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공공기관 종사자가 아닌 민간 기업 근로자의 성희롱 행위가 국가인권위원회법2조제3호에 따른 평등권 침해의 차별행위 중 성희롱 행위에 해당하여 국가인권위원회법30조제3항에 따른 조사 대상이 되는지?

[질의 배경]

민원인은 공공기관이 아닌 민간 기업의 근로자가 성희롱을 했을 경우 국가인권위원회법30조제3항에 따른 조사 대상인지 여부에 대하여 질의하였으나, 국가인권위원회는 공공기관 종사자뿐만 아니라 민간 기업의 사용자 또는 근로자의 성희롱 행위도 조사대상이라고 회신함에 따라 위 회신에 이의가 있어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이 사안의 경우 공공기관 종사자뿐만 아니라 민간 기업 근로자의 성희롱 행위도 조사대상에 포함됩니다.

 

<이 유>

국가인권위원회법2조제3호라목에서는 성희롱 행위는 업무, 고용, 그 밖의 관계에서 공공기관의 종사자,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그 직위를 이용하여 또는 업무 등과 관련하여 성적 언동 또는 그 밖의 요구 등을 따르지 아니한다는 이유로 고용상의 불이익을 주는 행위로 규정하고 있는바, 일반적으로 쉼표(,)는 같은 자격의 어구를 열거할 때 그 사이에 사용되는 문장부호라는 점을 고려해보면(한글맞춤법문화체육관광부고시 제2017-12호 참조) 같은 목의 규정 중 쉼표(,)”또는으로 연결된 공공기관의 종사자”, “사용자”, “근로자는 같은 자격의 어구로 볼 수 있으므로 성희롱 행위의 범위를 공공기관 종사자의 성희롱 행위뿐만 아니라 사용자 또는 근로자의 성희롱 행위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그리고 국가인권위원회법에서는 사용자 및 근로자의 의미에 대하여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므로 그 의미는 다른 법령과의 관계,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의미 등을 고려해 판단해야 하는데 근로자의 근로조건의 기준에 관해 정하고 있는 근로기준법에서 사용자란 사업주 또는 사업 경영 담당자, 그 밖에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로 규정하고 있고(2조제1), “근로자란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자로 규정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2조제2) 국가인권위원회법2조제3호라목에 따른 사용자, 근로자는 모든 사업장의 사용자와 근로자를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사회통념에 부합하는 합리적인 해석이라고 할 것입니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법30조제1항제2호에서는 법인, 단체 또는 사인(私人)으로부터 차별행위를 당한 사람 또는 그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이나 단체는 국가인권위원회에 그 내용을 진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3항에서는 진정이 없는 경우에도 국가인권위원회는 직권으로 조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특별한 규정이 없다면 같은 조제1항제2호의 법인, 단체 또는 사인의 범위에는 공공기관 외에 민간 기업도 포함되므로 해당 규정에 따른 조사대상이 공공기관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닙니다.

아울러 국가인권위원회법2조제3호라목에서 사용자근로자외에 공공기관의 종사자를 별도로 규정한 취지는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학교 등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의 경우에는 특별법인 국가공무원법등이 우선 적용되므로 근로기준법에 따른 사용자 및 근로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해석상 혼란이 있을 수 있어 국가인권위원회법에 따른 조사대상에 공공기관 종사자도 포함됨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도 이 사안을 해석할 때 고려해야 합니다.

 

법제처 18-0505, 2018.10.19.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성희롱, 괴롭힘, 여성, 미성년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아의 사망시기와 모체에서 임신 산물을 배출하는 시기가 다른 경우, 유산휴가 개시일을 어느 시점을 기준으로 해야 하는지 [여성고용정책과-916]  (0) 2019.07.16
부모 중 일방이 육아휴직 급여를 지급받지 못한 경우, 그 후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배우자가 육아휴직 급여의 특례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는지 [여성고용정책과-894]  (0) 2019.07.16
모성보호 및 일가정양립 제도 관련 행정해석 변경 시달 [여성고용정책과-843]  (0) 2019.07.15
소정근로시간이 주 30시간 이상인 근로자만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신청할 수 있는지 / 근로자가 신청한 단축시간을 사업주가 근로자의 의사에 반하여 변경할 수 있는지 [여성고용정책과-469]  (0) 2019.07.15
육아휴직 기간 동안 로스쿨에 재학한 공무원에 대한 감봉 처분은 신뢰보호 원칙, 평등의 원칙 등에 위반된다고 보기 어렵다 [제주지법 2018구합5301]  (0) 2019.06.21
육아휴직기간을 근속기간으로 인정하지 않아 성과평가 대상에서 누락시키는 것은 위법 [여성고용정책과-3075]  (0) 2019.04.26
임금인상을 위한 성과평가시 육아휴직 기간 제외 [여성고용정책과-129]  (0) 2019.04.26
첫째 자녀에 대한 육아휴직 기간 중 둘째를 출산하여 둘째 자녀 출산에 대한 산전후휴가를 사용한 경우, 첫째 자녀에 대한 잔여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는지 [여성고용정책과-1864]  (0) 2019.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