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결요지>

구 지방세법(2010.3.31. 법률 제10221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273조의2에 의하여 취득세와 등록세에 관한 세액 경감의 대상이 되는 주택은 구 지방세법 제104조제4호에서 정한 건축물과는 구별되는 것으로서 건축법상 기숙사는 그 주택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대법원 2013.10.17. 선고 201310403 판결 [취득세등부과처분취소]

원고, 피상고인 / 회생채무자 ○○건설 주식회사의 관리인 소외인의 소송수계인 ○○건설 주식회사

피고, 상고인 / 창원시 성산구청장

원심판결 / 부산고법 2013.5.2. 선고 (창원)20121849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부산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 구 지방세법(2010.3.31. 법률 제10221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273조의2유상거래를 원인으로 취득·등기하는 주택에 대한 취득세는 제112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세율을 적용하여 산출한 세액의 100분의 50을 경감하고, 등록세는 제131조제1항제3(2)목의 규정에 의한 세율을 적용하여 산출한 세액의 100분의 50을 경감한다.”고 규정(이하 이 사건 법률 규정이라 한다)하여, 그 경감 대상을 주택으로 삼고 있다.

 

. 구 지방세법 제104조는 취득세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정의하면서 제4호에서 건축물건축법 제2조제1항제2호의 규정에 의한 건축물을 포함하고 있고, 구 건축법(2008.3.21. 법률 제8974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2조제1항제2, 22, 2항 및 그 위임에 의한 구 건축법 시행령(2006.10.26. 대통령령 제1971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3조의4 [별표 1]은 건축물을 그 용도에 따라 제1호 단독주택, 2호 공동주택 등으로 구분하고, 그 제2호에서 공동주택의 하나로 “()목 기숙사(학교 또는 공장 등의 학생 또는 종업원 등을 위하여 쓰는 것으로서 공동취사 등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되,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갖추지 아니한 것, 이하 건축법상 기숙사라 한다)”를 규정하고 있다.

한편 구 지방세법 제180조는 재산세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정의하면서 제3호에서 재산세의 과세대상인 주택주택법 제2조제1호의 규정에 의한 주택으로 규정하고, 구 주택법(2009.2.3. 법률 제940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2조제1, 2호 및 그 위임에 의한 주택법 시행령 제2조제1항이 공동주택의 종류와 범위는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2()목 내지 ()목의 규정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고 규정하고 있어, 재산세에 관하여는 건축법상 기숙사가 주택의 범위에서 제외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 지방세법은 제104조제4호에서 건축법상 기숙사가 취득세의 과세대상인 건축물에 해당된다는 것을 규정하고 있을 뿐 취득세와 등록세에 관하여 주택에 관한 정의를 두고 있지 않고, 또한 재산세에서 정하고 있는 주택의 개념은 위 건축물과는 일치하지 않음에 비추어 보면, 취득세와 등록세에 관한 구 지방세법의 개별 규정에서 건축물이 아닌 주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그 주택에 포함되는 건축물의 범위는 각 규정의 취지와 목적에 따라 달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그리고 이 사건 법률 규정을 도입한 취지와 목적은 2005년 부동산 세제 개편으로 부동산 가격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에 의한 개별주택가격과 공동주택가격이 주택의 시가표준액이 되는 등 취득세와 등록세 과세표준이 상승함에 따른 납세의무자의 급격한 세부담 증가를 완화하고 주택거래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데에 있다.

그러나 건축법상 기숙사는 부동산 가격공시 및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그 가격이 공시되는 공동주택에 포함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건축물의 용도가 학교 또는 공장 등의 학생 또는 종업원 등을 위하여 쓰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는 자주 거래되지 않으므로 주택거래의 활성화와는 거리가 있다. 이에 따라 2010.3.31. 제정된 지방세특례제한법 제2조제3호도 공동주택이란 주택법 제2조제2호에 따른 공동주택을 말하되, 기숙사는 제외한다고 규정함으로써 그와 같은 취지를 확인하고 있다.

 

. 이와 같은 구 지방세법 등의 관련 규정들의 내용과 이 사건 법률 규정의 입법 목적 등을 종합하여 보면, 이 사건 법률 규정에 의하여 취득세와 등록세에 관한 세액 경감의 대상이 되는 주택은 구 지방세법 제104조제4호에서 정한 건축물과는 구별되는 것으로서 건축법상 기숙사는 그 주택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2.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고가 2006.9.22. ○○○엘리베이터 유한회사로부터 종업원들의 기숙사로 사용되던 지하 1, 지상 5층 규모의 기숙사(이하 이 사건 기숙사라 한다)를 매수하여 취득한 사실, 이 사건 기숙사의 각 층은 독립된 출입문이 있는 각 방과 공동으로 사용하는 화장실, 샤워실, 세탁실로 구성되어 있는 사실 등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관계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이 사건 기숙사는 공장 등의 종업원 등을 위하여 쓰는 것으로서 독립된 주거의 형태를 갖추지 아니하여 건축법상 기숙사에 해당하므로 이 사건 법률 규정에서 정한 주택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도 이와 달리, 원심은 이 사건 법률 규정에서 말하는 주택은 당해 건축물 자체의 건축법상 용도가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과 같은 주거용 건축물인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잘못된 전제 아래에서, 이 사건 법률 규정에서 정한 주택에 이 사건 기숙사가 포함된다고 보고, 이 사건 기숙사의 취득과 등기에 관하여 이 사건 법률 규정의 적용을 배제하고 취득세와 등록세를 부과한 이 사건 처분이 위법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원심판단에는 이 사건 법률 규정이 정한 주택의 범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영철(재판장) 이상훈 김용덕(주심) 김소영

 

반응형

'조세관련 > 지방세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세법이나 지방세특례제한법의 개별 규정에서 ‘건축물’이 아닌 ‘주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주택’에 포함되는 건축물의 범위 해석 방법 [대법원 2013두13945 판결]  (0) 2015.12.18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치지 아니한 상태에서 매매계약을 합의해제하고 부동산을 반환한 경우, 이미 성립한 조세채권의 행사에 영향을 주는지 [대법원 2011두27551]  (0) 2015.12.18
‘판결문·법인장부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에 의하여 취득가격이 입증되는 취득’의 의미와 그에 의한 취득가격을 취득세의 과세표준으로 삼기 위한 요건 [대법원 2013두11680]  (0) 2015.12.16
구분등록이 되었는지와 상관없이 구 지방세법 제188조제1항제2호 (가)목의 중과세율이 적용되는 골프장용 건축물에 해당하는지 여부 [대법원 2012두9192]  (0) 2015.12.16
상속인 아닌 자가 사인증여로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하는 경우 적용될 부동산등기의 등록세율 및 취득세 과세물건을 취득한 경우 취득세의 신고·납부기간 [대법원 2013두6138]  (0) 2015.12.14
사회관념상 독립한 거래의 객체가 될 정도의 주택에 관하여 구분소유적 공유관계가 성립한 경우, 취득세 경감비율 및 농어촌특별세 비과세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대법원 2013두8295]  (0) 2015.12.11
구분등록의 대상으로서 구 지방세법상 취득세 및 재산세의 부과 대상인 급·배수시설에 대하여 골프장용 토지와 별도로 재산세 등을 부과하는 것이 이중과세에 해당하는지 [대법원 2011두25142]  (0) 2015.12.11
구 소득세법 제21조제1항제17호에서 기타소득의 하나로 정한 ‘사례금’의 의미와 판단 기준 [대법원 2010두27288]  (0) 2015.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