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약사법42조제1항 전단에 따라 의약품 및 의약외품의 수입업 신고를 하고 의약품 및 의약외품을 수입하는 자(이하 수입자라 함)가 하나의 영업소[약사법42조제3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6조에 따라 의약품 등의 수입자가 갖추어야 하는 영업소를 말하며, 이하 같음.]를 두고 있는 경우, 이 수입자가 약사법42조제5, 36조제1항 및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58조제1항에 따라 수입업무를 관리하는 자(이하 수입관리자라 함)를 둘 때 의약품 수입관리자와 의약외품 수입관리자를 따로 두어야 하는지?(수입관리자가 의약품 수입관리자 및 의약외품 수입관리자의 자격을 모두 갖춘 경우로 한정하며, 이하 같음.)

[질의 배경]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하나의 영업소를 두고 의약품과 의약외품을 함께 수입하는 자가 의약품과 의약외품 수입관리자를 구분하여 각각 두어야 하는지 해석상 의문이 있어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이 사안의 경우 의약품 수입관리자와 의약외품 수입관리자를 따로 두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 유>

행정처분 외에 형벌까지 부과되는 경우 관련 규정의 해석은 엄격하여야 하고, 명문규정의 의미를 당사자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지나치게 확장해석하거나 유추해석하는 것은 죄형법정주의 원칙에 어긋나는 것으로서 허용되지 않는바,(대법원 2005.11.24. 선고 20024758 판결례 등 참조) 수입자가 영업소마다 수입관리자를 두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약사법36(42조제5항에서 준용) 및 수입관리자가 해당 영업소의 수입 관리 업무 외의 업무에 종사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는 제37조제2(42조제5항에서 준용)을 위반하여 안전관리업무를 실시하지 않은 자는 같은 법 제95조제1항제7호에 따라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되므로 수입자 및 수입관리자에 관하여 약사법42조제5항에서 준용하고 있는 같은 법 제36조 및 제37조제2항은 엄격하게 해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런데 약사법36조제1(42조제5항에서 준용)에서는 수입자는 영업소마다 총리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필요한 수의 약사 또는 한의사를 두고 수입 업무를 관리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그 위임에 따른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58조제1항에서는 수입자는 법 제42조제5항에 따라 수입관리자로 1명 이상의 약사 또는 한약사를 두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수입자는 영업소마다 수입관리자를 1명 이상 두어야 하는바, 해당 규정에서 영업소를 기준으로 수입관리자를 두도록 규정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이 사안과 같이 수입자가 하나의 영업소를 두었다면 그 수입자가 의약품과 의약외품을 모두 수입하더라도 한 명의 수입관리자만 두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아야 합니다.

또한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42조제1항에서는 인체에 직접 적용되는 의약품의 제조업자는 2명 이상의 제조관리자를(1), 그 밖의 의약품 제조업자는 1명 이상의 제조관리자를(2), 의약외품 제조업자는 1명 이상의 제조관리자를(3) 두도록 하여 의약품 제조업자와 의약외품 제조업자가 두어야 하는 제조관리자의 수를 별도로 규정하고 있는 반면, 같은 규칙 제58조제1항에서는 수입자는 법 제42조제5항에 따라 수입관리자로 1명 이상의 약사 또는 한약사를 두어야 한다고 규정하여 의약품과 의약외품의 수입자가 두어야 하는 수입관리자의 수를 구분하여 규정하고 있지 않은 점을 고려하더라도 의약품과 의약외품 수입관리자를 반드시 따로 두어야 한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아울러 약사법령에서는 제조업의 경우 의약품 제조업 허가(약사법31조제1)와 의약외품 제조업 신고(약사법31조제4)를 구분하여 규정하고 있고, 그 시설기준(의약품 등의 제조업 및 수입자의 시설기준령 시행규칙2조 및 제8) 및 준수사항(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48)에 관하여도 의약품 제조업자의약외품 제조업자를 구별하여 규정하고 있는 것과 달리, 수입에 관하여는 수입업 신고(약사법42조제1), 시설기준(의약품 등의 제조업 및 수입자의 시설기준령 시행규칙9), 준수사항(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60)에 관하여 의약품과 의약외품 수입자를 구분하여 규율하고 있지 않다는 점도 이 사안을 해석할 때 고려해야 합니다.

한편 수입관리자가 의약품과 의약외품을 함께 관리할 수 있다고 본다면 수입관리자가 해당 영업소의 수입 관리 업무 외의 업무에 종사할 수 없도록 규정한 약사법37조제2(42조제5항에서 준용)의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있으나, 해당 규정은 수입관리자가 한 영업소의 수입 관리 업무 외의 업무에 종사할 수 없도록 한 것인데 한 명의 수입자가 운영하고 있는 하나의 영업소에서 의약품과 의약외품을 함께 관리하는 것은 하나의 영업소의 수입 관리 업무 외의 업무에 종사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그러한 의견은 타당하지 않습니다.

 

법령정비 권고사항

수입자가 의약품과 의약외품을 함께 수입하는 경우 의약품 수입관리자와 의약외품 수입관리자를 따로 두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법제처 18-0795, 2019.07.11.

 

반응형

'식품, 건강 > 식품, 의약품, 의료, 위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직권으로 영업소를 폐쇄한 경우 식품위생법 제38조제2항에 따른 영업신고의 제한여부 [법제처 18-0686]  (0) 2020.01.02
「학교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4의2 제2호가목2)에서 규정하고 있는 “환기시설”의 의미 [법제처 18-0651]  (0) 2019.12.19
의약품제조업자는 제조한 완제의약품의 판매를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적합판정서”의 유효기간 내에 해야 하는지 [법제처 18-0631]  (0) 2019.12.06
한의사가 처방전을 발급하는 경우에도 「의료법 시행규칙」 별지 제9호 서식에 따라 처방전을 발급해야만 하는지(「의료법 시행규칙」 제12조 등 관련) [법제처 19-0034]  (0) 2019.10.17
업무정지처분사유가 발생한 한의사가 기존 한의원을 폐업한 후 다른 장소에 한의원을 개설한 경우 이에 대하여 업무정지처분을 할 수 있는지 [법제처 18-0294]  (0) 2019.08.22
의료인이 「형사소송법」 제218조에 따라 수사기관에 환자에 관한 기록 사본을 임의로 제출하는 경우 환자의 동의가 필요한지 여부(「의료법」 제21조제3항제6호 등 관련) [법제처 18-0310]  (0) 2019.08.16
「보건복지부 소관 비영리법인의 설립 및 감독에 관한 규칙」의 적용 범위(「보건복지부 소관 비영리법인의 설립 및 감독에 관한 규칙」 제1조 등 관련) [법제처 18-0311]  (0) 2019.07.19
부속 의료기관을 개설한 자가 개설된 해당 기관의 운영을 다른 의료법인에 위탁할 수 있는지 여부(「의료법」 제35조 등 관련) [법제처 18-0440]  (0) 2019.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