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의>

질의요지

해고무효확인등 소송 조정조서에 의한 고용보험 가입기간 정정 가능 여부

 

질의하게 된 배경

관내 사업장 및 해고 근로자가 해고무효확인등 소송 조정조서에 의하여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일을 정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 문의함

 

질의내용

❍ ○○○○○○()에서 해고된 ○○○(******-*******) 13명의 근로자가 회사를 상대로 해고무효확인등 소송을 제기하여 이 사건 징계해고 및 계약해지는 무효이고 복직시키는 날까지 임금을 지급하도록 하는 조정이 있었던 바,

이후 근로자들은 원직 복직되지 않았고, 20개월 분의 임금을 지급하여 줄 것을 요청하였으나 일부는 10개월, 일부는 18개월 분의 임금을 받는 것으로 회사와 근로자 간에 합의하여 사건을 마무리함

이에 근로를 제공하지 않았지만 10개월 내지 18개월의 임금 상당액을 받은 사실이 있으므로 그것을 근무기간으로 인정하여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일을 정정해야 하는지 질의하고자 함

 

검토의견

<갑 설> 해고무효판결을 받고 수개월의 임금 상당액을 지급받았으나 이는 근로제공 대가가 아니고 합의금 혹은 손해배상금의 성격이므로 고용보험 가입기간을 정정할 수 없음

<을 설> 해고처분은 무효이고 이로 인해 근로자가 부득이하게 근로를 할 수 없었던 일정 기간은 피보험단위기간에 산입해야 함

<()청 의견> 갑설

 

<회 시>

고용보험법제14조에 의해 피보험자격의 상실일이란 피보험자가 이직한 경우에는 이직한 날의 다음 날이며 이직일은 같은 법 제2조에 의해 피보험자와 사업주 사이의 고용관계가 끝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해고무효확인 등 소송의 결과로 해고가 무효로 되었다 하더라도 근로자가 실제로 원직복직을 하지 아니하였다면 해고된 날을 고용관계가 끝난 날로 보아 그 날이 이직일이 되며 상실일은 그 다음날로 보아야 함이 타당하다고 사료됩니다.

- 또한 원직복직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당사자간 합의에 따라 지급된 임금 상당액은 임금이 아닌 합의금 명목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입니다.

따라서, 귀 지청의 의견 중 갑설이 타당하다고 사료됩니다.

고용지원실업급여과-1067, 2010.03.09.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고용노동 관련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찰대학 졸업자의 경찰 의무복무기간에 산입되지 않는 휴직에 육아휴직이 포함되는지 여부(경찰대학 설치법 제10조 등 관련)[법제처 15-0356]  (0) 2015.08.25
검찰청 검사장이 구 공무원임용령 제21조제1항에서 정한 합격의 유효기간이 경과되었다는 이유로 한 임용거부처분은 위법하다 [광주지법 2013구합11642]  (0) 2015.08.22
근로자가 육아휴직급여를 받던 중 일용직으로 근무한 것은 ‘취업’에 해당되므로 육아휴직급여 반환해야 [서울고법 2014누65600]  (0) 2015.08.10
병원 대표자로서 안전조치를 취하지 아니하고, 최저임금액 미만의 임금을 지급하고, 퇴직 근로자들에 대한 퇴직금을 기간 내에 지급하지 아니한 사건 [울산지법 2014고단1654, 2734, 3769]  (0) 2015.06.09
병역대체복무제도로서 공중보건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공중보건의(계약직공무원)가 고용보험에 임의 가입할 수 있는지 [고용서비스지원과-4148]  (0) 2015.06.03
근로내용확인신고서상의 고용관리책임자 지정사실 신고누락에 따른 소급 등록 요청에 관한 질의 [고용서비스지원과-2253]  (0) 2015.06.03
부당해고로 원직복직을 다투는 자가 대법원 확정판결로 복직된 경우 고용보험 피보험자격에 관한 질의 [보험운영지원팀-6815]  (0) 2015.06.03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취득일 소급 정정 여부 질의 [보험운영지원팀-4992]  (0) 2015.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