금액의 위약금 또는 할인반환금(이하 위약금 등이라 한다)을 받기로 하는 내용의 약정(이하 위 약정을 의무사용약정이라 한다)을 체결하였는데이동전화 요금 등을 할인 제공받았다가 중도 해지한 이용자들로부터 수령한 위약금 등을 과세표준에 포함하여 해당 사업연도의 부가가치세를 신고하였다가 위약금 등에 관한 부가가치세의 환급을 구하는 경정청구를 하였으나과세관청이 이를 거부한 사안에서의무사용약정에 따른 이동전화 요금 등의 할인은 이용자의 중도 해지를 해제조건으로 하는 조건부 할인으로서이용자는 의무사용 기간을 유지하여 끝까지 이동전화 요금 등의 할인을 받거나 중도 해지를 하고 할인받은 금액의 일부를 반환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었던 점이용자가 지급하는 위약금 등은 할인받은 금액의 반환이라는 성격을 가지고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반환하여야 하는 금액이 줄어드는 것은 단지 장기간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조치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는 점설령 甲 회사가 일정한 공급조건에 따라 할인하여 준 요금을 에누리로 보아 공급가액에서 제외하여 세금계산서를 발급하였더라도부가가치세법 제32조제7항 및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70조제1항제3호에 따라 그 증가분에 대하여 수정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었을 것인 점에 비추어위약금 등은 甲 회사와 의무사용약정을 체결한 이용자가 중도 해지를 선택함으로써 할인받은 금액 중 일부를 추가로 납부하여야 하는 금액으로 볼 수 있으므로그중 일부의 명목이 위약금으로 되어 있다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볼 때 甲 회사의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에 대한 대가로 보아야 하는데도이와 달리 본 원심판단에 법리오해의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대법원 2019.09.10. 선고 201761119 판결


• 원고피상고인 주식회사 ○○

• 피고상고인 분당세무서장

•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7.8.17. 선고 201732915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1. 부가가치세법 제29조제1항은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에 대한 부가가치세의 과세표준은 해당 과세기간에 공급한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가액을 합한 금액으로 한다.”라고 규정하고3항은 1항의 공급가액은 다음 각호의 가액을 말한다이 경우 대금요금수수료그 밖에 어떤 명목이든 상관없이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받는 자로부터 받는 금전적 가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하되부가가치세는 포함하지 아니한다.”라고 규정하면서 제1호에서 금전으로 대가를 받는 경우그 대가를 들고 있다(2013.6.7. 법률 제11608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구 부가가치세법 제13조제1항제1호 및 제5항의 위임에 따른 2013.6.28. 대통령령 제24638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구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48조제1항도 같은 취지이다).


위 각 법령의 문언 내용과 체계에 의하면부가가치세의 과세표준이 되는 공급가액이란 금전으로 받는 경우 재화나 용역의 공급에 대가관계가 있는 가액 곧 그 대가를 말한다 할 것이므로 재화나 용역의 공급대가가 아닌 위약금이나 손해배상금 등은 공급가액이 될 수 없다(대법원 1984.3.13. 선고 81412 판결대법원 1997.12.9. 선고 9715722 판결 등 참조). 다만 재화나 용역을 공급하는 자가 이를 공급받는 자로부터 위약금 명목의 돈을 지급받았다고 하더라도 그 실질이 재화나 용역의 공급과 대가관계에 있는 것이라면이는 부가가치세의 과세표준이 되는 공급가액에 포함된다고 봄이 타당하다.


2. 원심판결 이유와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에 의하면다음과 같은 사정들을 알 수 있다.


원고는 정보통신사업 등을 영위하는 법인으로① 이동전화 서비스 이용자와 사이에이용자가 선택하는 요금제에 따라 이동전화 이용 요금을 정하되이용자가 이동전화 서비스를 일정 기간(약정기간동안 이용할 것을 약정하는 경우 이동전화 단말기 대금과 이동전화 요금의 일부 등을 할인해주고 만약 이용자가 약정기간 내에 그 약정을 위반하여 중도 해지할 경우에는 위 할인금액 범위 내에서 일정 금액의 위약금 또는 할인반환금을 받기로 하는 내용의 약정을② 인터넷통신 서비스 이용자와 사이에이용자가 선택하는 요금제에 따라 인터넷통신 이용 요금을 정하되이용자가 일정 기간(약정기간동안 이용할 것을 약정하는 경우 무상으로 경품(상품권이나 자전거 등)을 제공하거나 인터넷 요금 및 모뎀이나 셋톱박스 등 단말기에 대한 임대료의 일부 등을 할인해주고 만약 이용자가 약정기간 내에 그 약정을 위반하여 중도 해지할 경우에는 위 할인금액 범위 내에서 일정 금액의 위약금 또는 할인반환금을 받기로 하는 내용의 약정을 각 체결하여 왔다(이하 위 각 약정을 이 사건 각 의무사용약정이라 한다).


원고는 2011년 1기부터 2014년 1기까지의 부가가치세 신고를 함에 있어서원고와 이 사건 각 의무사용약정을 체결하고 이동전화 요금·인터넷통신 요금 및 모뎀 임대료·인터넷통신 단말기 등을 할인 제공받았다가 중도 해지한 이용자들로부터 수령한 위약금 또는 할인반환금(이하 위약금 등이라 한다)을 과세표준에 포함하여 신고하였다.


원고는 2014.7.25. 피고에게 2011년 1기분 위약금 등에 관한 부가가치세의 환급을 구하는 경정청구를 하였고피고는 2014.11.10. 원고에게 경정청구액 전부를 환급하였다.


원고는 2014.11.19. 피고에게 2011년 2기분부터 2013년 2기분까지의 위약금 등에 관한 부가가치세의 환급을 구하는 경정청구를 하였다이에 대하여 피고는 2015.1.27. 원고에게 이동전화 요금이나 인터넷통신 요금 및 모뎀 임대료 등(용역)의 할인금액을 기준으로 산정된 위약금 등의 경우 용역의 공급 없이 받은 위약금에 해당하여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이에 대한 부가가치세를 환급한 반면인터넷통신 서비스를 공급하면서 제공된 단말기의 할인금액을 기준으로 산정된 위약금 등의 경우 당초 판매 시 매출로 인식하지 않았던 금액을 약정 위반에 근거하여 잔여 약정기간 등에 따라 일정 금액을 받아내는 장비판매대금의 회수 성격이므로 재화의 공급에 대한 대가로 보아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에 포함하여야 한다는 이유로 이에 관한 경정청구를 거부하였다(이하 ‘1차 거부처분이라 한다).


원고는 2015.1.29. 2014년 1기분 위약금 중 이동전화 요금인터넷통신 요금 및 모뎀 임대료 등(용역)의 할인금액을 기준으로 산정된 위약금 등에 관한 부가가치세의 환급을 구하는 경정청구를 하였다이에 대하여 피고는 2015.3.31. 위 위약금 등의 경우에도 용역의 공급대가에 해당하므로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이유로 원고의 경정청구를 거부하였다(이하 ‘2차 거부처분이라 하고, 1차 거부처분과 합하여 이 사건 각 처분이라 하며이 사건 각 처분의 대상이 된 위약금 등 총액을 이 사건 금액이라 한다).


3. 이러한 사실관계와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이 사건 금액은 그중 일부의 명목이 위약금으로 되어 있다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볼 때 원고의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에 대한 대가로 보아야 한다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원고는 이동전화 및 인터넷통신 서비스 이용자와 사이에 이용자가 선택하는 요금제에 따라 이용 요금을 정하되이용자가 일정 기간 원고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조건으로 이동전화 요금 등을 할인하는 대신이용자가 약정기간 내 계약을 중도 해지함으로써 위 요금할인 조건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기존에 할인받은 금액의 일부를 반환하기로 하는 내용으로 이 사건 각 의무사용약정을 체결하였다.


이 사건 각 의무사용약정에 따른 이동전화 요금 등의 할인은 이용자의 중도 해지를 해제조건으로 하는 조건부 할인으로서이용자는 의무사용 기간을 유지하여 끝까지 이동전화 요금 등의 할인을 받거나 중도 해지를 하고 할인받은 금액의 일부를 반환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었다.


이 사건 각 의무사용약정에 따라 이용자가 약정기간 내에 계약을 중도 해지하는 경우 반환하여야 하는 금액은 사용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다가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비로소 줄어들거나 예외적으로 계속하여 증가하게 되어 있는데이는 기본적으로 할인받은 금액이 증가함에 따라 반환하여야 하는 금액도 함께 증가하는 구조이다따라서 이용자가 지급하는 위약금 또는 할인반환금은 할인받은 금액의 반환이라는 성격을 가지고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반환하여야 하는 금액이 줄어드는 것은 단지 장기간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조치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다.


설령 원고가 일정한 공급조건에 따라 할인하여 준 요금을 에누리로 보아 공급가액에서 제외하여 세금계산서를 발급하였더라도이용자가 약정기간 사용을 조건으로 요금할인 혜택을 제공받았다가 계약을 중도 해지함으로써 원고에게 할인받은 요금의 일부를 추가 지급하는 것은 후발적 사유로 인하여 당초 세금계산서상 공급가액이 증가한 경우에 해당하므로부가가치세법 제32조제7항 및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70조제1항제3호에 따라 그 증가분에 대하여는 이러한 후발적 사유가 발생한 시점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과세표준에 반영하여 수정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었을 것이다(대법원 2011.7.28. 선고 200919984 판결 취지 참조).


결국 이 사건 금액은 원고와 이 사건 각 의무사용약정을 체결한 이용자가 중도 해지를 선택함으로써 할인받은 금액 중 일부를 추가로 납부하여야 하는 금액으로 볼 수 있으므로원고의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과 대가관계에 있다고 보인다.


4. 그런데도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사정만을 들어 이 사건 금액은 원고가 이용자들에게 제공한 재화나 용역에 대한 공급대가가 아니라 원고가 계약을 위반한 이용자들로부터 받은 위약금에 불과하여 부가가치세의 과세표준이 되는 공급가액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이러한 원심판단에는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채 부가가치세 부과대상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5.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재형(재판장조희대 민유숙 이동원(주심)

 

반응형

'기타 > 기타 판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횡령죄에서 피해자의 특정과 법인격 부인 또는 남용의 법리가 범죄 성립에 영향을 미치는지 [대법 2019도9773]  (0) 2019.12.28
담당 공무원을 기망하여 납부의무가 있는 농지보전부담금을 면제받은 경우 사기죄가 성립하는지 여부 [대법 2019도2003]  (0) 2019.12.28
기술정보의 사용 및 계약의 준거법 위반 여부(영업비밀침해금지 및 계약위반행위금지 등) [대법 2016다222712]  (0) 2019.12.28
이장 선거에서 당선된 이장해임의 무효를 구하는 청구를 기각한 사례 [제주지법 2018구합5745]  (0) 2019.12.28
당초에 어떠한 시설이 체육필수시설에 해당하였지만, 체육시설업의 영업 실질이 남아 있지 않게 된 경우, 그 시설이 여전히 체육필수시설에 해당하는지[대법 2018다237473]  (0) 2019.12.25
출판문화산업 진흥법에서 정한 도서정가제의 내용 및 입법 취지(오픈마켓 운영자의 도서정가제 위반 사건) [대법 2019마5464]  (0) 2019.12.25
부부 일방이 이혼 당시 공무원으로 재직 중인 경우 재산분할의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는지 [대법 2017므11917]  (0) 2019.12.25
불법행위로 사망한 피해자가 임기가 정해진 직업에 종사하고 있었던 경우 임기만료 후 장차 종사 가능하다고 보이는 직업과 소득을 조사·심리하여 일실수입 산정 [대법 2017다280951]  (0) 2019.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