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의료법33조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전단에서는 같은 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아니면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없다고 규정하면서 같은 항제4호에서 민법이나 특별법에 따라 설립된 비영리법인을 규정하고 있는바,

민법에 따라 설립된 사단법인이 의료기관을 개설하려는 경우, 해당 법인의 정관에 목적사업으로 의료기관의 개설·운영을 반드시 명시해야 하는지?

 

<회 답>

민법에 따라 설립된 사단법인이 의료기관을 개설하려는 경우, 해당 법인의 정관에 목적사업으로 의료기관의 개설·운영을 반드시 명시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 해당 법인의 정관에 의료기관의 개설·운영또는 의료사업을 할 수 있는 근거는 명시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 유>

의료법3조제1항에서는 의료기관이란 의료인이 공중(公衆) 또는 특정 다수인을 위하여 의료·조산의 업(이하 의료업이라 함)을 하는 곳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33조제2항 전단에서는 같은 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아니면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없다고 규정하면서 같은 항제1호에서는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또는 조산사를, 같은 항제2호에서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를, 같은 항제3호에서는 의료업을 목적으로 설립된 법인(이하 의료법인이라 함), 같은 항제4호에서는 민법이나 특별법에 따라 설립된 비영리법인을, 같은 항제5호에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준정부기관, 지방의료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방의료원,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법에 따른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을 각각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조제3항에서는 같은 조제2항에 따라 의원·치과의원·한의원 또는 조산원을 개설하려는 자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제4항에서는 같은 조제2항에 따라 종합병원·병원·치과병원·한방병원 또는 요양병원을 개설하려면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사안은 민법에 따라 설립된 사단법인이 의료기관을 개설하려는 경우, 해당 법인의 정관에 목적사업으로 의료기관의 개설·운영을 반드시 명시해야 하는지에 관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먼저, 의료법33조제2항제4·3항 및 제4항에서는 민법에 따라 설립된 비영리법인이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있다고 규정하면서 개설하려는 의료기관의 종류에 따라 의원급 의료기관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도록 하고, 병원급 의료기관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도지사의 허가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을 뿐이고, 의료기관의 개설·운영에 관한 사항을 해당 법인의 정관에 목적사업으로 명시하도록 하는 등 별도의 요건을 갖출 것을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의료법33조제2항제3호에서는 의료업을 목적으로 설립된 의료법인을 민법에 따라 설립된 비영리법인과는 별도의 의료기관 개설주체로 규정하고 있는바, 민법에 따라 설립된 비영리법인이 의료기관을 개설하기 위하여 의료기관의 개설·운영을 반드시 목적사업으로 정관에 규정하도록 강제하는 것은 민법에 따라 설립된 비영리법인을 의료법인과는 별개의 의료기관 개설 주체로 규정하고 있는 의료법의 규정 체계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할 것입니다.

또한, 2016930일 시행 예정인 법률 제13658호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이하 개정 의료법이라 함) 33조제9항에서는 의료법인 또는 같은 조제2항제4호에 따른 비영리법인이 의료기관을 개설하려면 그 법인의 정관에 개설하려는 의료기관의 소재지를 기재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정관의 변경허가를 얻어야 하고(의료법인등을 설립할 때에는 설립 허가를 말함), 이 경우 그 법인의 주무관청은 정관의 변경허가를 하기 전에 그 법인이 개설하고자 하는 의료기관이 소재하는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과 협의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개정 의료법에서는 법인의 무분별한 의료기관 개설과 법인의 명의를 대여하여 사무장병원을 개설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영리법인이 의료기관을 개설하려는 경우 정관에 의료기관의 소재지를 기재하도록 하고 있을 뿐이고(2015.12.29. 법률 제13658호로 일부개정된 의료법 국회 심사보고서 참조), 의료기관의 개설·운영을 법인의 정관에 목적사업으로 명시할 것을 요건으로 하고 있지 않다는 점도 이 사안을 해석할 때 고려되어야 할 것입니다.

다만, 법인은 정관으로 정한 목적의 범위 내에서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되는 것이고, “법인의 목적 범위 내에는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법인의 정관에 명시한 목적사업과 그 목적사업을 수행하는 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필요한 사업이 포함되는 것이므로(대법원 2014.1.23. 선고 201125012 판결례 참조), 비영리법인은 의료기관의 개설·운영을 정관에 목적사업으로 반드시 명시할 필요는 없다고 하더라도, 비영리법인이 의료기관의 개설·운영 또는 의료사업을 할 수 있는 근거가 어떤 형태로든 정관에 명시적으로 규정되어 있어야만 의료기관을 개설하여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입니다.

이상과 같은 점을 종합해 볼 때, 민법에 따라 설립된 사단법인이 의료기관을 개설하려는 경우, 해당 법인의 정관에 목적사업으로 의료기관의 개설·운영을 반드시 명시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 해당 법인의 정관에 의료기관의 개설·운영또는 의료사업을 할 수 있는 근거는 명시되어 있어야 한다고 할 것입니다.

 

법제처 15-0805, 2016.06.13.

 

반응형

'식품, 건강 > 식품, 의약품, 의료, 위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사시설에서 일반음식점영업신고 시 신고관청에서 토지이용계획확인원 등을 확인하여야 하는지 여부(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제42조제1항제10호 및 같은 조제2항 등) [법제처 16-0313]  (0) 2017.06.01
공공보건의료기관이 민간의료법인에 위탁운영되는 경우 공유재산을 무상으로 대부할 수 있는지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제10조제1항 관련)[법제처 16-0222]  (0) 2017.02.23
“조리사가 아니면 조리사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규정이 비영리사단법인의 명칭을 정할 때에도 적용되는지 여부(「식품위생법」 제55조 등 관련) [법제처 16-0295]  (0) 2017.01.17
「약사법」 제42조에 따른 “의약품 등의 수입을 업으로 하려는 자”와「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제58조에 따른 “수입관리자”의 겸직 가능여부 [법제처 16-0100]  (0) 2016.12.21
한 종류의 시험·검사기관 지정 취소를 받은 후 동일인이 또는 동일장소에서 2년 이내에 지정 제한을 받게 되는 시험·검사기관의 종류 [법제처 16-0102]  (0) 2016.10.17
공중위생관리법 시행령 제3조제1호의 내용 중.앞부분의 내용에 뒷부분의 내용이 포함인 것인지 아니면 둘 중 한 가지만으로도 적용이 되는지 여부 [법제처 15-0848]  (0) 2016.09.27
복어를 조리·판매하는 식품접객업자가 두어야 하는 조리사의 의미(「식품위생법 시행령」 제36조 등 관련) [법제처 16-0066]  (0) 2016.09.10
침대용 엘리베이터를 갖추어야 하는 요양병원 개설자가 변경된 경우의 범위(「의료법 시행규칙」 부칙 제3조 등 관련) [법제처 15-0801]  (0) 2016.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