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지방자치단체가 조례로 공립유치원을 민간에 위탁하여 운영하도록 할 수 있는지?

[질의 배경]

서울시 교육청은 사인인 사립유치원의 설립경영자가 사망하여 설립경영자 궐위 상태로 운영 중인 경우, 해당 사립유치원을 공립유치원으로 전환한 후 민간 위탁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하여 교육부에 질의하였고, 교육부는 이에 대한 검토 과정에서 내부적으로 의견이 대립하자,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지방자치단체는 조례로 공립유치원을 민간에 위탁하여 운영하도록 할 수 없습니다.

 

<이 유>

유아교육법7조에서는 유치원을 국립유치원(1), 공립유치원(2), 사립유치원(3)으로 구분하면서 공립유치원을 지방자치단체가 설립경영하는 유치원으로 규정하고 있고, 공립유치원의 운영을 민간에 위탁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바,

이 사안은 지방자치단체가 조례로 공립유치원을 민간에 위탁하여 운영하도록 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먼저, 대한민국헌법31조제1항에서는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6항에서는 학교교육 및 평생교육을 포함한 교육제도와 그 운영, 교육재정 및 교원의 지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은 법률로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교육기본법11조제1항에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학교와 사회교육시설을 설립경영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2항에서는 법인이나 사인은 법률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학교와 사회교육시설을 설립경영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대한민국헌법및 교육 관련 법령에 따라 국민의 교육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공적인 학교제도를 운영할 권한과 책임을 갖는다고 할 것입니다.

이에 따라, 유아교육법, 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에서는 유아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각각 규정하고 있고, 각 법률에서는 학교를 설립주체에 따라 국가가 설립경영하는 국립학교”, “지방자치단체가 설립경영하는 공립학교”, “법인 또는 사인이 설립경영하는 사립학교로 구분하고 있으며, 학교법인, 공공단체 외의 법인 또는 그 밖의 사인이 설치하는 유아교육법, 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에 대해서는 사립학교법으로 별도로 규율하고(사립학교법2조제1) 있는바, 위와 같은 교육 관련 법령 체계에 비추어 볼 때, 교육 관련 법령은 학교의 설립주체와 운영주체를 동일한 주체로 하여 학교를 설립운영할 것을 예정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지방자치단체가 설립운영할 것으로 예정되어 있는 공립유치원을 민간의 법인이나 개인에게 맡겨 그의 명의와 책임 아래 운영할 수 있도록 법령상의 권한 주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그 변경 근거를 법령에 두어야 할 것인데, 유아교육법령에서는 유치원의 설립과 운영을 분리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하는 공립유치원을 민간에 위탁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명시적인 규정을 두고 있지 않으므로, 명문의 법적 근거 없이 공립유치원을 민간에 위탁하여 운영할 수 있다고 해석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는 확장해석이라고 할 것입니다.

그리고, 교육공무원법2조제1항제1호에서는 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원 및 조교를 교육공무원으로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3항제1호에서는 교육기관 중 하나로 유아교육법2조제2호의 유치원 중 국립공립 유치원을 규정하여 공립유치원에 두는 교원은 교육공무원의 신분을 가진다고 볼 것인바, 이는 지방자치단체가 공립유치원을 직접 운영하는 것을 전제로 한 규정이라고 볼 수 있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유아교육법령에 따른 공립유치원은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설립운영하는 것을 예정하고 있다고 보아야 타당할 것입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는 조례로 공립유치원을 민간에 위탁하여 운영하도록 할 수 없다고 할 것입니다.

 

법제처 17-0687, 2018.01.16.

 

반응형

'기타 > 기타 행정해석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재제품 규격・품질 검사를 실시하여야 하는 자의 범위(「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 제20조제2항 등 관련)[법제처 17-0626]  (0) 2019.01.15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의 종합보고서 작성・보고의 기한(「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제7조제1항 등 관련)[법제처 17-0631]  (0) 2019.01.09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기부채납 재산에 대하여 무상 사용・수익허가기간을 20년으로 정하여 사용・수익허가를 한 경우 무상 사용・수익허가를 갱신할 수 있는지 [법제처 17-0627]  (0) 2019.01.07
사업인정의 고시 후 사업시행자가 사업 준비나 토지조서 및 물건조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타인이 점유하는 토지에 출입하려는 경우 그 일시 및 장소를 통지하여야 하는 대상 [법제처 17-0666]  (0) 2019.01.04
사인인 사립유치원의 설립・경영자가 사망한 경우 상속인이 그 사립유치원의 폐쇄인가 신청 등을 할 수 있는지 여부 등(「유아교육법」 제8조 등 관련) [법제처 17-0488]  (0) 2018.12.31
시・도지사가 학교용지부담금을 면제한 경우의 학교용지 확보경비 분담비율 (「학교용지 확보 등에 관한 특례법」 제4조 등 관련)[법제처 17-0487]  (0) 2018.12.31
공공기관이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에 수의계약으로 매각・임대할 수 있는 물건의 범위(「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6조제1항제4호 등 관련)[법제처 17-0667]  (0) 2018.12.27
공유수면 원상회복의 범위 등(「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 제21조제1항 등 관련)[법제처 17-0699]  (0) 2018.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