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정신보건법21조제1항제3호에서는 당해 정신질환자를 상대로 한 소송이 계속중인 자 또는 소송한 사실이 있었던 자는 정신질환자의 보호의무자가 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해당 정신질환자를 상대로 한 민사소송 계속 중 민사소송법266조에 따라 소를 취하한 자도 정신보건법21조제1항제3호의 당해 정신질환자를 상대로 소송한 사실이 있었던 자에 포함되는지?

 

<회 답>

해당 정신질환자를 상대로 한 민사소송 계속 중 민사소송법266조에 따라 소를 취하한 자도 정신보건법21조제1항제3호의 당해 정신질환자를 상대로 소송한 사실이 있었던 자에 포함됩니다.

 

<이 유>

정신보건법21조제1항제3호에서는 당해 정신질환자를 상대로 한 소송이 계속중인 자 또는 소송한 사실이 있었던 자는 정신질환자의 보호의무자(이하 보호의무자라고 함)가 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민사소송법266조제1항에서는 소는 판결이 확정될 때까지 그 전부나 일부를 취하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267조제1항에서는 취하된 부분에 대하여는 소가 처음부터 계속되지 아니한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 사안은 해당 정신질환자를 상대로 한 민사소송 계속 중 민사소송법266조에 따라 소를 취하한 자도 정신보건법21조제1항제3호의 당해 정신질환자를 상대로 소송한 사실이 있었던 자에 포함되는지에 관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먼저, 정신보건법에 따르면 보호의무자는 피보호자인 정신질환자가 적정한 치료를 받도록 하고 그 재산상의 이익 등을 보호할 의무를 부담하는 자로서(22), 정신질환자의 정신의료기관등 입원에 대한 동의권(24조제1), 정신의료기관등에 입원 등을 하고 있는 정신질환자의 퇴원 또는 처우개선에 대한 청구권(29조제1), 정신질환자의 특수치료행위에 대한 동의권(44조제1) 등을 행사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보호의무자가 정신질환자에 대해 갖는 특수한 법적 지위를 고려하여 같은 법 제21조제1항에서는 피성년후견인 및 피한정후견인(1),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2), 당해 정신질환자를 상대로 한 소송이 계속 중이거나 소송한 사실이 있었던 자(3), 미성년자(4) 등 보호의무자로서의 권한을 행사하거나 의무를 부담하기에 적절하지 않는 자는 보호의무자가 될 수 없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는바, 여기에 정신질환자를 상대로 한 소송이 계속 중인 자뿐만 아니라 정신질환자를 상대로 소송한 사실이 있었던 자를 포함시키고 있는 것은 후자의 경우 비록 현재 소송이 계속 중이지는 않지만 과거에 정신질환자를 상대로 소를 제기했다는 점에서 향후에도 정신질환자와 이해관계가 상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민사소송법267조제1항에서는 소 취하 시 소가 처음부터 계속되지 아니한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서 계속이란 소송의 계속 즉, 특정한 청구에 대하여 법원의 판결절차가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민사소송의 계속 중 소가 취하된 경우에는 처음부터 특정한 청구에 대하여 법원의 판결절차가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아니한 상태로 되는 것이고 과거에 소를 제기하였다는 사실 자체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므로, 이 사안의 경우 정신질환자를 상대로 한 민사소송의 계속 중 민사소송법266조에 따라 소 취하가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해당 정신질환자를 상대로 소송을 한 사실이 없어지는 것으로 볼 수는 없다고 할 것입니다.

나아가, 민사소송이 종료되는 사유는 소 취하, 청구의 포기·인락, 재판상 화해와 같은 당사자의 행위로 인한 종료 사유와 종국판결에 의한 종료 사유로 구분되는바, 정신보건법21조제1항제3호의 소송한 사실이 있었던경우에서 위와 같은 소송 종료 사유 중 소의 취하로 소송이 종료된 경우만을 제외할 합리적인 이유가 없으며, 보호의무자가 될 수 있는지 여부가 소의 취하가 있었는지와 같은 당사자의 주관적 의사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은 법적 안정성 측면에서 타당하지 않다는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상과 같은 점을 종합해 볼 때, 해당 정신질환자를 상대로 한 민사소송 계속 중 민사소송법266조에 따라 소를 취하한 자도 정신보건법21조제1항제3호의 당해 정신질환자를 상대로 소송한 사실이 있었던 자에 포함된다고 할 것입니다.

 

법제처 15-0589, 2015.11.11.

 

반응형

'식품, 건강 > 식품, 의약품, 의료, 위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진흥기금으로 공익신고 보상금을 상환할 수 있는지(「식품위생법」 제89조 등 관련) [법제처 15-0722]  (0) 2016.02.16
도정업자에게 쌀을 구입하여 소분·가공·재포장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아니하고 그 상태 그대로 집단급식소에 납품하는 경우의 집단급식소 식품판매업 신고 여부 [법제처 15-0803]  (0) 2016.02.03
특수작업형 특수자동차인 푸드 트레일러가 사용신고 대상인 자가용 화물자동차인지(「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제55조 등 관련) <푸드트럭> [법제처 15-0659]  (0) 2016.01.11
학교환경위생 정화구역에 설치된 납골시설의 철거권자(「학교보건법」 제6조제3항 관련) [법제처 15-0594]  (0) 2015.12.30
식품위생법 제79조의 폐쇄조치에 대하여 담당 공무원이 폐쇄조치의 법령 해석자인지 / 강제규정이 아닌 법률이라 담당 공무원이 결정 할 수 있는 법률인지 [법제처 15-0621]  (0) 2015.12.22
첨단의료복합단지 내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의 상업용 생산시설 설치가 가능한지(「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2조 등 관련) [법제처 15-0540]  (0) 2015.12.21
우선판매허가를 받은 자의 판매 동의를 받은 의약품제조업자에 대하여 판매금지를 할 수 있는지(「약사법」 제50조의9 관련) [법제처 15-0431]  (0) 2015.10.21
일반음식점 내 무도장의 설치·운영행위가 식품위생법 시행규칙에 정한 업종별 시설기준 위반에 해당하여 시설개수명령의 대상이 되는지 [대법 2014두47853]  (0) 2015.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