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결요지>

특정범죄가중법 제8조의2 1항은 영리의 목적과 공급가액등의 합계액이 일정액 이상이라는 가중사유를 구성요건화 하여 조세범 처벌법 제10조제3항 위반과 합쳐서 하나의 범죄유형으로 정하고 공급가액등의 합계액에 따라 구분하여 법정형을 정하고 있음에 비추어 보면, 조세범 처벌법 제10조제3항의 각 위반행위가 영리의 목적으로 단일하고 계속된 범의 아래 일정기간 계속하여 행하여지고 그 행위들 사이에 시간적·장소적 연관성이 있으며 범행의 방법 간에도 동일성이 인정되는 등 하나의 이 사건 법률조항 위반행위로 평가될 수 있고, 그 행위들에 해당하는 문서에 기재된 공급가액을 모두 합산한 금액이 이 사건 법률조항에 정한 금액에 해당하면, 그 행위들에 대하여 포괄하여 이 사건 법률조항 위반의 1죄가 성립될 수 있다고 해석함이 타당하다.

 

대법원 2015.6.24. 선고 201416273 판결 [조세범처벌법위반]

피고인 /

상고인 / 피고인들

원심판결 / 서울고법 2014.11.20. 선고 20141464, 2917, 3037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1. 피고인 1의 상고이유 제1, 피고인 2, 피고인 3, 피고인 4의 상고이유 제1 내지 5, 7, 8점에 관하여

 

원심은, 피고인 1의 항소이유에 대하여 그 판시 사정을 종합하면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하 특정범죄가중법이라고만 한다) 8조의2 1항에 규정된 영리의 목적을 널리 경제적인 이익을 취득할 목적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부당하다고 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피고인 2, 피고인 3, 피고인 4의 항소이유에 대하여 그 채택 증거들에 의하면 피고인 2는 피고인 7 주식회사(이하 피고인 7 회사라고만 한다)로부터 LED 조명기구 조립작업 등을 수주하기 위하여, 피고인 3은 매출실적을 유지하여 금융기관의 대출금 상환 압박을 피하기 위하여, 피고인 4는 사업실적을 부풀려 관급공사를 수주하기 위하여 실제 거래 없이 세금계산서를 수수하거나 거짓 기재한 매출·매입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를 정부에 제출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으므로, 피고인 2, 피고인 3, 피고인 4는 영리를 목적으로 특정범죄가중법 제8조의2 1항 위반의 범행을 저질렀다고 보아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관련 법리와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들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특정범죄가중법 제8조의2 1항 중 영리의 목적의 해석 및 적용에 관한 법리, 불고불리원칙 및 심판대상에 관한 법리, 자백보강법칙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거나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는 등의 위법이 없다.

 

2. 피고인 1의 상고이유 제2, 3, 피고인 2, 피고인 3, 피고인 4의 상고이유 제6점에 관하여

 

특정범죄가중법[또는 구 특정범죄가중법(2010.1.1. 법률 제991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8조의2 1(이하 이 사건 법률조항이라고 한다)은 영리의 목적으로 조세범 처벌법 제10조제3항 및 제4항 전단[또는 구 조세범 처벌법(2010.1.1. 법률 제9919호로 전부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조세범 처벌법이라고만 한다) 11조의2 4항 및 제5]의 죄를 범한 사람에 대하여, 세금계산서 및 계산서에 기재된 공급가액이나 매출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매입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에 기재된 공급가액 또는 매출·매입금액(이하 공급가액등이라고 한다)의 합계액이 50억 원 이상인 경우에는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하고(1), 공급가액등의 합계액이 30억 원 이상 50억 원 미만인 경우에는 1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고(2)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 사건 법률조항은 영리의 목적과 공급가액등의 합계액이 일정액 이상이라는 가중사유를 구성요건화 하여 조세범 처벌법 제10조제3(또는 구 조세범 처벌법 제11조의2 4, 이하 같다) 위반과 합쳐서 하나의 범죄유형으로 정하고 공급가액등의 합계액에 따라 구분하여 법정형을 정하고 있음에 비추어 보면, 조세범 처벌법 제10조제3항의 각 위반행위가 영리의 목적으로 단일하고 계속된 범의 아래 일정기간 계속하여 행하여지고 그 행위들 사이에 시간적·장소적 연관성이 있으며 범행의 방법 간에도 동일성이 인정되는 등 하나의 이 사건 법률조항 위반행위로 평가될 수 있고, 그 행위들에 해당하는 문서에 기재된 공급가액을 모두 합산한 금액이 이 사건 법률조항에 정한 금액에 해당하면, 그 행위들에 대하여 포괄하여 이 사건 법률조항 위반의 1죄가 성립될 수 있다고 해석함이 타당하다.

원심은, 이 사건 법률조항 중 공급가액등 합계액을 해석·적용함에 있어 일정 기간의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이 부당하다고 볼 수 없고 이 사건 법률조항 위반죄의 성립에 포괄일죄에 관한 일반법리가 적용된다고 할 것인지 의문일 뿐만 아니라, 설령 이 사건 법률조항 위반죄가 성립하기 위해서 이를 구성하는 조세범 처벌법 위반행위가 단일하고 계속된 범의 아래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더라도 그 판시 사정에 비추어 보면 피고인 1, 피고인 2, 피고인 3, 피고인 4에 대하여 이 사건 법률조항 위반죄의 성립에 필요한 범의의 단일성과 계속성이 인정되고 그 사이에 범의의 갱신을 인정할 수 없으므로 그 조세범 처벌법 위반행위들(다만 피고인 1에 대해서는 20082기부터 20102기까지의 범행)에 대하여 포괄하여 이 사건 법률조항 위반의 1죄가 성립된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위 법리와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들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그 이유 설시에 다소 부적절한 점이 있으나 그 결론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이 사건 법률조항에서 정한 공급가액등의 합계액의 해석 및 적용에 관한 법리오해, 이 사건 법률조항 위반죄의 죄수에 관한 법리오해 및 심리미진의 잘못으로 인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피고인 3의 상고이유 제9, 10점에 관하여

 

원심은 그 채택·조사한 증거들에 의하면 피고인 32013.12.9.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법정 앞에서 공소외 1과 공소외 2에게 그들의 기억에 반하여 그들과 피고인 6 주식회사(이하 피고인 6 회사라고만 한다)와의 거래가 실제로 이루어졌던 것처럼 증언해 달라고 부탁하여 위증을 교사하였고 공소외 1과 공소외 2는 실제 법정에서 그와 같은 취지로 위증한 사실을 인정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관련 법리와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들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위증교사죄의 교사행위, 인과관계, 범의에 관한 법리, 증언의 신빙성 판단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위법이 없다.

 

4. 피고인 5 주식회사, 피고인 6 회사, 피고인 7 회사의 상고이유 제11, 12점에 관하여

 

앞서 본 바와 같이 이 사건 법률조항은 영리의 목적과 공급가액등의 합계액이 일정액 이상이라는 가중사유를 구성요건화 하여 조세범 처벌법 제10조제3항 위반과 합쳐서 하나의 범죄유형으로 정하고 공급가액등의 합계액에 따라 구분하여 법정형을 정하고 있는 것이므로, 법인의 대표자가 수개의 조세범 처벌법 제10조제3항 위반행위에 대하여 이 사건 법률조항 위반의 1죄로 처벌받는다고 하더라도 조세범 처벌법 제18(또는 구 조세범 처벌법 제3)의 양벌규정에 의하여 처벌되는 법인의 조세범 처벌법 위반죄는 무거래 세금계산서 수수행위 등으로 인한 조세범 처벌법 위반죄의 죄수에 관한 일반 법리가 적용되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각 세금계산서 등 문서마다 1개의 죄가 성립된다고 보아야 한다.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에서 피고인 5 주식회사, 피고인 6 회사, 피고인 7 회사(이하 이와 같은 세 피고인들을 피고인 회사들이라고 한다)의 대표자들이 각각 이 사건 법률조항 위반의 1죄로 처벌받는다고 하더라도 피고인 회사들의 양벌규정에 의한 조세범 처벌법 위반죄는 그 무거래 세금계산서 수수행위 등에 대하여 각 문서마다 1개의 죄가 성립한다고 판단하여, 이와 달리 판단한 제1심판결 중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2014.5.16. 선고 2013고합104, 2013고합136(병합), 2014고합21(병합) 판결의 피고인 회사들에 대한 부분을 파기자판하고, 피고인 7 회사에 대한 공소제기가 이중기소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피고인 7 회사에 대한 공소를 기각한 서울중앙지방법원 2014.8.20. 선고 2014고단4799 판결을 파기환송하였다.

위 법리와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들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법인의 양벌규정에 의한 조세범 처벌법 위반죄의 죄수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위법이 없다.

 

5.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상옥(재판장) 이상훈 김창석(주심) 조희대

 

반응형

'조세관련 > 세무회계, 기타 조세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의 법인세법상 ‘외국법인’에 해당하는 독일의 투과과세 단체가 대한민국과 독일연방공화국 간의 소득과 자본에 대한 조세의 이중과세회피와 탈세방지를 위한 협정의 적용을 받을..  (0) 2017.08.14
구 조세특례제한법 30조의5 제2항의 ‘창업’에 해당하고 단서 제4호에서 정한 ‘사업의 확장 등 새로운 사업을 최초로 개시하는 것으로 보기 곤란한 경우’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대법 2015두3..  (0) 2017.08.11
구 종합부동산세법 시행령 제4조의2, 제5조의3 제1항 및 제2항에서 정한 산식에 따라 공제되는 재산세액의 산정방법 [대법 2012두2986]  (0) 2017.08.09
조세범 처벌법 제10조제3항의 각 위반행위에 대하여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8조의2 제1항 위반의 포괄일죄가 성립하는 경우 [대법 2015도2207]  (0) 2017.08.07
구 상속세법 제31조의3에 따라 재차 증여의 증여세 과세가액을 산정하는 경우, 부과제척기간이 만료한 종전 증여의 증여재산가액을 과세가액에 가산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대법 2013두23195]  (0) 2017.08.03
국내에 고정사업장이 없는 甲 법인이 지급받은 설계대금은 인적 용역의 대가로서 위 협정 제7조에 의하여 국내에서 원천납세의무가 없다 [대법 2015두950]  (0) 2017.08.02
특수관계인과의 거래 등으로 그 거래가액이 객관적으로 부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시가로 인정되지 아니한다 [서울행법 2013구합59033]  (0) 2017.08.02
구 지방세특례제한법 제40조의2의 도입 취지와 목적 [대법 2015두40002]  (0) 2017.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