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제1부 판결

사 건 / 201611847 . 업무상과실치사

                          나. 업무상과실치상

                          다. 산업안전보건법위반

                          라. 유해화학물질관리법위반

피고인 / 1. .... ○○

            2. .. ◇◇전자 주식회사

상고인 : 검사

원심판결 / 수원지방법원 2016.07.07. 선고 20146828 판결

판결선고 / 2018.10.25.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피고인들에 대한 주위적 공소사실에 대하여

 

원심은 다음과 같은 이유를 들어 피고인들에 대한 주위적 공소사실을 모두 무죄로 판단하였다.

(1) 피고인 ◇◇전자 주식회사(이하 ◇◇전자라고 한다)의 인프라기술센터장으로 재직하고 있던 피고인 이○○2013.1.27.부터 1.28. 사이에 피고인 ◇◇전자 화성사업장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하여 구체적·직접적 주의의무를 부담한다고 보기 어렵고,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및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위반의 점에 대하여 위반행위의 행위자라고 인정하기 어렵다.

(2) 피고인 이○○이 위반행위의 행위자라고 인정하기 어려우므로, 피고인 이○○이 행위자에 해당함을 전제로 양벌규정을 적용한 피고인 ◇◇전자에 대한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및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위반의 점도 인정될 수 없다.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업무상과실치사상의 주의의무, 산업안전보건법과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상 행위자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2. 피고인 ◇◇전자에 대한 예비적 공소사실에 대하여

 

법인은 사법상의 권리의무의 주체가 될 수 있을 뿐 법률에 명문의 규정이 없는 한 범죄능력이 없고, 그 법인의 업무는 법인을 대표하는 자연인인 대표기관의 의사결정에 따른 대표행위에 의하여 실현될 수밖에 없다(대법원 1997.1.24. 선고 96524 판결 등 참조).

원심은 산업안전보건법과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에 법인의 범죄능력을 인정하는 규정이 없다는 이유로 피고인 ◇◇전자가 수범자임을 전제로 하는 피고인 ◇◇전자에 대한 예비적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 법인의 범죄능력 및 산업안전보건법과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의 수범자와 벌칙규정의 적용대상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3.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선수(재판장) 권순일 이기택(주심) 박정화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산업안전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자는 피용자에 대하여 보호의무 또는 안전배려의무를 부담하고, 이러한 의무를 위반함으로써 피용자가 손해를 입은 경우 손해배상책임을 진다 [대구지법 2018가단115280]  (0) 2019.06.10
조적벽체 해체작업 도중 천장 상부 벽체가 무너져 근로자를 덮쳐 사망(산업안전보건법위반) [울산지법 2018고단3682]  (0) 2019.06.07
근로자가 이동식 비계에서 작업 중 이동식비계의 이동에 대비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동식비계가 움직이면서 추락하여 사망(산업안전보건법위반) [울산지법 2018고단3652]  (0) 2019.05.08
건설 중인 임도에 덤프트럭을 이용 전석을 운반하던 중 갓길 붕괴로 덤프트럭이 전도되면서 근로자 사망. 산업안전보건법위반 사건 [울산지법 2018고단887]  (0) 2019.03.29
전신주 해제작업 중 전주 하단부가 파단되면서 근로자가 전주와 함께 바닥으로 넘어져 사망한 사건(산업안전보건법위반) [춘천지법 2017고단1097]  (0) 2018.04.25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제1항의 ‘같은 장소에서 행하여지는 사업’은 사업주와 그의 수급인이 같은 장소에서 작업을 하는 사업을 의미한다 [울산지법 2016고단4529]  (0) 2018.04.10
안전조치의무를 위반한 사업주에 대해 형사처벌을 과하는 내용의 산업안전보건법 제67조제1호 중 제23조제3항 부분이 과잉형벌인지 [헌재 2017헌바166]  (0) 2018.03.09
면허 없이 지게차를 운전하다 전복되어 원고가 상해를 입은 사안에서, 고용주인 피고들의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한 사안 [울산지법 2016나23496]  (0) 2017.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