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주택법(2016.1.19. 법률 제13805로 전부개정되어 같은 해 8.12. 시행되기 전의 것을 말함. 이하 같음) 56조제2항에서는 주택관리사는 주택관리사보 합격증서를 발급받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택 관련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으로서 시·도지사로부터 주택관리사 자격증을 발급받은 자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주택법 시행령(2016.8.11. 대통령령 제27444호로 전부개정되어 같은 해 8.12. 시행되기 전의 것을 말함. 이하 같음) 73조제1항에서는 주택법56조제2항에 따른 주택 관련 실무경력을 공동주택의 관리사무소장으로 근무한 경력의 경우에는 3년 이상(1),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의 직원으로 주택관리업무에 종사한 경력의 경우에는 5년 이상(2) 등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들 경력을 합산할 경우에는 5년 이상 등으로 규정하고 있는 바(6),

주택법 시행령73조제1항제6호에 따라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장으로서의 근무경력과 공동주택 관리사무소 직원으로서의 종사경력을 합산하는 경우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장으로서의 근무경력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는지?

[질의 배경]

A는 주택관리사보 시험에 합격하여 합격증을 교부받았으며, 주택 관련 실무경력으로 관리사무소장으로 5.5개월, 관리사무소 직원 등으로 52.8개월 근무한 경력을 바탕으로 주택관리사 자격증 발급을 신청하였음.

소관 행정청은 관리사무소장과 관리사무소 직원 등의 경력을 합산하는 경우 그 기간은 주택법 시행령73조제1항제6호에 따라 5년 이상이 되어야 하나, A는 약 410개월에 해당하므로 자격증 발급을 거부함.

A주택법 시행령73조제1항제6호에 따라 같은 항제1호부터 제5호까지의 경력을 합산하는 경우에 관리사무소장의 경력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국토교통부에 질의하였고, 국토교통부에서 부여할 수 없다고 답변하자, 이에 이의가 있어 직접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주택법 시행령73조제1항제6호에 따라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장으로서의 근무경력과 공동주택 관리사무소 직원으로서의 종사경력을 합산하는 경우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장으로서의 근무경력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는 없습니다.

 

<이 유>

주택법56조제1항에서는 주택관리사보가 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시행하는 자격시험에 합격한 후 시·도지사로부터 합격증서를 발급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2항에서는 주택관리사는 주택관리사보 합격증서를 발급받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택 관련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으로서 시·도지사로부터 주택관리사 자격증을 발급받은 자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주택법 시행령73조제1항에서는 주택관리사 자격증을 발급받기 위하여 주택법56조제2항에 따라 갖추어야 할 주택 관련 실무경력을 50세대 이상 500세대 미만의 공동주택의 관리사무소장으로의 근무경력 3년 이상(1), 5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의 관리사무소의 직원(경비원, 청소원, 소독원은 제외함) 또는 주택법53조에 따른 주택관리업자의 직원으로서 주택관리업무에의 종사경력 5년 이상(2), 한국토지주택공사 또는 지방공사의 직원으로서 주택관리업무에의 종사경력 5년 이상(3), 공무원으로서 주택관련 지도·감독 및 인·허가 업무 등에의 종사경력 5년 이상(4), 주택법81조제2항에 따른 주택관리사단체와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공동주택관리와 관련된 단체의 임직원으로서 주택관련업무에 종사한 경력 5년 이상(5), 1호 내지 제5호의 경력을 합산한 기간 5년 이상으로 각각 규정하고 있는 바(6),

이 사안은 주택법 시행령73조제1항제1호에 따라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장으로 근무한 경력과 같은 항제2호에 따라 공동주택 관리사무소 직원으로 주택관리업무에 종사한 경력이 있는 경우, 같은 항제6호에 따라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장으로서의 근무경력과 관리사무소 직원으로서의 주택관리업무 종사경력을 합산할 때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장으로서의 근무경력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먼저, 법의 해석에 있어서는 법령에 사용된 문언의 의미에 충실하게 해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법령의 문언 자체가 비교적 명확한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다른 해석방법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고 할 것인데, 주택법 시행령73조제1항제1호부터 제5호까지에서는 주택관리사 자격증을 발급받기 위한 경력요건으로 공동주택의 관리사무소장 등 다섯 가지의 경력에 대하여 그 종류에 따라 3년 또는 5년의 기간으로 규정하고 있고, 같은 항제6호에서는 제1호 내지 제5호의 경력을 합산한 기간 5년 이상이라고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는바, 법령에서 내지부터 까지를 의미한다고 할 것인바, 같은 항제6호는 같은 항제1호부터 제5호까지의 각각의 경력을 모두 합산하여 5년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고 할 것이고, 이와 같이 경력기간을 합산하여 계산할 때 가중치 부여에 관하여는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않으므로 같은 항제6호에 따라 5년의 기간을 계산할 때에는 같은 항제1호부터 제5호까지의 실무경력을 달리 취급하여 이들 경력 중 어느 하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할 수는 없다고 할 것입니다.

한편, 주택법 시행령73조제1항 각 호에서는 주택관리사 자격증을 발급받기 위한 실무경력기간에 대한 기준을 규정하면서 공동주택 관리사무소 등의 직원, 한국토지공사 등의 직원, 주택관련업무 담당 공무원, 공동주택관리 관련 단체 임직원의 경력에 대해서는 각각 5년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반하여,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장의 경력에 대해서만 그 기간을 3년 이상으로 규정한 것도 다른 실무경력과 비교할 때 공동주택 관리소장으로서의 업무가 높은 전문성 등을 갖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다른 실무경력보다 그 기간을 단기로 규정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같은 항제6호에 따라 제1호부터 제5호까지의 경력을 합산할 때에도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장으로서의 경력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등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장의 경력과 그 밖의 경력을 달리 취급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택법 시행령73조제1항제6호는 실무경력의 종류를 불문하고 같은 항제1호부터 제5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력이 해당 호에서 규정하는 기간에 이르지 못하였더라도 제1호부터 제5호까지의 경력을 합산한 기간이 5년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주택관리사 자격증을 발급받을 수 있는 실무경력을 갖춘 것으로 인정하려는 취지로 규정된 것이지, 이에 더 나아가 제1호부터 제5호까지의 경력기간을 합산할 때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장의 경력기간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하도록 하는 취지는 아니라고 할 것이므로 그와 같은 의견은 타당하지 않다고 할 것입니다.

이상과 같은 점을 종합해 볼 때, 주택법 시행령73조제1항제1호에 따라 공동주택의 관리사무소장으로 근무한 경력과 같은 항제2호에 따라 공동주택의 관리사무소 직원으로 주택관련업무에 종사한 경력이 있는 경우, 같은 항제6호에 따라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장으로서의 근무경력과 공동주택 관리사무소 직원으로서의 종사경력을 합산할 때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장으로서의 근무경력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는 없다고 할 것입니다.

 

법제처 16-0524, 2016.11.23.

 

반응형

'주택, 부동산 > 주택, 부동산, 임대차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주자대표회의의 의결정족수 산정 기준(「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제14조제1항 등 관련) [법제처 17-0352]  (0) 2017.11.22
임대의무기간이 10년인 공공건설임대주택의 분양전환가격 산정 방식((구)임대주택법 시행규칙 별표 1 등 관련) [법제처 17-0325]  (0) 2017.11.22
임대의무기간이 만료된 민간건설임대주택의 매각 방법(구「주택법」 제38조 등 관련)[법제처 16-0580]  (0) 2017.10.24
공동주택단지의 인터넷 홈페이지가 없는 경우 관리주체가 주택관리업자 등과 체결한 계약서를 입주자 및 사용자의 정보공개 요구가 있으면 관리사무소에서 열람, 복사 등을 통해 제공한 것..  (0) 2017.10.20
「공공주택 특별법 시행규칙」 별표 7 제2호다목의 산정가격 계산 시 “분양전환 당시”의 의미(「공공주택 특별법」 제50조의3제1항 등 관련) [법제처 16-0527]  (0) 2017.09.25
주차차단기 설치의 장기수선계획 반영 여부(「공동주택관리법」 제29조제1항 등 관련) [법제처 16-0388]  (0) 2017.09.21
「주택법」 제21조의5제2항 후단에 따른 “소음 관계 법률”의 의미(「주택법」 제21조의5 등 관련) [법제처 16-0290]  (0) 2017.08.07
주택건설사업계획승인을 받아 건설된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지로 한 지역주택조합을 설립인가할 수 있는지 여부(「주택법 시행령」 제20조제6항 등 관련) [법제처 16-0420]  (0) 2017.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