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남부지방법원 2021.8.19. 선고 2020나55723 판결】

 

• 서울남부지방법원 제1민사부 판결

• 사 건 / 2020나55723 임금

• 원고, 항소인 / A

• 피고, 피항소인 / B

• 제1심판결 / 서울남부지방법원 2020.3.18. 선고 2019가단232202 판결

• 변론종결 / 2021.05.13.

• 판결선고 / 2021.08.19.

 

<주 문>

1. 원고의 항소를 기각한다.

2. 항소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및 항소취지>

제1심 판결을 취소한다. 피고는 원고에게 15,687,473원 및 이에 대하여 2018.6.5.부터 다 갚는 날까지 연 20%의 비율에 의한 금원을 지급하라.

 

<이 유>

1.  기초사실

 

가. 원고는 2016.2.5. 피고와 아래와 같은 내용의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고, 피고가 운영하는 C 호텔(이하 ‘이 사건 호텔’이라 한다)에 근무하였다. <아래 생략>

나. 이후 원고와 피고는 2018.1.1.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근로계약을 갱신하였고, 피고는 2018.5.20.까지 이 사건 호텔에 근무하다가 퇴직하였다. <아래 생략>

다. 위와 같은 근로계약에 따라 피고는 원고에게 2016.3.부터 같은 해 8.까지는 각 175만 원, 2016.9.부터 2016.12.까지는 183만 원, 2017.1.부터 12.까지는 1,952,440원, 2018.1.부터 2018.5.21.까지는 220만 원을 각 고정적인 금액으로 하여 기본급으로 표시하고 여기에 식대 10만 원과 연장근로수당이라는 명목으로 가변적인 금액을 추가하여 월 급여명세서를 작성하고 급여를 지급하였다.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갑 제3, 6, 7호증(가지번호 있는 것은 가지번호 포함), 을 제3호증의 각 기재 및 변론 전체의 취지

 

2.  원고의 주장

 

가. 피고는 기본급 외에 위 각 근로계약에서 지급하기로 약정한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아니하였으므로, 위 각 수당 미지급 합계액인 15,687,473원을 원고에게 지급할 의무가 있다.

 

나. 위 각 근로계약이 정한 기본급은 최저임금법을 위반한 것으로서, 원고는 월 54.25시간을 근무하였고, 여기에 법정주휴시간 7.5시간을 더하면 원고는 합계 61.75시간(약 62시간)을 근무하였는바, 이를 월로 환산할 경우 269시간(62시간 × 4.34주)을 근무한 것이 되고, 이를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한 연도별 최저임금 기준으로 계산할 경우 2016.3.부터 2016.12.까지는 1,622,070원, 2017.1.부터 2017.12.까지는 1,740,430원, 2018.1.부터 2018.5.까지는 2,025,570원이 되는바, 위 각 금액에서 피고가 지급한 기본급 1,260,270원(2016.3.부터 2017.12.까지)과 916,150원(2018.1.부터 2018.5.까지)의 차액을 계산하면 피고는 14,927,020원의 임금을 미지급하였으므로, 피고는 원고에게 위 미지급임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3.  판단

 

가. 약정수당 미지급 주장에 대한 판단

위 각 근로계약에서 기본급과 수당을 구분하여 지급하기로 약정하였으나, 원고가 실제 연장근로한 시간과 관계없이 연장근로수당과 야간근로수당을 정액으로 정하여 지급하기로 한 점, 위 각 근로계약서의 기본급과 수당을 합한 금액이 급여명세서의 기본급의 금액과 대체로 유사한 점, 2017년에는 근로계약을 갱신하지 아니하였음에도 피고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원고에 대한 급여를 인상하여 마찬가지로 일정금액을 지급하였는바, 위 급여에 포함된 수당의 구체적인 내역은 알 수 없는 점, 원고는 최초 이 사건 소를 제기할 당시에는 위 각 근로계약에서 정한 휴게시간에도 실질적으로 근무를 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미지급급여를 청구하였으나 사건이 진행되면서 청구원인을 몇 차례 변경하여 급여명세서에 급여의 내용이 기본급으로 표시되어 위 각 근로계약의 내용과 다르다는 이유로 약정된 수당의 지급을 구하고 있는 점, 갑 제11호증의 각 기재에 의하면, 원고는 피고를 상대로 임금체불을 이유로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 진정하였다가 2018.7.12. 위 각 근로계약서 상의 임금체불이 없다는 이유로 진정사건 종결을 요청한 점 등을 종합하여 보면, 피고가 작성한 급여명세서에 기본급으로 표시되어 원고에게 지급된 금액은 위 각 근로계약서에서 정한 각 수당을 포함한 금액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고, 따라서 피고는 원고에게 위 각 근로계약에서 정한 각 수당을 모두 지급하였다고 볼 것이니, 원고의 이 부분 주장은 이유 없다.

 

나. 최저임금법에 따른 차액 임금 주장에 대한 판단

원고의 주장을 최대한 반영하여 원고가 월 269시간으로 근무했다고 가정하더라도 이를 최저임금법이 정한 최저임금으로 환산할 경우 원고의 2016년 최저임금은 월 1,622,070원, 2017년 최저임금은 월 1,740,430원, 2018년 최저임금은 월 2,025,570원이 되는바, 위 각 금원은 원고가 피고로부터 지급받은 월 급여액인 2016년 월 175만 원과 월 183만 원, 2017년 월 1,952,440원, 2018년 월 220만 원에 미치지 못하므로, 피고가 최저임금법을 위반하였다고 볼 수 없다.

이에 대하여 피고의 최저임금법위반 여부는 피고가 지급하기로 약정한 기본급을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나, 앞서 본 바와 같이 피고는 원고의 실제 연장근로시간과 관계없이 일정금액을 수당으로 지급하였고, 이를 급여명세서에는 기본급이라고 표시하여 위 약정수당을 일괄하여 급여로 지급한 점, 따라서 원고와 피고 사이에 체결된 위 임금약정은 포괄임금제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이고, 특별히 원고에게 불리하지 않으므로 근로기준법을 위반하여 무효라고 보이지 않는 점, 또한 위 각 근로계약에 의하면, 피고는 원고에게 매주 1일 법정주휴일을 제공하기로 하였는데, 원고는 실제로 법정주휴일 제공 없이 격일로 근무하였다고 주장하면서 실제 근무일수에 법정주휴일 근로시간까지 포함하여 최저임금을 계산하고 있는바, 이는 위 각 근로계약에서 정한 기본급이 아닌 연장근로수당 등의 일부로 계산하여야 할 것이므로, 피고의 최저임금법 위반 여부는 피고가 위 각 근로계약에 따라 기본급으로 지급한 급여 뿐 아니라 각종수당 명목으로 지급된 것 역시 포함하여 계산하여야 하는 점 등을 종합하면, 피고가 최저임금법이 정한 임금에 미달하여 급여를 지급하였는지 여부는 피고가 지급한 포괄임금 전부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므로, 원고의 위 주장은 이유 없다.

 

3.  결론

 

그렇다면,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어 기각할 것인바, 제1심 판결은 이와 결론을 같이 하여 정당하므로 원고의 항소를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판사 이정민(재판장) 김정헌 박재성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임금, 보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대보조비, 개인연금 회사지원금, 손해사정사 실무수당, 설·추석귀성여비는 통상임금에 해당하고, 고정시간외수당, 교통비는 통상임금에 해당하지 않는다 [서울중앙지법 2020가합595078]  (0) 2023.11.22
임금이나 퇴직금을 지급할 수 없는 불가피한 사정이 인정되는 경우, 근로기준법 제36조, 제42조 각 위반범죄의 책임조각사유가 된다 [대법 2001도204, 서울중앙지법 2000노3948]  (0) 2023.11.22
저성과자 성과향상프로그램은 근로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적법한 제도이다 [대법 2022다281194]  (0) 2023.11.22
정액급 포괄임금제가 최저임금법을 위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대법 2018도965]  (0) 2023.11.22
포괄임금으로 지급된 임금이 최저임금에 미달하는지의 여부는 지급된 임금 중 최저임금 산입 제외 임금을 제외한 임금액과 최저임금액을 비교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대법 2021다273264]  (0) 2023.10.24
정년연장형 임금피크제 도입이 합리적인 이유 없는 연령차별로서 무효라거나 단체협약이 현저히 합리성을 결하여 노동조합의 목적을 벗어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대법 2023다220875]  (0) 2023.10.24
정기상여금은 통상임금에 해당하고,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것이 신의칙에 반한다고 볼 수 없다 [대전지법 서산지원 2014가합1255]  (0) 2023.09.20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것이 신의칙에 반한다고 볼 수 없고, 토요일 근로에 대해서는 휴일근로수당을 적용함이 타당하다 [대전고법 2016나1258]  (0) 2023.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