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약사법31조제1항에 따른 의약품 제조업의 허가(약사법31조제2항에 따른 제조판매품목허가를 받은 경우를 전제함.)와 같은 법 제45조제1항에 따른 의약품 판매업의 허가를 각각 받아 의약품 제조업자의 지위와 의약품 도매상의 지위를 동시에 가진 하나의 법인이 의약품 제조업자로서 제조한 의약품을 의약품 제조업자의 지위에서는 출고하고 의약품 도매상의 지위에서는 입고하는 경우가 같은 법 제44조에 따른 판매에 해당될 수 있는지?(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별표 1 10.4호다목 및 같은 규칙 별표 6 7호나목라목에 따라 출고 또는 입고하는 경우를 전제함.)

[질의 배경]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위 질의요지에 대해 내부 견해 대립이 있어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이 사안의 경우 약사법44조에 따른 판매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이 유>

약사법2조제1호에서는 약사(藥事)의 개념을 정의하면서 판매는 수여(授與)를 포함하고 이하 같다고 하여, 같은 법에서 사용되는 판매라는 용어에는 수여까지 포함되도록 판매의 의미를 넓게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44조제1항 본문에서는 약국 개설자(해당 약국에 근무하는 약사 또는 한약사를 포함함.)가 아니면 의약품을 판매하거나 또는 판매할 목적으로 취득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항 단서 및 같은 조제2항 각 호에서는 약국 개설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예외적으로 의약품을 판매할 수 있는 경우와 의약품을 판매하거나 판매할 목적으로 의약품을 취득할 수 있는 자를 한정하여 규정하고 있는바, 이와 같이 의약품 판매에 대해 엄격하게 규율한 것은 의약품이 국민의 보건과 직결되는 만큼 엄격하게 관리하여 의약품이 남용 내지 오용되거나 비정상적으로 유통되는 것을 막으려는 취지입니다.(대법원 2011.10.13. 선고 20116287 판결례 참조)

그리고 약사법31조제1항 및 제2항에서는 의약품 제조를 업()으로 하려는 자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고, 해당 허가를 받은 제조업자가 그 제조(다른 제조업자에게 제조를 위탁하는 경우를 포함함)한 의약품을 판매하려는 경우에는 별도로 품목허가 또는 품목신고를 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45조에서는 의약품 도매상이 되려는 자는 시장·군수·구청장(시장·군수 및 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함.)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법인이 의약품 제조업의 허가와 의약품 도매상의 허가를 모두 취득하더라도 의약품 제조업자의 지위와 의약품 도매상의 지위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지위로 보아야 합니다.

또한 약사법47조의32항에서는 의약품 품목허가를 받은 자 및 의약품 도매상에게 의약품 공급 내역을 제출하도록 하고 있고,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별표 1 10.4호다목 및 같은 규칙 별표 6 7호나목라목에 따르면 의약품 제조업자가 완제품을 출하하는 경우에는 제품명, 출하일, 거래처 및 수량 등을 기록·관리하고, 의약품 도매상은 입고하는 의약품의 수량 등을 검사하도록 하는 등 의약품이 제조되어 이동되는 과정을 엄격히 규율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보면, 이 사안과 같이 의약품 제조업의 허가와 의약품 도매상의 허가를 모두 받은 하나의 법인이 의약품 제조업자 및 의약품 도매상 각각의 지위에서 행한 의약품 출고 및 입고 행위라고 해서 서로 독립적인 의약품 제조업자와 의약품 도매상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것과 다르게 보는 것은 타당하지 않습니다.

만약 이와 달리 하나의 법인이 의약품 제조업 허가와 의약품 도매상 허가를 모두 받았다는 이유로 법인 내 의약품 이동은 약사법에 따른 판매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다면, 의약품 제조업자의 지위에서 약사법76조에 따라 품목허가의 취소 등 처분을 받은 경우에도 의약품 도매상의 지위로 의약품을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불합리한 결과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사안과 같이 의약품 제조업자로서 제조한 의약품을 의약품 제조업자의 지위에서는 출고하고 의약품 도매상의 지위에서는 입고한 경우는 지위가 구분되는 상대방과의 거래로 볼 수 있는바, 거래의 실질에 따라 구체적인 사정을 고려하여 약사법44조에 따른 판매 행위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음은 별론으로 하고,(대법원 2015.9.15. 선고 201413656 판결례 참조) 하나의 법인 내에서 이루어진 행위라고 해서 같은 법 제44조에 따른 판매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법제처 20-0462, 2020.11.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