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중소기업진흥법”이라 함) 제62조의10제2항에서는 소기업 중 공장(「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에 따른 공장을 말함)의 건축면적 또는 이에 준하는 사업장의 면적이 1천제곱미터 미만인 기업이 수도권 외의 지역(「수도권정비계획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수도권 외의 지역을 말하며, 이하 같음)에서 공장을 신축·증축 또는 이전하려는 경우(신축·증축 또는 이전 후 공장의 총건축면적과 이에 준하는 사업장 총면적의 합이 1천제곱미터 미만인 경우에 한정함)에는 「산지관리법」 제19조에 따른 대체산림자원조성비(제2호) 등 각 호의 부담금을 면제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중소기업진흥법 시행령”이라 함) 제54조의10제1항에서는 중소기업진흥법 제62조의10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공장의 건축면적 또는 이에 준하는 사업장의 면적은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이하 “산업집적법”이라 함) 제13조에 따라 공장의 신설·증설 또는 업종변경의 승인을 받거나 받은 것으로 보는 공장에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면적으로 한다고 규정하면서, 중소기업진흥법 시행령 제54조의10제1항제2호에서는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제조시설로 사용되는 기계 또는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건축물의 각 층 바닥면적과 제조시설로 사용되는 옥외 공작물의 수평투영면적을 합산한 면적을 규정하고 있는바,

소기업이 공장용지에 공장을 준공 후 해당 공장용지와 연접한 산지(「산지관리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산지를 말하며, 이하 같음)에 별도의 건축물이나 공작물이 없는 야적장을 설치하기 위해 산지전용허가를 받으려는 경우, 중소기업진흥법 제62조의10제2항제2호에 따라 대체산림자원조성비를 면제받을 수 있는지?(이 사안에서 공장용지 및 연접한 산지는 모두 수도권 외의 지역에 있고, 공장의 면적과 야적장의 면적의 합이 1천제곱미터 미만인 경우를 전제로 함)

 

<회 답>

이 사안의 경우, 중소기업진흥법 제62조의10제2항제2호에 따라 대체산림자원조성비를 면제받을 수 없습니다.

 

<이 유>

중소기업진흥법 제62조의10제2항제2호에 따르면 소기업 중 공장의 건축면적이 1천제곱미터 미만인 소기업이 수도권 외의 지역에서 공장을 신축·증축 또는 이전하려는 경우에는 「산지관리법」 제19조에 따른 대체산림자원조성비를 면제하도록 하면서, 이러한 특례의 적용대상이 되는 공장의 건축면적 산정에 대하여 중소기업진흥법 시행령 제54조의10제1항에서는 산업집적법 제13조에 따라 공장의 신설·증설 또는 업종변경의 승인을 받거나 받은 것으로 보는 공장에서 제조시설로 사용되는 기계 또는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건축물의 각 층 바닥면적과 제조시설로 사용되는 옥외 공작물의 수평투영면적을 합산한 면적(제2호)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중소기업진흥법 시행령 제54조의10제1항제2호에 따라 특례의 적용대상이 되는 공장의 건축면적은 산지전용허가를 받으려는 토지에 제조시설로 사용되는 기계 등을 설치하기 위한 건축물 또는 제조시설로 사용되는 옥외 공작물이 설치되는 것을 전제로 해당 면적을 산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 사안과 같이 기존에 준공된 공장의 공장용지와 연접한 산지에 제조시설 등 건축물이나 공작물 없이 야적장만 설치하려는 경우에는 그 야적장의 면적은 대체산림자원조성비의 면제 대상이 되는 공장의 건축면적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할 것입니다.

그리고 공장 등을 건축할 목적으로 「산지관리법」 제14조제1항에 따른 산지전용허가를 받으려는 자는 원칙적으로 같은 법 제19조제1항에 따라 대체산림자원조성비를 미리 내야 하지만, 소기업이 공장을 신축·증축 또는 이전하는 경우에 소기업의 자금난을 완화하고 수도권 외의 지역으로 이전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진흥법 제62조의10제2항에서 예외적으로 대체산림자원조성비 등 일부 부담금을 면제해주는 것인데(1997.4.10. 법률 제5331호로 제정된 「소기업지원을위한특별조치법」 제정이유 및 주요내용, 1997.3.17. 의안번호 제150491호로 발의된 소기업지원을위한특별조치법안에 대한 제15대국회 제183회(임시회) 제6차 법제사법위원회 회의록 참조), 법령에서 원칙에 관한 규정을 둔 후 이러한 원칙에 대한 예외규정을 두는 경우 그 예외는 엄격하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인바(법제처 2012.11.3. 회신 12-0596 해석례 참조), 중소기업진흥법 제62조의10제2항에 따라 대체산림자원조성비가 면제되는 공장의 건축면적은 전용하려는 산지에 제조시설의 설치가 예정된 경우로 한정된다고 할 것이고(법제처 2021.6.8. 회신 21-0201 해석례 참조), 이 사안과 같이 산지에 공장 등 제조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야적장만 설치하려는 경우에는 대체산림자원조성비의 면제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따라서 이 사안의 경우, 중소기업진흥법 제62조의10제2항제2호에 따라 대체산림자원조성비를 면제받을 수 없습니다.

 

【법제처 25-0574, 2025.10.15.】

 

반응형

'경영, 금융, 보험, 상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 대한 기업융자자금의 신청을 대리하는 것이 행정사법 제2조제1항제5호 및 같은 법 시행령 제2조제5호에 따른 행정사의 업무에 포함되는지 [법제처 25-0445]  (0) 2025.11.06
산업집적법 제39조제1항에 따른 처분제한기간의 적용 범위 [법제처 25-0573]  (0) 2025.11.06
벤처기업집적시설 입주자가 벤처기업법 제21조제3항에 따라 도시형공장을 설치하려는 경우, 건축법 제19조제2항에 따른 용도변경 허가를 받아야 하는지 여부 [법제처 25-0581]  (0) 2025.11.06
산업입지법 제22조제1항에 따라 수용·사용할 수 있는 “이에 관한 소유권 외의 권리”에 공유수면 점용·사용허가로 발생한 권리가 포함되는지 여부 [법제처 25-0307]  (0) 2025.11.06
중소기업 관계 법령에 따른 신고·신청 등의 대행이 행정사법 제3조제1항에 따라 행정사가 아닌 사람이 같은 법 제2조에 따른 업무를 업으로 할 수 있도록 다른 법률에 따라 허용되는 경우에 해당하는지 여부 [법제처 25-0634]  (0) 2025.11.05
경영지도사가 기술지도사자격시험에 응시하는 경우 경영기술지도사법 제6조제1항제4호에 따라 1차 시험을 면제받을 수 있는지 여부 등 [법제처 25-0710]  (0) 2025.11.05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은 준공업지역에서 관광숙박업을 경영하려는 자에게 해당 관광숙박업에 대해서 관광진흥법 제15조에 따라 관광숙박업 사업계획 승인을 할 수 있는지 여부 [법제처 25-0449]  (0) 2025.09.11
정보통신공사업법 제37조의4제1항에 따른 공사업자에 용역업자가 포함되는지 여부 [법제처 25-0443]  (0) 2025.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