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결요지>

공무원연금법 제64조제1항제3호는 공무원이 금품 및 향응 수수, 공금의 횡령유용으로 징계 해임된 경우에는 퇴직급여 및 퇴직수당의 일부를 감액하여 지급한다고 정하고 있다. 이 사건 조항의 금품 수수에서 수수는 그 문언상 금품을 받는 행위수수(收受)’로 새길 수도 있고, ‘금품을 주는 행위와 받는 행위를 의미하는 수수(授受)’로 새길 수도 있으므로, 이 사건 조항의 수수수수(授受)’라고 해석하더라도 문언의 통상적인 의미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이 사건 조항은 금품 및 향응 수수, 공금의 횡령유용으로 징계 해임된 공무원에 대하여 퇴직급여 등을 감액함으로써 공직사회의 부패를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2005.5.31. 법률 제7543호로 신설되었다. 이 사건 조항이 신설될 당시 공무원의 징계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던 구 국가공무원법(2008.3.28. 법률 제899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은 제61조제1항에서 공무원은 직무와 관련하여 직접 또는 간접을 불문하고 사례증여 또는 향응을 수수(授受)할 수 없다.”라고 규정하였고, 83조의2 1항에서 징계의결의 요구는 징계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2[금품 및 향응 수수(授受), 공금의 횡령유용의 경우에는 3]을 경과한 때에는 이를 행하지 못한다.”라고 정하였다.

이와 같은 이 사건 조항의 문언과 입법 취지, 관련 법령의 내용과 체계 등을 종합하여 보면, 이 사건 조항 중 금품 수수금품을 주거나 받는 행위라고 해석함이 타당하다.

 

대법원 제32018.05.30. 201746127 판결 [퇴직급여등제한지급처분취소]

원고, 상고인 / 원고

피고, 피상고인 / 공무원연금공단

원심판결 / 서울고등법원 2017.5.11. 선고 20167745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2점 및 제3점에 대하여

 

. 공무원연금법 제64조제1항제3(이하 이 사건 조항이라 한다)는 공무원이 금품 및 향응 수수, 공금의 횡령유용으로 징계 해임된 경우에는 퇴직급여 및 퇴직수당의 일부를 감액하여 지급한다고 정하고 있다.

침익적 행정처분의 근거가 되는 행정법규는 엄격하게 해석적용하여야 하고 행정처분의 상대방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지나치게 확장해석하거나 유추해석하여서는 안 되지만, 문언의 통상적인 의미를 벗어나지 않는 한 그 입법 취지와 목적 등을 고려한 목적론적 해석은 허용된다(대법원 2013.7.25. 선고 201228438 판결 참조).

 

. 이 사건 조항의 금품 수수에서 수수는 그 문언상 금품을 받는 행위수수(收受)’로 새길 수도 있고, ‘금품을 주는 행위와 받는 행위를 의미하는 수수(授受)’로 새길 수도 있으므로, 이 사건 조항의 수수수수(授受)’라고 해석하더라도 문언의 통상적인 의미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이 사건 조항은 금품 및 향응 수수, 공금의 횡령유용으로 징계 해임된 공무원에 대하여 퇴직급여 등을 감액함으로써 공직사회의 부패를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2005.5.31. 법률 제7543호로 신설되었다. 이 사건 조항이 신설될 당시 공무원의 징계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던 구 국가공무원법(2008.3.28. 법률 제899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은 제61조제1항에서 공무원은 직무와 관련하여 직접 또는 간접을 불문하고 사례증여 또는 향응을 수수(授受)할 수 없다.”라고 규정하였고, 83조의2 1항에서 징계의결의 요구는 징계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2[금품 및 향응 수수(授受), 공금의 횡령유용의 경우에는 3]을 경과한 때에는 이를 행하지 못한다.”라고 정하였다.

이와 같은 이 사건 조항의 문언과 입법 취지, 관련 법령의 내용과 체계 등을 종합하여 보면, 이 사건 조항 중 금품 수수금품을 주거나 받는 행위라고 해석함이 타당하다.

 

.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이 사건 조항의 수수를 금품이나 향응을 주는 행위와 받는 행위를 모두 포괄하는 수수(授受)’의 의미로 해석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 이유 주장과 같이 이 사건 조항의 해석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2.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 앞서 본 바와 같은 이 사건 조항의 문언과 입법취지 등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 조항이 정한 공무원이 금품 및 향응 수수로 징계 해임된 때의 의미를 단순히 국가공무원법 제61조 내지 지방공무원법 제53조가 정하는 청렴의무위반으로 해임된 경우에 한정되는 것으로 볼 수는 없고, 공무원이 자신의 지위 또는 직무에 관한 청탁을 위하여 금품 및 향응을 주었다는 이유로 징계 해임된 경우 역시 여기에 포함된다고 해석함이 타당하다.

 

. 원심판결의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1) 지방공무원인 원고는 원고가 소외인에게 전 국회의원을 통하여 자신의 승진을 인사권자인 제주특별자치도 도지사에게 부탁하도록 의뢰하면서 700만 원을 교부하고, 원고의 배우자가 소외인에게 원고의 승진 청탁을 의뢰하면서 합계 7,600만 원을 교부하여 지방공무원법 제53(청렴의무), 55(품위유지의무),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 행동강령 제9(인사청탁 등 금지의무)를 위반하였다는 이유로 해임되었다.

2) 원고가 해임의 취소를 구하는 소송을 제기한 결과, ‘원고 배우자의 금품 교부행위는 원고에 대한 징계사유로 삼을 수 없지만 원고의 금품 교부행위가 지방공무원법 제55조 및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 행동강령 제9조 위반에는 해당하고, 그 사유만으로도 해임이 적법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이유로 원고 청구를 기각하는 판결이 선고되어 확정되었다.

 

. 이러한 사실관계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고가 자신의 승진을 부탁하기 위하여 금품을 주었다는 이유로 징계 해임된 것은 이 사건 조항의 금품 수수로 인하여 징계 해임된 경우에 해당한다.

 

. 따라서 원심이 원고의 배우자가 금품을 준 행위까지도 원고에 대한 해임의 징계사유에 해당함을 전제로 판단한 점은 적절하지 아니하나, 원고가 금품 수수로 인하여 징계 해임된 경우에 해당한다고 본 결론은 정당하다.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이 사건 조항의 해석적용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결론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3.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희대(재판장) 김창석 김재형 민유숙(주심)

 

반응형

'근로자, 공무원 > 4대 사회보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업급여에 관한 고용보험법의 적용에 있어 ‘65세 이후에 새로이 고용된 자’를 그 적용대상에서 배제한 고용보험법 제10조제1호가 평등권을 침해하지 않는다 [헌재 2017헌마238]  (0) 2018.10.16
‘고용유지지원금’을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받은 사람에 대해서도 고용보험법 제116조제2항을 적용하여 처벌할 수 있는지 [대법 2018도2429]  (0) 2018.10.16
임금피크제가 개별 근로자 중 만 55세가 되기 이전에 임금이 감액되는 근로자를 포함한다하여 이를 일률적으로 지원금 지원대상이 아니라고 볼 수는 없다 [서울행법 2017구합69090]  (0) 2018.10.12
‘육아휴직 급여는 육아휴직 종료 후 12개월 이내에 신청하여야 한다’는 고용보험법 제70조제2항 본문의 규정은 강행규정이 아닌 훈시규정 [서울행법 2018구단52757]  (0) 2018.09.18
군인연금법 제정 이전 퇴직한 군인의 재직경력이 구 공무원연금법 시행 당시 같은 법 제3조제3항에 따른 재직기간 합산 대상인지 여부 [법제처 16-0659]  (0) 2018.06.26
국민건강보험법 제110조제3항에 따른 임의계속가입자의 보수월액 산정 시 사용관계가 끝난 날이 속하는 달의 보수가 반영되는지 [법제처 16-0662]  (0) 2018.06.19
방과후학교 시간강사의 계약기간 중에 방학기간이 포함되어 있고 그 기간 동안 보수가 지급되지 않더라도 고용관계가 계속되었다면 조기재취업 수당 지급해야 [대법 2015두44165]  (0) 2018.05.30
재산상 손해를 끼치고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여 권고사직을 하고도 거짓 또는 부정한 방법으로 실업급여를 받았다고 볼 수 없다 [전주지법 2016노1905]  (0) 2018.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