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201782일 이전에 제조업을 영위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을 창업하여 사업을 개시한 자가 201783일 이후에도 중소기업창업 지원법39조의32항에 따라 부담금을 면제받을 수 있는지?

[질의 배경]

민원인은 중소기업창업 지원법39조의32항이 200783일부터 유효기간을 10년으로 정한 일몰규정이므로 201783일 이후에는 부담금을 면제받을 수 없다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답변에 이의가 있어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201782일 이전에 제조업을 영위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을 창업하여 사업을 개시한 자는 201783일 이후에도 중소기업창업 지원법39조의32항에 따라 부담금을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이 유>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이하 중소기업창업법이라 함) 39조의32항에서는 통계법22조제1항에 따라 통계청장이 작성고시하는 한국표준산업분류상의 제조업(이하 제조업이라 함)을 영위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을 창업하는 자에 대하여 사업을 개시한 날부터 3년 동안 지방자치법138조에 따른 분담금(1), 농지법38조제1항에 따른 농지보전부담금(2) 등의 부담금(이하 부담금이라 함)을 면제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200783일 법률 제8606호로 일부개정되어 같은 날 시행된 중소기업창업법 부칙 제2(이하 구 중소기업창업법 부칙 제2이라 함)에서는 중소기업창업법 제39조의32항의 개정규정은 같은 법 시행일부터 10년 이내에 창업하는 자에 한하여 적용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 사안은 201782일 이전에 제조업을 영위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을 창업하여 사업을 개시한 자가 201783일 이후에도 중소기업창업법 제39조의32항에 따라 부담금을 면제받을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먼저, 법령의 문언 자체가 비교적 명확한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원칙적으로 더 이상 다른 해석방법은 활용할 필요가 없거나 제한될 수밖에 없다고 할 것인바(대법원 2009.4.23. 선고 200681035 판결례 참조), 구 중소기업창업법 부칙 제2항에서는 중소기업창업법 제39조의32항의 개정규정은 같은 법 시행일부터 10년 이내에 창업하는 자에 한하여 적용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200783일부터 10년 이내에 창업한 자는 같은 규정에 따라 사업을 개시한 날부터 3년 동안 부담금을 면제받을 수 있다는 것이 문언 상 명백하다고 할 것입니다.

또한, 2012813일 법률 제11483호로 일부개정되어 같은 날 시행된 중소기업창업법(이하 개정 중소기업창업법이라 함)에서는 구 중소기업창업법 부칙 제2항의 적용기간을 5년에서 10년으로 개정하면서 구 중소기업창업법 부칙 제2항의 개정규정은 201283일 이후 이 법 시행 전에 창업하는 자에 대해서도 적용한다고 부칙에서 규정하고 있는바, 2012813일에 구 중소기업창업법 부칙 제2항을 개정하면서 이와 같은 적용례를 둔 것은 200783일부터 5년이 경과한 201283일 이후에도 중소기업창업법 제39조의32항이 실효되지 않았음을 전제로 201283일부터 개정 중소기업창업법 시행 전에 창업하는 자에 대해서도 부담금을 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이와 같은 중소기업창업법의 개정 연혁에 비추어 보더라도 구 중소기업창업법 부칙 제2항은 중소기업창업법 제39조의32항의 유효기간을 규정한 것이 아니라 부담금을 면제받을 수 있는 중소기업을 창업하는 자의 창업 시점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한편, 구 중소기업창업법 부칙 제2항은 유효기간이므로 201783일부터 중소기업창업법 제39조의32항은 실효되어 해당 규정에 따라 부담금을 면제받을 수 없다는 의견이 있을 수 있으나,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 중소기업창업법 부칙 제2항은 일반적인 유효기간 규정방식인 39조의32항은 201782일까지 효력을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지 않고, 중소기업창업법 제39조의32항이 3년이라는 부담금 면제 기간을 규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 중소기업창업법 부칙 제2항에서 별도로 10년이라는 기간을 정하고 있는 것은 중소기업을 창업하는 자가 부담금 면제를 적용받기 위한 창업의 시간적 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에서 그러한 의견은 타당하지 않다고 할 것입니다.

이상과 같은 점을 종합해 볼 때, 201782일 이전에 제조업을 영위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을 창업하여 사업을 개시한 자의 경우에는 201783일 이후에도 중소기업창업법 제39조의32항에 따라 부담금을 면제받을 수 있다고 할 것입니다.

 

법령정비 권고사항

구 중소기업창업법 부칙 제2항이 중소기업창업법 제39조의32항의 유효기간을 정한 것인지, 아니면 중소기업을 창업하는 자가 같은 법 제39조의32항에 따라 부담금 면제를 적용받기 위한 창업의 시간적 한계를 정한 것인지가 명확하지 않아 해석상 오해의 소지가 있으므로 이를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법제처 17-0589, 2017.12.18.

반응형

'경영, 금융, 보험, 상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도사의 업무분야는 「자격기본법」 제17조제1항제1호에 따른 “다른 법령에서 금지하는 행위와 관련된 분야”에 해당하는지[법제처 17-0497]  (0) 2019.02.18
중소기업 창업자가 면제 대상 부담금을 납부한 경우에 발생하는 환급청구권에 대한 소멸시효의 기산점 [법제처 17-0496]  (0) 2019.02.15
공동이행방식의 공동수급체가 체결한 하도급계약에서 과징금 산정기준이 되는 ‘하도급대금’은 하도급계약금액 전액이지 그 중 원고의 지분비율 상당액이 아니다 [대법 2018두51485]  (0) 2019.01.25
주목적사업을 위하여 현장 사무소나 부대시설,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시설을 설치하거나 적치하거나 매설하려는 용도로 농지를 일시 사용하려는 자의 의미 [법제처 17-0586]  (0) 2019.01.24
대형마트 내 일부 점포에 대해 영업시간 제한 등 규제의 예외를 둘 수 있는지 여부(「유통산업발전법」 제12조의2 등 관련) [법제처 17-0605]  (0) 2019.01.08
가맹사업법령상 ‘부당하게 가맹점사업자에게 특정한 거래상대방과 거래할 것을 강제하는 행위’의 판단기준 [대법 2015두59686]  (0) 2018.12.20
과밀억제권역 내에서 공업지역의 위치를 변경할 때 공업지역의 지정과 해제를 동시에 하여야 하는지 여부(「수도권정비계획법」 제7조제2항제2호 등 관련) [법제처 17-0680]  (0) 2018.12.18
점포 등의 집단이 하나의 건물 안에서 구분점포의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에도 전문상가단지에 해당할 수 있는지 여부(「유통산업발전법」 제2조 및 제20조 등 관련) [법제처 18-0041]  (0) 2018.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