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비과세 근로소득 대상 등을 정하고 있는 소득세법12조제3호다목의 근로의 제공으로 인한 부상·질병·사망과 관련하여 근로자나 그 유족이 받는 배상·보상 또는 위자(慰藉)의 성질이 있는 급여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급여가 아닌 것도 포함될 수 있는지?

[질의 배경]

민원인은 공무상 질병으로 휴직 중인 자로서, 휴직 중에 공무원보수규정에 따라 받는 봉급이 소득세법12조제3호사목에 따른 비과세대상에 해당하는 않는다는 법제처 법령해석(14-0463 해석례)을 회신 받은 이후, 공무원이 아닌 근로자나 그 유족이 업무상 재해와 관련하여 받는 배상·보상 또는 위자(慰藉)의 성질이 있는 급여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급여가 아닌 경우도 비과세대상에 해당하는지를 기획재정부에 질의하였고, 기획재정부에서는 이 경우 비과세대상에 해당한다고 회신한바, 이에 이의가 있어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한 사안임.

 

<회 답>

비과세 근로소득 대상 등을 정하고 있는 소득세법12조제3호다목의 근로의 제공으로 인한 부상·질병·사망과 관련하여 근로자나 그 유족이 받는 배상·보상 또는 위자(慰藉)의 성질이 있는 급여에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급여가 아닌 것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 유>

소득세법12조제3호다목에서는 소득세가 과세되지 않는 근로소득과 퇴직소득 중의 하나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라 수급권자가 받는 요양급여, 휴업급여, 장해급여, 간병급여, 유족급여, 유족특별급여, 장해특별급여, 장의비(이하 각종 급여라 함) 또는 근로의 제공으로 인한 부상·질병·사망과 관련하여 근로자나 그 유족이 받는 배상·보상 또는 위자(慰藉)의 성질이 있는 급여를 규정하고 있는바,

이 사안은 소득세법12조제3호다목에 따른 근로의 제공으로 인한 부상·질병·사망과 관련하여 근로자나 그 유족이 받는 배상·보상 또는 위자(慰藉)의 성질이 있는 급여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라 받는 급여로 한정되는지, 아니면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라 받는 급여 외의 것도 포함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먼저, 국세기본법18조제1항에서는 세법을 해석·적용할 때에는 과세의 형평(衡平)과 해당 조항의 합목적성에 비추어 납세자의 재산권이 부당하게 침해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세법 규정을 해석할 때에는 세 부담의 형평과 개별 조항의 입법목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소득세법12조제3호다목에서 비과세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각종 급여는 근로자의 업무상의 재해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보상하기 위한 것(산업재해보상보험법1)으로서, 실질적으로는 같은 목에서 규정하고 있는 근로의 제공으로 인한 부상·질병·사망과 관련하여 근로자나 그 유족이 받는 배상·보상 또는 위자의 성질이 있는 급여와 같은 성격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포함된 급여로만 축소하여 해석한다면,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 적용되지 않는 사업장에서 발생한 재해에 대하여 근로자 등에게 지급하는 배상·보상 또는 위자(慰藉)의 성질이 있는 급여나, 같은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각종 급여를 대체하여 지급하는 배상·보상 또는 위자의 성질이 있는 급여 등이 모두 비과세 대상에서 제외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형평에 어긋나는 부당한 결과가 초래된다고 할 것입니다.

그리고, 소득세법의 입법연혁을 살펴보더라도, 소득세법(2000.12.29. 법률 제6292호로 일부개정되기 전의 것을 말함) 12조제4호다목에서 근로소득과 퇴직소득 중 소득세가 과세되지 않는 소득 중 하나로 근로의 제공으로 인한 부상·질병 또는 사망과 관련하여 근로자나 그 유가족이 받는 연금과 위자의 성질이 있는 급여라고 규정하고 있던 것을, 20001229일 일부개정으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각종 급여에 관한 내용이 추가되었는바, 이는 비과세 대상에 해당하는 급여의 종류를 명확하게 하려는 것이지 종전에 비과세 대상으로 규정되어 오던 것을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급여로 제한하려는 취지는 아니라고 할 것입니다. 따라서 위 개정 이후에도 근로의 제공으로 인한 부상·질병 또는 사망과 관련하여 받는 위자의 성질이 있는 급여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근거해 지급되는 급여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여전히 비과세 대상에 해당한다고 할 것입니다.

이상과 같은 점을 종합해 볼 때, 비과세 근로소득 대상 등을 정하고 있는 소득세법12조제3호다목의 근로의 제공으로 인한 부상·질병·사망과 관련하여 근로자나 그 유족이 받는 배상·보상 또는 위자(慰藉)의 성질이 있는 급여에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급여가 아닌 것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법제처 법령해석례 : 법제처 15-0081, 2015.03.27.

 

반응형

'조세관련 > 소득세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득세법시행령 제40조의2 제3항에서 규정하는 ‘사업용 고정자산’을 토지·건물 및 부동산에 관한 권리로 한정하여 해석할 것인지 [대법원 2003두7088]  (0) 2015.09.18
대금업으로 인한 사업소득과 관련하여 과세관청의 추계조사결정이 정당하다 [대법원 2003두14116]  (0) 2015.09.17
이자부 소비대차의 변제기 후 받는 약정이율에 의한 돈이 소득세법상 기타소득에 해당하는지[대법원 2013다26562]  (0) 2015.08.30
구 소득세법시행령 제49조의2 제1항제2호 소정의 ‘사례금’의 의미 및 그 판단 기준 [대법 97누20304]  (0) 2015.08.24
소득세법 시행령 별표 3의3 제3호다목에 따른 “관광숙박시설 운영업”의 의미 [법제처 14-0449]  (0) 2015.04.10
일반주택과 장기임대주택을 소유한 거주자가 장기임대주택을 제외하고 2주택을 소유하게 된 경우 [대법 2010두27806] 양도소득세 중과 여부  (0) 2014.10.16
조합원 수분양권을 조합원으로부터 양수한 양수인이 완공된 신축주택 등의 소유권을 취득한 후 제3자에게 신축주택 등을 양도하는 경우[대법 2010두12033]  (0) 2014.10.13
사업소득에 대하여 소득세를 원천징수하면서 지출증빙서류를 수취·보관하지 아니한 경우 가산세를 부과할 수 있는지[대법 2010두3732]  (0) 2014.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