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 당사의 근로자와 합의된 임금협정서에는 월 202.5시간(소정 근로시간)을 근무하면 월 384,750원(시급 1,900원)의 포괄급여(기본급+주휴수당)를 지급하도록 되어 있어 월 30일 중 주휴일 4일을 제외하고,
① 26일 근무시 1일 7.79시간(202.5÷26일)을 근무
② 운수회사의 특성상 2일 근무하고 1일 휴무하는 형태로 차량출고 시간은 06시부터 익일 02시까지로 하며 09시 이전과 23시 이후는 근로시간으로 보지 않으며 출·퇴근시간은 근로자 임의로 자유
위와 같은 근로조건으로 월 20일 근로시에는(주휴일은 휴무일 중 대체하기로 하였음) 1일 10시간씩 근로하기로 합의되어 있음(202.5÷20일=10.1시간) 이 경우 법 제50조 탄력적 근로시간제와 법 제51조 선택적 근로시간 규정을 적용하여 당사의 1일 근로시간 10시간(기본근로 8시간 초과하여 12시간을 초과할 수 없음) 근로시 연장근로에 해당없다고 체결한 것이 적법한지, 아니면 연장근로 지급사유가 발생되는지의 여부(당사의 근로시간은 특정일에는 10시간, 특정 주에는 40시간, 다른 특정 주에는 50시간의 근로가 발생되어 월 평균 단위기간에 총 200시간을 근로시간으로 보고, 총 202.5시간분의 임금을 지급하고 있음)
<회 시>
❍ 귀 질의서상의 사실관계가 일부 불분명하여 명확한 회신을 드리기 어려우나, 근로기준법 제50조(탄력적 근로시간제) 제1항에서는 사용자가 취업규칙에 의하여 2주 이내의 ‘일정한’ 단위기간에 대하여, 제2항에서는 1월 이내의 단위기간에 대하여 사용자가 근로자 대표와 대상근로자의 범위·단위기간을 서면으로 합의하는 경우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실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음.
❍ 따라서, 사용자가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단위기간을 미리 정하여야 하므로, 귀 질의 내용과 같이 사용자와 근로자대표가 복격일제 근무(2근무일+1휴무일이 반복되는 근로형태)를 실시키로 임금협정서상 합의하였다면, 이는 일정한 단위기간을 정하여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실시키로 합의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사료됨.
【근로기준과-1662, 2004.04.06】
'근로자, 공무원 > 근로시간, 휴게, 휴일, 휴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의 날이 휴무일인 경우에 유급수당을 지급방법 (0) | 2013.11.18 |
---|---|
유기계약과 무기계약이 계속된 경우의 계속근로 여부 (0) | 2013.11.18 |
배차시간을 임의로 초과한 운행시간에 대한 근로시간 여부 (0) | 2013.11.18 |
월차휴가근로수당의 포괄산정임금 포함 여부 (0) | 2013.11.18 |
회사의 규정으로 특정기간에 연차휴가를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정하는 것이 적법한지 (0) | 2013.11.18 |
약정휴일이 무급휴일(토요일)과 중복되었을 경우 임금지급방법 (0) | 2013.11.18 |
연차유급휴가 사용 권장 및 미사용휴가에 대한 수당지급 여부 (0) | 2013.11.18 |
유급휴일 대체시 할증임금 지급 여부 (0) | 2013.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