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군사용으로 국외에 수출하기 위한 비행기가 국외로 인도(引渡)되기 전 국내에서 시험 비행을 하는 경우 해당 비행기가 항공안전법3조제1항에 따라 같은 법이 적용되지 않는 군용항공기에 해당하는지?

[질의 배경]

민원인은 군사용으로 국외에 수출하기 위한 비행기로서 아직 국외로 인도되기 전 국내에서 시험 비행하는 비행기를 군용항공기로 보아 항공안전법의 적용이 배제되는지 여부를 국토교통부에 질의하였고, 국토교통부가 해당 비행기는 군용항공기에 해당하므로 항공안전법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답변하자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군사용으로 국외에 수출하기 위한 비행기가 국외로 인도되기 전 국내에서 시험 비행을 하는 경우 해당 비행기는 항공안전법3조제1항에 따라 같은 법이 적용되지 않는 군용항공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 유>

군용항공기 비행안전성 인증에 관한 법률(이하 군용기인증법이라 함) 2조제1호에서는 군용항공기란 국군이 사용하거나 군사용으로 국외에 수출하기 위한 비행기, 회전익항공기, 무인항공기, 비행선, 활공기와 그 밖에 항공에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군용항공기 운용 등에 관한 법률(이하 군용기운용법이라 함) 2조제1호에서는 군용항공기란 군이 사용하는 비행기회전익항공기무인항공기비행선활공기, 그 밖의 항공기기를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항공안전법3조제1항에서는 군용항공기와 이에 관련된 항공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같은 법을 적용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 사안은 군사용으로 국외에 수출하기 위한 비행기가 국외로 인도되기 전 국내에서 시험 비행을 하는 경우 해당 비행기가 항공안전법3조제1항에 따라 같은 법이 적용되지 않는 군용항공기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것입니다.

먼저 항공안전법국제민간항공협약및 같은 협약의 부속서에서 채택된 표준과 권고되는 방식에 따라 비행기 등 항공기가 안전하게 항행하기 위한 방법을 정함으로써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1) 하는 것으로서, 같은 법 제3조와 같이 해당 법률의 적용을 배제한다는 특별한 규정을 두지 않는 한 항공기의 안전기준, 운항기준 등에 관해서는 해당 법률이 일반적으로 적용됩니다.

그런데 항공안전법3조제1항에서는 군용항공기에 대해서는 같은 법을 적용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는 반면, 군용항공기의 비행안전을 위한 준수사항 등을 규정하고 있는 군용기운용법 제2조에서는 군용항공기를 군이 사용하는비행기 등으로 규정하고 군사용으로 국외에 수출하기 위한 비행기에 대해서는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은바, 군사용으로 국외에 수출하기 위한 비행기가 군용기운용법에 따른 군용항공기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해당 비행기의 운용 등에 관해서는 항공안전법이 적용된다고 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항공안전법3조제1항은 구 항공법(2005.11.8. 법률 제7691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을 말하며, 이하 같음) 2조의31항이 이관된 것으로서, 해당 규정에서는 공중충돌예방을 위해 군에서 사용하는 비행기비행선활공기 또는 회전익항공기와 이에 탑승하여 비행업무에 종사하는 자가 준수하여야 할 사항에 관하여는 구 군용항공기지법(2008.9.22. 법률 제8733호로 폐지되기 전의 것을 말함)이 정하는 바에 따른다고 규정하였고, 이후 현행과 동일한 문언으로 개정하였습니다.

그렇다면 항공안전법3조제1항에 따른 군용항공기라는 문언은 구 항공법2조의31항에 따른 군에서 사용하는 비행기비행선활공기 또는 회전익항공기의 문구를 간결히 정비한 것일 뿐, 이와 다른 의미로 규정하기 위해 개정된 것으로 볼 만한 사정은 없으므로(의안번호제171963호 항공법 일부개정법률안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심사보고서 참조) 항공안전법3조제1항에 따른 군용항공기는 군에서 사용하는 비행기로 한정하는 것이 같은 법의 입법 연혁에 부합하는 해석입니다.

한편 항공안전법3조제1항에서 같은 법의 적용배제 대상을 군용항공기의 형식인증 또는 운항 관련 사항 등으로 한정하지 않고, 군용항공기의 모든 사항에 대하여 같은 법을 적용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군사용으로 국외에 수출하기 위한 비행기에 대하여 형식인증 등 감항인증 외에 항공기의 운항기준 등에 대해서도 일관되게 군용항공기로 보아야 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그러나 군용기운용법은 군 항공작전의 원활한 수행과 군용항공기의 안전한 비행을 위하여 군용항공기의 비행기준과 통제공역에서의 비행제한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하고, 전시(戰時) 등 항공작전상 긴급한 사유가 있는 경우 항공운항 등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법률임을 고려할 때, 군용기운용법에 따른 군용항공기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군사용으로 국외에 수출하기 위한 비행기에 대해서까지 같은 법을 적용하는 것은 그 입법 목적 등에 부합되지 않으므로 그와 같은 의견은 타당하지 않습니다.

이상과 같은 점을 종합해 볼 때, 군사용으로 국외에 수출하기 위한 비행기가 국외로 인도되기 전 국내에서 시험 비행을 하는 경우 해당 비행기는 항공안전법3조제1항에 따라 같은 법이 적용되지 않는 군용항공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법제처 18-0143, 2018.05.17.

 

반응형

'환경, 안전 > 소방, 안전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허가 등의 동의 대상이 아닌 6층 이상 특정소방대상물에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지 여부[법제처 18-0061]  (0) 2018.11.23
공동주택단지 내 시설에 대하여 긴급안전조치를 할 수 있는지 여부 등(「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1조 등 관련)[법제처 18-0074]  (0) 2018.11.19
사업자등록을 한 사업장 관할 세무서장은 다중이용업주의 성명 및 주소 등을 관할 소방본부장 등에게 통보해야 하는지 여부(「다중이용업소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7조 등 관련)[법제처..  (0) 2018.11.02
소방시설공사업 법인의 대표자와 소방시설감리업 법인의 대표자가 친족인 경우 동일한 소방시설에 대한 시공과 감리를 함께 할 수 있는지 여부(「소방시설공사업법」 제24조제4호 등 관련)[..  (0) 2018.09.14
승강기 검사기관 인력기준에 맞는 실무경력은 학위취득 이후의 실무경력에 한정되는지 여부(「승강기시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7의3 등 관련) [법제처 18-0162]  (0) 2018.09.10
철도안전관리체계 기술기준 준수 의무의 주체(「철도안전법」 제7조 등 관련) [법제처 18-0059]  (0) 2018.09.03
기간제근로자 등을 채용하는 경우 면접을 반드시 실시해야 하는지 여부(「소방청 소속 무기계약 및 기간제근로자 등 운영규정」 제10조제2항 등 관련)[법제처 18-0202]  (0) 2018.08.03
다른 소방시설관리업체의 공동대표로 채용된 소방시설관리사의 이중 취업 해당 여부(「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26조제7항 관련) [법제처 18-0239]  (0) 2018.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