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요지>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이하 학교폭력예방법이라 함) 17조제1항에서는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이하 자치위원회라 함)는 피해학생의 보호와 가해학생의 선도교육을 위하여 가해학생에 대하여 피해학생에 대한 서면사과(1), 피해학생 및 신고고발 학생에 대한 접촉, 협박 및 보복행위의 금지(2), 학교에서의 봉사(3), 사회봉사(4), 학내외 전문가에 의한 특별 교육이수 또는 심리치료(5), 출석정지(6), 학급교체(7), 전학(8), 퇴학처분(9)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치(수 개의 조치를 병과하는 경우를 포함함)를 할 것을 학교의 장에게 요청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17조의21항에서는 자치위원회 또는 학교의 장이 같은 법 제17조제1항에 따라 내린 조치에 대하여 이의가 있는 피해학생 또는 그 보호자(이하 피해학생등이라 함)는 그 조치를 받은 날부터 15일 이내, 그 조치가 있음을 안 날부터 10일 이내에 학교폭력대책지역위원회(이하 지역위원회라 함)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자치위원회가 가해학생에 대하여 학교폭력예방법 제17조제1항 각 호에 따른 조치 없음을 결정함에 따라 학교의 장이 같은 항 각 호에 따른 조치를 내리지 않은 경우, 피해학생등은 같은 법 제17조의21항에 따라 지역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지?

[질의 배경]

전라북도는 자치위원회가 가해학생에 대하여 학교폭력예방법 제17조제1항 각 호에 따른 조치 없음을 결정함에 따라 학교의 장이 같은 항 각 호에 따른 조치를 내리지 않은 것에 대하여 피해학생등이 지역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와 관련하여 교육부와 의견이 대립하자, 법제처에 법령해석을 요청함.

 

<회 답>

자치위원회가 가해학생에 대하여 학교폭력예방법 제17조제1항 각 호에 따른 조치 없음을 결정함에 따라 학교의 장이 같은 항 각 호에 따른 조치를 내리지 않은 경우에도 피해학생등은 같은 법 제17조의21항에 따라 지역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 유>

학교폭력예방법 제17조제1항에서는 자치위원회는 피해학생의 보호와 가해학생의 선도교육을 위하여 가해학생에 대하여 피해학생에 대한 서면사과(1), 피해학생 및 신고고발 학생에 대한 접촉, 협박 및 보복행위의 금지(2), 학교에서의 봉사(3), 사회봉사(4), 학내외 전문가에 의한 특별 교육이수 또는 심리치료(5), 출석정지(6), 학급교체(7), 전학(8), 퇴학처분(9)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치(수 개의 조치를 병과하는 경우를 포함함)를 할 것을 학교의 장에게 요청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17조의21항에서는 자치위원회 또는 학교의 장이 같은 법 제17조제1항에 따라 내린 조치에 대하여 이의가 있는 피해학생등은 그 조치를 받은 날부터 15일 이내, 그 조치가 있음을 안 날부터 10일 이내에 지역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조 제2항에서는 자치위원회가 같은 법 제17조제1항제8(전학)와 제9(퇴학처분)에 따라 내린 조치에 대하여 이의가 있는 학생 또는 그 보호자는 그 조치를 받은 날부터 15일 이내, 그 조치가 있음을 안 날부터 10일 이내에 중등교육법18조의3에 따른 시도학생징계조정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 사안은 자치위원회가 가해학생에 대하여 학교폭력예방법 제17조제1항 각 호에 따른 조치 없음을 결정함에 따라 학교의 장이 같은 항 각 호에 따른 조치를 내리지 않은 경우 피해학생등이 같은 법 제17조의21항에 따라 지역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먼저, 학교폭력예방법 제17조의21항에서는 자치위원회 또는 학교의 장이 같은 법 제17조제1항에 따라 내린 조치에 대하여 이의가 있는 피해학생등은 그 조치를 받은 날부터 15일 이내, 그 조치가 있음을 안 날부터 10일 이내에 지역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그 입법취지는 피해학생등의 재심청구권 보장을 통한 피해학생의 보호라는 점에 비추어 볼 때(2012.3.21. 법률 제11388호로 개정된 학교폭력예방법 제안이유 참조), 학교폭력예방법 제17조의21항의 의미는 피해학생등이 자치위원회가 가해학생에게 내린 조치가 가볍다고 판단되는 경우 지역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므로, 같은 법 제17조의21항에 따른 재심청구의 대상은 반드시 같은 법 제17조제1항 각 호에 따른 조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할 것입니다.

그리고, 학교폭력예방법 제16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서는 자치위원회가 피해학생의 보호를 위하여 같은 항 각 호에 따른 조치를 할 것을 학교의 장에게 요청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 제7항에서는 피해학생의 보호자는 필요한 경우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하 학교안전법이라 함) 34조에 따른 공제급여를 학교안전공제회에 직접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자치위원회 또는 학교의 장이 학교폭력예방법 제16조제1항 또는 같은 법 제17조제1항에 따라 내린 조치는 피해학생이 학교폭력으로 발생한 손해에 대하여 학교안전공제회에 학교안전법에 따른 급여를 청구하는 경우 그 근거가 될 수 있다고 할 것이므로, 자치위원회가 가해학생에 대하여 같은 법 제17조제1항 각 호에 따른 조치 없음을 결정함에 따라 학교의 장이 같은 항 각 호에 따른 조치를 내리지 않은 경우에는 피해학생등이 지역위원회에서 다시 다툴 수 있다고 보는 것이 피해학생의 보호라는 입법목적(1)에 부합하는 해석이라고 할 것입니다.

만약, 자치위원회가 가해학생에 대하여 학교폭력예방법 제17조제1항 각 호에 따른 조치 없음을 결정함에 따라 학교의 장이 같은 항 각 호에 따른 조치를 내리지 않은 경우 피해학생등이 같은 법 제17조의21항에 따라 지역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할 수 없다고 보는 것은 같은 법 제17조제1항제1호에 따른 서면사과조치 결정보다 가벼운 같은 항 각 호에 따른 조치 없음결정에 대해서는 이의를 제기할 수 없게 되어 형평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할 것입니다.

더욱이, 자치위원회가 가해학생에 대하여 학교폭력예방법 제17조제1항 각 호에 따른 조치 없음을 결정함에 따라 학교의 장이 같은 항 각 호에 따른 조치를 내리지 않은 것은 같은 항 각 호에 규정된 조치를 내린 것이 아니므로 피해학생등이 같은 법 제17조의21항에 따른 재심을 청구할 수 없다고 볼 경우, 공립학교에 설치된 자치위원회의 같은 법 제17조제1항 각 호에 따른 조치 없음 결정에 따라 학교의 장이 후속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은 행정처분에 해당하여 피해학생등이 바로 행정심판이나 행정소송을 제기하여 처분의 부당성 또는 위법성을 다툴 수 있는 반면, 사립학교에 설치된 자치위원회의 같은 결정에 따라 학교의 장이 후속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은 행정처분에 해당하지 않아 피해학생등이 이에 대하여 행정심판이나 행정소송을 제기하여 처분의 부당성 또는 위법성을 다툴 수는 없고 형사고소고발 또는 민사소송으로 다툴 수밖에 없어, 공립학교와 사립학교에 재학하는 피해학생 간의 피해구제수단의 범위가 달라짐으로써 형평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도 이 사안을 해석함에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것입니다.

이상과 같은 점을 종합해 볼 때, 자치위원회가 가해학생에 대하여 학교폭력예방법 제17조제1항 각 호에 따른 조치 없음을 결정함에 따라 학교의 장이 같은 항 각 호에 따른 조치를 내리지 않은 경우에도 피해학생등은 같은 법 제17조의21항에 따라 지역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고 할 것입니다.

 

법령정비 권고사항

학교폭력예방법 제17조의21항에서는 자치위원회 또는 학교의 장이 같은 법 제17조제1항에 따라 내린 조치에 대하여 피해학생등이 지역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면서, 자치위원회가 가해학생에 대하여 같은 법 제17조제1항 각 호에 따른 조치 없음을 결정함에 따라 학교의 장이 같은 항 각 호에 따른 조치를 내리지 않은 경우 피해학생등이 지역위원회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명확히 규정하지 않고 있어 집행상 혼란이 발생하는바, 같은 법 제17조의21항에 따른 재심청구대상의 범위를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법제처 16-0668, 2017.01.18.

 

반응형

'기타 > 기타 행정해석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공원에서의 과태료 부과・징수권자(「자연공원법」 제86조제4항 등 관련) [법제처 16-0634]  (0) 2018.07.09
한국지역진흥재단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 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적용 여부 [법제처 16-0537]  (0) 2018.07.09
학교기업이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에 해당될 수 있는지 여부 [법제처 16-0485]  (0) 2018.07.06
방산업체의 ‘대표 및 임원’이 아닌 ‘직원’이 방위사업청 공무원에게 향응을 제공한 경우, 방위사업청장은 방산업체에 대하여 입찰참가자격을 제한할 수 있는지 [법제처 16-0519]  (0) 2018.07.05
합성니코틴 전자담배에 대해 경고그림 표기의무가 있는지 여부(「국민건강증진법」 제9조의2제4항 관련) [법제처 16-0619]  (0) 2018.07.03
유치원설립인가 연기신청서는 총 2년의 기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제출할 수 있는지 여부(「고등학교 이하 각급 학교 설립운영 규정 시행규칙」 제4조 등 관련)[법제처 16-0687]  (0) 2018.06.28
동물생산업 시설인 건축물의 용도에 따른 동물생산업 신고 수리 여부의 결정(동물보호법 시행규칙 제40조제1항 등 관련) [법제처 16-0695]  (0) 2018.06.26
구「청원경찰법」에 따라 배치된 청원경찰의 직무범위(「청원경찰법」 제3조 관련) [법제처 16-0689]  (0) 2018.06.22