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예비군법 시행규칙별표 교육훈련란 제5호의 예비군 교육훈련 면탈 또는 연기를 위한 진단서 변조예비군 교육훈련 면탈또는 예비군 교육훈련 연기를 위한 진단서 변조를 의미하는지, 아니면 예비군 교육훈련 면탈을 위한 진단서 변조또는 예비군 교육훈련 연기를 위한 진단서 변조를 의미하는지?

[질의 배경]

민원인은 위 질의요지에 대해 국방부로부터 예비군 교육훈련 면탈또는 예비군 교육훈련 연기를 위한 진단서 변조를 의미한다는 회신을 받자 이에 이견이 있어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예비군법 시행규칙별표 교육훈련란 제5호의 예비군 교육훈련 면탈 또는 연기를 위한 진단서 변조예비군 교육훈련 면탈을 위한 진단서 변조또는 예비군 교육훈련 연기를 위한 진단서 변조를 의미합니다.

 

<이 유>

예비군법 시행령31조제1항 및 제2항에서는 국방부장관은 예비군의 운영 실태를 확인점검하고 예비군의 임무수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예비군부대 및 예비군 관계기관에 대하여 정기감사 및 특별감사를 실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예비군법 시행규칙32조제2항에서는 예비군의 교육훈련(3) 등 각 호의 사항에 관하여 감사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규칙 제37조제2항 후단에서는 감사 결과에 따라 관계자를 문책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같은 규칙 별표에서는 감사 분야별 문책대상 행위와 비위 및 과실정도에 따라 관계자 문책기준을 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예비군법 시행규칙별표 교육훈련란 제5호에서는 예비군 교육훈련 면탈 또는 연기를 위한 진단서 변조를 문책대상 행위로 규정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또는은 나열되는 사항 중 하나가 선택됨을 나타내는 접속 부사로서 나열된 두 항목이 앞말의 수식을 동시에 받거나 뒷말에 걸리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법령문에 사용되는 표현(법령 입안·심사 기준(2019, 법제처 개정 발행) p.763 참조)임을 고려하면, 해당 별표 규정에서는 진단서 변조행위를 수식하는 것으로 보아 예비군 교육훈련을 면탈하거나 연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진단서 변조를 문책대상 행위로 규정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예비군법 시행규칙별표 교육훈련란 제6호에서는 문책대상 행위의 하나로 교육훈련 면탈을 위한 교육 소집통지서 전달 부실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예비군 교육훈련 면탈이라는 결과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예비군 교육훈련 면탈을 목적으로 관계자가 교육 소집통지서 전달 부실 행위를 한 경우를 의미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같은 란 제5호도 예비군 교육훈련 면탈의 결과 발생이 아니라 이를 목적으로 관계자가 진단서 변조 행위를 한 경우에 적용되는 문책기준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고, 같은 교육훈련란 제1호부터 제4호까지 및 제6호부터 제10호까지에서 문책대상 행위의 유형을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여 규정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같은 란 제5호는 예비군 교육훈련 면탈이라는 포괄적인 행위가 아니라 예비군 교육훈련 면탈을 위한 진단서 변조를 의미한다고 보는 것이 관련 규정체계에 부합하는 해석입니다.

아울러 예비군 교육훈련은 예비군법6조제1항에 따라 예비군대원이 받는 훈련이고, 그 면탈 행위의 주체도 예비군 교육훈련 담당자 등 관계자가 아니라 훈련 당사자인 예비군대원이므로, ‘예비군 교육훈련 면탈예비군 교육훈련 연기를 위한 진단서 변조는 행위의 주체나 양태가 전혀 다른 행위로서 같은 호로 규정할 정도로 성질이 유사하다고 할 수 없다는 점도 이 사안을 해석할 때 고려해야 합니다.

법령정비 권고사항

예비군법 시행규칙별표 교육훈련란 제5호의 문책대상 행위를 예비군 교육훈련 면탈또는 예비군 교육훈련 연기를 위한 진단서 변조로 보아 집행하려면 대상 행위를 분리하여 다른 호로 규정하고, 예비군 교육훈련 담당자에 대한 문책대상 행위로서의 예비군 교육훈련 면탈이 구체적으로 어떤 행위를 의미하는지 보다 명확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법제처 20-0135, 2020.05.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