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2008321일 법률 제8970호로 전부개정되어 같은 해 412일 시행된 도시개발법부칙 제6조제1항에서는 법률 제6853호 도시개발법중개정법률의 시행일인 200371일 당시 종전의 도시계획법(법률 제5982)”에 따라 도시계획으로 결정된 토지구획정리사업에 관한 계획 중 토지구획정리사업법(법률 제5904) 9·10·16조 및 제32조에 따라 시행인가를 받았거나 신청기간을 지정한 지구에 대한 동 계획의 변경결정에 관하여는 종전의 도시계획법(법률 제5982)”, 시행에 관하여는 토지구획정리사업법(법률 제5904)을 각각 따른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도시계획법(법률 제5982)에 따라 도시계획으로 결정된 토지구획정리사업에 관한 계획 중 너비가 12미터 미만인 도로의 설치계획 폐지를 결정하려면, 도시계획법(법률 제5982) 12조제1항뿐만 아니라 도시계획법 시행령(대통령령 제15799) 7조의35호도 적용되어 관계 지방의회의 의견청취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의결 절차를 거쳐야 하는지?

[질의 배경]

민원인은 OO시 소재 건설회사에 근무 중인 자로서, 해당 건설회사가 도로의 설치가 계획되어 있는 부지에 건축물 건축을 추진하고 있는 관계로 해당 도로 설치계획의 변경(폐지)절차를 검토 중에, 도시개발법(법률 제8970) 부칙 제6조제1항에서의 종전의 도시계획법(법률 제5982)”의 의미에 관하여 국토교통부와 의견대립이 있어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2008321일 법률 제8970호로 전부개정되어 같은 해 412일 시행된 도시개발법부칙 제6조제1항에 따른 종전의 도시계획법(법률 제5982)”에는 그 시행 당시 유효하게 적용되던 도시계획법 시행령(대통령령 제15799)이 포함되므로, 도시계획법(법률 제5982)에 따라 도시계획으로 결정된 토지구획정리사업에 관한 계획 중 너비가 12미터 미만인 도로의 설치계획 폐지를 결정하려면, 도시계획법(법률 제5982) 12조제1항 및 도시계획법 시행령(대통령령 제15799) 7조의35호에 따라 관계 지방의회의 의견청취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의결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이 유>

2008321일 법률 제8970호로 전부개정되어 같은 해 412일 시행된 도시개발법(이하 구 도시개발법이라 함) 부칙 제6조제1항에서는 법률 제6853호 도시개발법중개정법률의 시행일인 200371일 당시 종전의 도시계획법(법률 제5982)에 따라 도시계획으로 결정된 토지구획정리사업에 관한 계획 중 토지구획정리사업법(법률 제5904) 9·10·16조 및 제32조에 따라 시행인가를 받았거나 신청기간을 지정한 지구에 대한 동 계획의 변경결정에 관하여는 종전의 도시계획법(법률 제5982), 시행에 관하여는 토지구획정리사업법(법률 제5904)을 각각 따른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도시계획법(법률 제5982호로 1999.5.24. 공포·시행된 것을 말함. 이하 구 도시계획법이라 함) 12조제1항에서는 도시계획은 건설부장관이 직권 또는 도시계획입안자의 신청에 의해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항에 관하여 관계 지방의회의 의견을 듣고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이를 결정하고, 결정된 도시계획을 변경할 때에도 또한 같으며,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사항의 변경에 있어서는 그렇지 않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시행 당시의 도시계획법 시행령(대통령령 제15799호로 1998.5.19. 공포·시행된 것을 말함. 이하 구 도시계획법 시행령이라 함) 7조의35호에서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사항의 변경토지구획정리사업에 관한 계획 중 너비가 12미터 미만인 도로의 설치·정비·개량에 관한 계획의 변경결정(폐지의 경우는 제외함)”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구 도시계획법 제12조제1항에 해당하는 현행 도시개발법(이하 현행 도시개발법이라 함) 8조제1항에서는 도시개발구역의 지정권자는 도시개발구역을 지정하거나 개발계획을 수립하려면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한 후 중앙도시계획위원회 또는 시·도도시계획위원회나 대도시에 두는 대도시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하고, 이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으며,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사항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고 규정하고 있고, 구 도시계획법 시행령 제7조의35호에 해당하는 현행 도시개발법 시행령(이하 현행 도시개발법 시행령이라 함) 7조제1항제2호 및 제14조제1항제1호에서는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의 협의와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아니할 경미한 사항으로 너비가 12미터 미만인 도로를 신설 또는 폐지하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는바,

이 사안은 구 도시개발법 부칙 제6조제1항에 따른 종전의 도시계획법(법률 제5982)”에 그 시행 당시 유효하게 적용되던 구 도시계획법 시행령이 포함되어 구 도시계획법에 따라 도시계획으로 결정된 토지구획정리사업에 관한 계획 중 너비가 12미터 미만인 도로의 설치계획 폐지를 결정하려면, 구 도시계획법 제12조제1항 및 구 도시계획법 시행령 제7조의35호에 따라 관계 지방의회의 의견청취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의결 절차를 거쳐야 하는지, 아니면 구 도시계획법 시행령이 포함되지 않아 구 도시계획법에 따라 도시계획으로 결정된 토지구획정리사업에 관한 계획 중 너비가 12미터 미만인 도로의 설치계획 폐지를 결정하려면, 구 도시계획법 제12조제1항 및 현행 도시개발법 시행령 제7조제1항제2·14조제1항제1호에 따라 관계 지방의회의 의견청취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의결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는지에 관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먼저, 법률에서 그 법률 내용의 구체적인 사항을 하위법령으로 정하도록 위임함에 따라 하위법령에서 법률에 규정할 사항을 구체적으로 정하고 있는 경우, 그 하위법령은 해당 법률의 위임 한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법률과 결합하여 대외적인 구속력이 있는 법규명령으로서의 효력을 갖게 된다고 할 것이므로(대법원 2016.1.28. 선고 201553121 판결례 참조), 구 도시개발법 부칙 제6조제1항에서의 종전의 도시계획법(법률 제5982)”에는 해당 법률과 결합하여 그와 일체로서의 지위를 가지는 하위법령인 구 도시계획법 시행령이 포함된다고 할 것입니다.

또한, 구 도시개발법 부칙 제6조제1항은 그 이전의 도시개발법(법률 제6853, 2002.12.30. 공포, 2003.7.1. 시행) 부칙 제2조제1항에 처음 신설되었다가, 도시개발법이 전부개정되면서 구 도시개발법으로 이동하여 규정된 조항으로서, 이는 토지구획정리사업 제도가 도시계획법(법률 제6243, 2000.1.28. 공포, 7.1. 시행) 개정으로 폐지되고 당시 새로 제정된 도시개발법에 흡수되면서 토지구획정리사업의 계획변경에 관하여 경과규정을 두지 않아 사업시행에 지장이 생기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시계획법(법률 제6243) 개정 전에 결정된 토지구획정리사업에 대한 계획변경을 그 개정 전의 절차에 따라 할 수 있도록 경과규정을 도시개발법에 마련한 것이므로[도시개발법(법률 제6853)에 대한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검토보고서 참조], 구 도시개발법 부칙 제6조제1항에서 종전의 도시계획법(법률 제5982)을 따른다고 규정한 것은 단순히 종전의 법률만이 아니라 그 하위법령을 포함한 규정을 통해 종전의 제도에 따라 토지구획정리사업에 대한 계획변경을 규율하도록 한 취지라고 할 것입니다.

만일, 이와 달리 구 도시개발법 부칙 제6조제1항의 종전의 도시계획법이라는 문언만을 중시하여 그 하위법령에 대해서는 경과조치가 없는 것으로 해석한다면, 하위법령이 그 이후 수차례 개정된 경우 어떤 하위법령을 적용해야 할지 기준이 불명확해지고, 종전의 제도에 따라 토지구획정리사업을 정리할 수 있게 하려는 입법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규율의 공백을 방지하기 위해 법률 개정에 따라 하위법령을 개정할 필요가 없는 사항에 대해서도 법률을 개정할 때마다 하위법령 부칙에 경과조치를 마련하기 위해 그 하위법령을 개정하여 법률 부칙의 경과조치와 같은 취지의 규정을 별도로 규정하거나, 아니면 법률 부칙에서 하위법령에 대한 경과조치를 함께 규정해야 한다는 결과가 되는데, 이는 입법경제상으로나 법체계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것입니다.

이상과 같은 점을 종합해 볼 때, 구 도시개발법 부칙 제6조제1항에 따른 종전의 도시계획법(법률 제5982)”에는 그 시행 당시 유효하게 적용되던 구 도시계획법 시행령이 포함된다고 할 것이므로, 구 도시계획법에 따라 도시계획으로 결정된 토지구획정리사업에 관한 계획 중 너비가 12미터 미만인 도로의 설치계획 폐지를 결정하려는 경우에는 구 도시계획법 제12조제1항 및 구 도시계획법 시행령 제7조의35호에 따라 관계 지방의회의 의견청취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의결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할 것입니다.

 

법제처 16-0071, 2016.06.02.

 

반응형

'주택, 부동산 > 건설, 건축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자치단체인 주무관청이 건설사업관리용역업자를 선정하는 경우에 지방심의위원회의 심의를 받아야 하는지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령」 제58조제4항 관련)[법제처 16-0034]  (0) 2016.11.16
건축허가를 받은 대지에 대하여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이 가능한지(「주택법」 제16조제4항제1호 관련)[법제처 16-0154]  (0) 2016.11.02
“건축물의 주위가 접하는 각 지표면 부분의 높이”에서 건축물의 의미(「건축법 시행령」 제119조제2항 관련)[법제처 16-0078]  (0) 2016.10.28
개발행위허가의 기준이 되는 토지의 형질변경 면적의 산정방법(「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5조제1항 등 관련)[법제처 16-0097]  (0) 2016.10.26
직통계단 설치기준(「건축법 시행령」 제34조제2항 등 관련) [법제처 16-0002]  (0) 2016.08.24
정비사업 조합원의 자격(「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19조제1항 관련) [법제처 15-0716]  (0) 2016.07.18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회의 심의 범위(「건설기술진흥법」 제5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6조 등 관련) [법제처 16-0009]  (0) 2016.07.18
토지등소유자가 정비구역등의 지정 해제를 요청할 수 있는 범위(「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4조의3제4항제3호 관련) [법제처 15-0794]  (0) 2016.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