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출자·출연한 기관·단체로부터 재출자·재출연을 받은 기관이 재재출자·재재출연을 하는 경우,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위 재재출자·재재출연을 받는 기관을 공직자윤리법3조의2에 따른 공직유관단체로 지정할 수 있는지?

.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10억원 이상 출자·출연을 받은 기관(A)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출자·출연한 기관·단체로부터 재출자·재출연을 받은 금액이 자본금의 전액이 되는 기관(B)과 공동으로 C기관에 출자·출연하는 경우,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는 C기관을 공직자윤리법3조의2에 따른 공직유관단체로 지정할 수 있는지?

질의배경

○ 「공직자윤리법3조의2에서는 재출자·재출연 기관을 공직유관단체로 규정하고 있는데, 재재출자·재재출연 기관을 공직유관단체로 지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안전행정부 내부 견해 대립이 있어 법제처에서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 질의 가에 대하여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출자·출연한 기관·단체로부터 재출자·재출연을 받은 기관이 재재출자·재재출연을 하는 경우,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위 재재출자·재재출연을 받는 기관을 공직자윤리법3조의2에 따른 공직유관단체로 지정할 수 없습니다.

. 질의 나에 대하여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10억원 이상 출자·출연을 받은 기관(A)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출자·출연한 기관·단체로부터 재출자·재출연을 받은 금액이 자본금의 전액이 되는 기관(B)과 공동으로 C기관에 출자·출연하는 경우,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는 C기관을 공직자윤리법3조의2에 따른 공직유관단체로 지정할 수 없습니다.

 

<이 유>

. 질의 가 및 질의 나의 공통사항

공직자윤리법3조의21항에서는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직유관단체로 지정할 수 있는 기관을 규정하면서, 정부의 출자·출연·보조를 받는 기관·단체(재출자·재출연을 포함한다)(3), 지방공기업법에 따른 지방공사·지방공단 및 지방자치단체의 출자·출연·보조를 받는 기관·단체(재출자·재출연을 포함한다)(4) 등을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시행령 제3조의21항에서는 공직유관단체로 지정할 수 있는 기관·단체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정하면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연간 10억원 이상 출자·출연·보조를 받는 기관·단체(3),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출자·출연을 받은 기관·단체가 단독 또는 공동으로 재출자·재출연한 금액이 자본금의 전액이 되는 기관·단체(5) 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 질의 가에 대하여

이 사안은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출자·출연한 기관·단체로부터 재출자·재출연을 받은 기관이 재재출자·재재출연을 하는 경우,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위 재재출자·재재출연을 받는 기관을 공직자윤리법3조의2에 따른 공직유관단체로 지정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먼저, 공직자윤리법은 공직자의 부정한 재산증식을 방지하고 공무집행의 공정성을 확보하려는 취지를 가지고 있으나, 공직유관단체의 임직원에게 재산등록의무를 부과할 뿐만 아니라 그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공직유관단체의 임직원에게 등록재산공개와 주식의 매각 또는 백지신탁 의무를 부과하는 등 재산권 행사의 제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직자윤리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공직유관단체의 범위는 법문대로 해석해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같은 법 제3조의21항제3호 및 제4호에서는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직유관단체로 지정할 수 있는 기관·단체를 정부 또는 지방공사·지방공단 및 지방자치단체의 출자·출연·보조를 받는 기관·단체로 규정하면서, 같은 호 괄호에서 재출자·재출연을 포함한다고 하고 있을 뿐, 재재출자·재재출연을 받는 기관·단체를 규정하고 있지는 아니합니다.

또한, 공직자윤리법3조의21항제3호 및 제4호에 규정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출자·출연·보조를 받는 기관·단체(재출자·재출연을 포함한다)의 범위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하고 있는 같은 법 시행령 제3조의21항제3호 및 제5호에 따르면 공직유관단체가 되려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또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출자·출연을 받은 기관·단체가 출자·출연이나 재출자·재출연을 하여야 하므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또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출자·출연을 받은 기관·단체가 아닌 정부 또는 지방공사·지방공단 및 지방자치단체가 출자·출연한 기관으로부터 재출자·재출연을 받은 기관·단체는 출자·출연, 재출자·재출연의 주체가 될 수 없다고 할 것입니다.

이러한 법문언에도 불구하고, 정부 또는 지방공사·지방공단 및 지방자치단체가 출자·출연한 기관·단체로부터 재출자·재출연을 받는 기관이 재재출자·재재출연을 하는 경우, 재재출자·재재출연을 받은 기관까지 공직유관단체로 지정할 수 있다고 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공직유관단체의 지정 범위가 무한정 확대될 수 있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상과 같은 점을 종합해 볼 때,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출자·출연한 기관·단체로부터 재출자·재출연을 받는 기관이 재재출자·재재출연을 하는 경우,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위 재재출자·재재출연을 받는 기관을 공직자윤리법3조의2에 따른 공직유관단체로 지정할 수 없습니다.

 

. 질의 나에 대하여

이 사안은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10억원 이상 출자·출연을 받은 기관(A)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출자·출연한 기관·단체로부터 재출자·재출연을 받은 금액이 자본금의 전액이 되는 기관(B)과 공동으로 C기관에 출자·출연하는 경우,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C기관을 공직자윤리법3조의2에 따른 공직유관단체로 지정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먼저, “질의 가에서 본 바와 같이 공직자윤리법3조의21항제3호 및 제4호에 규정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출자·출연·보조를 받는 기관·단체(재출자·재출연을 포함한다)의 범위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하고 있는 같은 법 시행령 제3조의21항제3호 및 제5호에 따르면 공직유관단체가 되려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또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출자·출연을 받은 기관·단체가 출자·출연이나 재출자·재출연을 하여야 하므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또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출자·출연을 받은 기관·단체가 아닌 정부 또는 지방공사·지방공단 및 지방자치단체가 출자·출연한 기관으로부터 재출자·재출연을 받은 기관·단체는 출자·출연, 재출자·재출연의 주체가 될 수 없다고 할 것입니다.

공직자윤리법 시행령3조의21항제5호에서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출자·출연을 받은 기관·단체가 단독 또는 공동으로재출자·재출연한 금액이 자본금의 전액이 되는 기관·단체도 공직유관단체로 지정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 때 공동으로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출자·출연을 받은 기관·단체들이 공동으로 재출자·재출연하는 경우만을 의미할 뿐,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출자·출연한 기관·단체로부터 재출자·재출연을 받는 기관·단체까지 포함하는 의미는 아니라고 할 것입니다.

이러한 법문언에도 불구하고, 여러 기관이 공동으로 재출자·재출연하는 경우 재출자·재출연하는 주체 중 하나만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출자·출연을 받은 기관·단체이기만 하면 된다고 해석한다면, 결과적으로 공직유관단체가 무한정 확대될 수 있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상과 같은 점을 종합해 볼 때,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10억원 이상 출자·출연을 받은 기관(A)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출자·출연한 기관·단체로부터 재출자·재출연을 받은 금액이 자본금의 전액이 되는 기관(B)과 공동으로 C기관에 출자·출연하는 경우,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는 C기관을 공직자윤리법3조의2에 따른 공직유관단체로 지정할 수 없습니다.

 

법제처 법령해석례 : 법제처 14-0716, 2014.11.10.

 

반응형

'기타 > 기타 행정해석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광농원 개발에 필요한 토지 등의 소유권자만이 관광농원을 개발할 수 있는지(농어촌정비법 제83조 등 관련)[법제처 14-0563]  (0) 2015.05.07
마약류수출입업자 및 마약류제조업자의 허가를 모두 받은 자가 자신이 제조하는 마약의 원료가 되는 마약을 수입할 수 있는지 [법제처 14-0702]  (0) 2015.05.06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공동계약의 방식으로 물품 계약이나 용역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지역의무 공동계약의 방식이 적용되지 않는다[법제처 14-0633]  (0) 2015.05.06
출산장려정책을 수행하기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 주민등록번호를 처리할 수 있는지(사회복지사업법 시행령 제25조의2제2항 등 관련)[법제처 14-0556]  (0) 2015.05.05
문화재매매업자의 영업장 설치지역 및 명의 대여 가능성(문화재보호법 제75조 등 관련)[법제처 14-0697]  (0) 2015.05.05
발주기관이 일괄입찰의 기본설계적격자를 선정한 후 입찰을 취소하는 경우도 설계비 보상의 대상인지 [법제처 14-0686]  (0) 2015.05.05
학교형태의 학력미인정 평생교육시설을 폐쇄하려는 경우 폐쇄인가를 받아야 하는지 등(평생교육법 제31조 등 관련)[법제처 14-0673]  (0) 2015.05.04
문화재매매업자의 영업장 설치지역 및 명의 대여 가능성(문화재보호법 제75조 등 관련)[법제처 14-0669]  (0) 201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