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상속세 및 증여세법48조제1항 본문에서는 공익법인등이 출연받은 재산의 가액은 증여세 과세가액에 산입하지 아니한다.”라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48조제2항제1호에서는 재산을 출연받은 공익법인등이 출연받은 재산을 직접 공익목적사업 등의 용도 외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가액을 공익법인등이 증여받은 것으로 보아 즉시 증여세를 부과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시행령 제38조제2항에서는 법 제48조제2항제1호에서 직접 공익목적사업에 사용하는 것은 공익법인등의 정관상 고유목적사업에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다만, 출연받은 재산을 해당 직접 공익목적사업에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주무관청의 허가를 받아 다른 공익법인등에게 출연하는 것을 포함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38조제2항 단서에 따라 의료법에 따라 설립·운영되는 의료법인이 출연받은 재산을 해당 직접 공익목적사업에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다른 공익법인에게 다시 출연하는 경우에, 그 출연을 허가하는 주무관청이 허가 당시에 의료법에 따라 의료법인의 설립허가와 그 취소 및 관리·감독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시·도지사(법률 제4732호 의료법 일부개정법률 부칙 제11조에 따라 국가로부터 공공차관을 지원받은 의료법인에 대하여는 그 차관자금의 상환이 종료된 경우를 전제함. 이하 같음)인지, 아니면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38조제15항에 따른 관할 세무서장인지?

 

<회 답>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38조제2항 단서에 따라 의료법에 따라 설립·운영되는 의료법인이 출연받은 재산을 해당 직접 공익목적사업에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다른 공익법인에게 다시 출연하는 경우에, 그 출연을 허가하는 주무관청은 허가 당시에 의료법에 따라 의료법인의 설립허가와 그 취소 및 관리·감독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시·도지사라고 할 것입니다.

 

<이 유>

상속세 및 증여세법(이하 상증세법이라고 함) 48조제1항 본문에서는 공익법인등이 출연받은 재산의 가액은 증여세 과세가액에 산입하지 아니한다.”라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 제2항제1호에서는 세무서장등은 제1항에 따라 재산을 출연받은 공익법인등이 출연받은 재산을 직접 공익목적사업 등(직접 공익목적사업에 충당하기 위하여 수익용 또는 수익사업용으로 운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의 용도 외에 사용하거나 출연받은 날부터 3년 이내에 직접 공익목적사업 등에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가액을 공익법인등이 증여받은 것으로 보아 즉시 증여세를 부과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법 시행령 제38조제2항에서는 법 제48조제2항제1호에서 직접 공익목적사업에 사용하는 것은 공익법인등의 정관상 고유목적사업에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다만, 출연받은 재산을 해당 직접 공익목적사업에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주무관청의 허가를 받아 다른 공익법인등에게 출연하는 것을 포함한다.”라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시행령 제38조제15항에서는 이 조를 적용함에 있어 주무부장관 또는 주무관청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관할 세무서장을 주무부장관 또는 주무관청으로 본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의료법48조제1항에서는 의료법인을 설립하려는 자는 정관과 그 밖의 서류를 갖추어 그 법인의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 제3항에서는 의료법인이 재산을 처분하거나 정관을 변경하려면 시·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법 제51조에서는 보건복지부장관 또는 시·도지사는 의료법인이 정관으로 정하지 아니한 사업을 한 때, 설립된 날부터 2년 안에 의료기관을 개설하지 아니한 때 등에 해당하면 그 설립 허가를 취소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59조제1항에서는 보건복지부장관 또는 시·도지사는 보건의료정책을 위하여 필요하거나 국민보건에 중대한 위해(危害)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으면 의료기관이나 의료인에게 필요한 지도와 명령을 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법 제61조제1항에서는 보건복지부장관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은 의료기관이나 의료인에게 필요한 사항을 보고하도록 명할 수 있고, 관계 공무원을 시켜 그 업무 상황, 시설 또는 진료기록부·조산기록부·간호기록부 등 관계 서류를 검사하게 하거나 관계인에게서 진술을 들어 사실을 확인받게 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 사안에서는 상증세법 시행령 제38조제2항 단서에 따라 의료법에 따라 설립·운영되는 의료법인이 출연받은 재산을 해당 직접 공익목적사업에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다른 공익법인에게 다시 출연하는 경우에, 그 출연을 허가하는 주무관청이 허가 당시에 의료법에 따라 의료법인의 설립허가와 그 취소 및 관리·감독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시·도지사인지, 아니면 상증세법 시행령 제38조제15항에 따른 관할 세무서장인지 여부가 문제될 수 있습니다.

살피건대, 상증세법 제48조제6, 7항 등 상증세법을 비롯한 여러 세법에서 주무관청(主務官廳)과 관할 세무서장은 명확히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고, 특히 상증세법 제48조제7항에서는 공익법인등의 주무관청은 공익법인등에 대하여 설립허가, 설립허가의 취소 또는 시정명령을 하거나 감독을 한 결과 공익법인등이 제1항 단서, 2항 및 제3항에 해당하는 사실을 발견한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공익법인등의 납세지 관할세무서장에게 그 사실을 통보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면, 상증세법 시행령 제38조제2항 단서에 따른 주무관청역시 공익법인등에 대하여 설립허가, 설립허가의 취소 또는 시정명령을 하거나 감독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나아가, 의료법48조제1항 및 제51조에 따라 의료법인을 설립하려는 자는 시·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의료법인이 정관으로 정하지 아니한 사업을 한 때 등 일정한 경우에 시·도지사가 그 설립 허가를 취소할 수 있는 점, 같은 법 제59조제1항 및 제61조제1항에 따라 시·도지사는 일정한 경우 의료기관이나 의료인에게 필요한 지도와 명령을 할 수 있고, 필요한 사항을 보고하도록 명할 수 있는 점 등을 고려하면, 의료법인이 출연받은 재산을 해당 직접 공익목적사업에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다른 공익법인에게 다시 출연하는 경우에, 상증세법 시행령 제38조제2항 단서에 따른 주무관청의료법에 따라 의료법인의 설립허가와 그 취소 및 관리·감독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시·도지사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한편, 상증세법 시행령 제38조제15항을 근거로 같은 조 제2항 단서에 따른 주무관청이 관할 세무서장이라는 의견이 있을 수 있으나, 상증세법 시행령 제38조제15항에서는 주무관청을 알 수 없는 경우에만 관할 세무서장을 주무관청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고, 위와 같이 의료법에 따른 의료법인의 주무관청이 시·도지사임을 알 수 있는 점, 오히려 상증세법 시행령 제38조제15항은 공익법인등 중에서 법인이 아닌 단체와 같이 그 설립허가와 그 취소 및 관리·감독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을 알 수 없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보이는 점 등을 고려하면, 위 의견은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상증세법 시행령 제38조제2항 단서에 따라 의료법에 따라 설립·운영되는 의료법인이 출연받은 재산을 해당 직접 공익목적사업에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다른 공익법인에게 다시 출연하는 경우에, 그 출연을 허가하는 주무관청은 허가 당시에 의료법에 따라 의료법인의 설립허가와 그 취소 및 관리·감독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시·도지사라고 할 것입니다.

 

법제처 법령해석례 : 법제처 14-0022, 2014.05.12.

 

반응형

'기타 > 기타 행정해석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지전용허가를 받을 때 정하여야 하는 산지전용의 용도에 대지조성이 포함될 수 있는지(산지관리법 제14조 등 관련)[법제처 13-0621]  (0) 2015.03.28
법률 제11531호 지방공무원법 일부개정법률 부칙 제4조제1항에 따라 일반직공무원으로 임용된 경우가 신규임용에 해당하는지 [법제처 14-0174]  (0) 2015.03.27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겸임 근무(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제13조제1항 등)[법제처 14-0072]  (0) 2015.03.27
지방지도직공무원에 대한 초임호봉 획정 시 지방축산서기보로 근무한 경력에 대한 경력환산 적용규정(지방공무원 보수규정 별표 4 등 관련)[법제처 14-0090]  (0) 2015.03.27
부정당업자의 입찰참가자격 제한 사유인 “관계공무원에게 뇌물을 준 자”의 인정범위 [법제처 14-0034]  (0) 2015.03.26
동물보호법 제32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36조제2호에 따른 동물판매업의 범위(동물보호법 시행규칙, 반려동물)[법제처 14-0130]  (0) 2015.03.26
지역농업협동조합이 조합장을 선출하는 방법을 직선제에서 간선제로 변경하는 경우에 총회의 의결을 거쳐야 하는지[법제처 14-0106]  (0) 2015.03.26
사립학교법 제21조제3항에 따른 “교육경험”의 인정범위(사립학교법 제21조 등 관련)[법제처 14-0162]  (0) 201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